목차
* 자궁내막염이란??
Ⅰ.정의
Ⅱ. 원인
Ⅲ. 증상
Ⅳ. 간호
Ⅴ. 퇴원교육
Ⅵ. 합병증
Ⅰ.정의
Ⅱ. 원인
Ⅲ. 증상
Ⅳ. 간호
Ⅴ. 퇴원교육
Ⅵ. 합병증
본문내용
(clindamycin)의 복합요법
- 혐기성 세균의 98% 이유율
광범위 항생제 - 2~3세대 세파로스포린인
용혈성 연쇄상구균(Hemolytic streptococcus), 포도상구균 효과적 - 페니실린
대장균 - sulfadiazine, gentriein(sulfisoxagale)
제왕절개수술 -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클린다마이신의 복합요법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 예방적 투여(자궁내막염의 빈도 감소)
(4) 수분섭취
3000~4000㎖/day
(5) 영양섭취
① 고단백, 고비타민의 영양가 높은 것을 섭취
② 오심, 구토, 식욕감퇴, 기면상태로 인해 때로는 구강섭취가 제한됨
(6) 수유
① 경증 - 수유를 계속함 → 자궁퇴축에 도움이 됨
② 중증
수유를 중지 → 항생제를 사용
염증파급의 억제와 모체의 소모에 의한 탈진을 방지
(7) 안위도모
① 휴식과 교육 제공
정서적 지지를 해줌 - 신체적 상태와 관련하여 우울할 수 있음
산모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 실시
② 조기 기동 시 활동 전 진통제 투여
③ 맑은 공기와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하여 저항력을 키움
(8) 감염방지
다른 환자에 대한 감염의 방지를 위해 반드시 격리
gown, mask, 장갑 등을 착용
손을 깨끗이 씻고 소독수로 닦음
Ⅴ. 퇴원교육
① 하루에 8~10컵 정도의 물 마심
② 고단백, 고비타민 음식 섭취 교육
③ 자가 간호와 신생아 간호를 할 수 있게 지도
④ 감염의 증후 계속 관찰
⑤ 약속된 병원 방문일을 지키게 함
Ⅵ. 합병증
1. 복막염
세균감염에 의해 복막에 발생한 염증
2. 자궁 주위 조직염
국소 염증에서 염증성 균이 임파관을 통해 자궁 주위 결체조직에 침범된 것
열이 계속 오르고, 침범부위에 동통과 민감이 있음
3. 골반혈전성 정맥염
혈관벽에 응혈이 모인 곳에 병원균이 침범함으로서 생기는 혈관벽의 염증
4. 자궁퇴축 부전
5. 수 주간 염증의 지속 - 골반 농양
6. 패혈성 쇼크
7. 열의 변화가 심하고, 오한이 반복
8. 광인대, 자궁전체, 난관, 난소를 둘러싸고 있는 복막의 추벽, 원인대 및 골반강의 측벽 염증이 생김
<출처 >
여성건강간호학Ⅱ - 여성건강 간호교과 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Ⅱ(최연순, 장춘사 외) -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하(이경혜, 박영주 외) - 현문사
새임상산과학(최유덕 편) - 고려의학
MOSBY'S DICTIONARY - 현문사
- 혐기성 세균의 98% 이유율
광범위 항생제 - 2~3세대 세파로스포린인
용혈성 연쇄상구균(Hemolytic streptococcus), 포도상구균 효과적 - 페니실린
대장균 - sulfadiazine, gentriein(sulfisoxagale)
제왕절개수술 -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클린다마이신의 복합요법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 예방적 투여(자궁내막염의 빈도 감소)
(4) 수분섭취
3000~4000㎖/day
(5) 영양섭취
① 고단백, 고비타민의 영양가 높은 것을 섭취
② 오심, 구토, 식욕감퇴, 기면상태로 인해 때로는 구강섭취가 제한됨
(6) 수유
① 경증 - 수유를 계속함 → 자궁퇴축에 도움이 됨
② 중증
수유를 중지 → 항생제를 사용
염증파급의 억제와 모체의 소모에 의한 탈진을 방지
(7) 안위도모
① 휴식과 교육 제공
정서적 지지를 해줌 - 신체적 상태와 관련하여 우울할 수 있음
산모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 실시
② 조기 기동 시 활동 전 진통제 투여
③ 맑은 공기와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하여 저항력을 키움
(8) 감염방지
다른 환자에 대한 감염의 방지를 위해 반드시 격리
gown, mask, 장갑 등을 착용
손을 깨끗이 씻고 소독수로 닦음
Ⅴ. 퇴원교육
① 하루에 8~10컵 정도의 물 마심
② 고단백, 고비타민 음식 섭취 교육
③ 자가 간호와 신생아 간호를 할 수 있게 지도
④ 감염의 증후 계속 관찰
⑤ 약속된 병원 방문일을 지키게 함
Ⅵ. 합병증
1. 복막염
세균감염에 의해 복막에 발생한 염증
2. 자궁 주위 조직염
국소 염증에서 염증성 균이 임파관을 통해 자궁 주위 결체조직에 침범된 것
열이 계속 오르고, 침범부위에 동통과 민감이 있음
3. 골반혈전성 정맥염
혈관벽에 응혈이 모인 곳에 병원균이 침범함으로서 생기는 혈관벽의 염증
4. 자궁퇴축 부전
5. 수 주간 염증의 지속 - 골반 농양
6. 패혈성 쇼크
7. 열의 변화가 심하고, 오한이 반복
8. 광인대, 자궁전체, 난관, 난소를 둘러싸고 있는 복막의 추벽, 원인대 및 골반강의 측벽 염증이 생김
<출처 >
여성건강간호학Ⅱ - 여성건강 간호교과 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Ⅱ(최연순, 장춘사 외) -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하(이경혜, 박영주 외) - 현문사
새임상산과학(최유덕 편) - 고려의학
MOSBY'S DICTIONARY - 현문사
추천자료
여성의 생식기관의 구조와 기능 및 자궁경부암과 치료법
LAVH(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
[모성간호, 여성건강간호학] 자궁경부암(cevix cancer) 케이스 스터디
Myoma of uterus(자궁근종)
여성 생식기계 - 질, 자궁목
[간호학] LAVH -자궁경부암 (Cervix Cancer)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자궁근종][myoma uteri][Uterine myom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Uterine myoma]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육종][Sarcoma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Myom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여성간호학][자궁근종][Myom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 Case S0tudy - 자궁외 임신 (Ectopic Pregnancy)
모성 월경장애(무월경, 비정상 자궁출혈, 월경전 증후군, 월경곤란증
월경장애 (무월경, 비정상 자궁출혈, 월경전 증후군, 월경곤란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