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근종의 종류
Ⅳ. 자궁근종의 2차 변성
Ⅴ. 임상적 특성
Ⅵ. 병리적소견
Ⅶ. 진단(Diagnosis)
Ⅷ. 치료 및 관리
Ⅸ. 근종과 임신
<참고문헌>
<인터넷 참고 사이트>
Ⅱ. 원인
Ⅲ. 근종의 종류
Ⅳ. 자궁근종의 2차 변성
Ⅴ. 임상적 특성
Ⅵ. 병리적소견
Ⅶ. 진단(Diagnosis)
Ⅷ. 치료 및 관리
Ⅸ. 근종과 임신
<참고문헌>
<인터넷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는 방법 사용.
장점 - 의사가 직접 환부를 보면서 수술하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임.
단점 - 상처가 크고 회복시기가 느림.
▶ 복강경수술(laparoscopy)
방법 - 복부는 크게 절개하지 않으며, 복부에 직경 0.5cm ~ 1cm 정도의 구멍을
2,3개 뚫어 복강경을 삽입 후 부착된 카메라로 비디오 모니터를 보면서 수
술하는 방법
장점 - 첨단기계를 이용하여 미세한 부분까지 정확하게 보면서 수술, 정확성
개복술과는 달리 상처가 거의 없고 회복이 빠름.(일상복귀 빠르게 가능)
Ⅸ. 근종과 임신
1. 근종이 임신에 끼치는 영향 (시기별)
(1) 임신 전 - 불임
(2) 임신 제1기 - 유산율의 증가
(3) 임신 제2기 - 근종의 급격한 비대로 인한 동통, 압통, 발열, 적색변성
(4) 임신 제3기 - 조산, 태반조기박리증, 전치태반
(5) 분만 - 자궁무력증, 출혈, 산도의 기계적 폐쇄로 인한 난산
(6) 질식 분만 후 - 이완성 자궁출혈, 산욕기 감염
2. 임신 중 근종이 커지는 원인
(1) 호르몬 효과 - Estrogen의 증가에 의함.
(2) 혈류 공급의 증가
근종과 함께 이미 임신이
된 경우
<임신 기간 중 관리>
- 약물치료, 임신을 유지하면서 근종부위만을 제거하는 수술 시행, 자궁근종이 있으면 임신기간 중 세밀하게 관찰하여 유산이나 조산의 발생을 예방.
<출산, 출산 후 관리>
- 정상분만은 근종의 크기가 관건.
- 근종이 산도를 막으면 제왕절개를 시행
- 관리를 하지 않으면 출산 후 자궁근종이 더 커질 수 있음
- 출산 후 출혈과 감염을 예방.
근종이 있는데 임신을 원하
는 경우
<임신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우>
- 근종 절제 후 임신되는 빈도 : 40~50%
- 정상자궁내막이 70%이상, 자궁근종크기가 5cm이하인 경우
- 자궁이 튼튼, 생리기능 원활, 골반강내 수술 경험 적은 경우
- 임신되면, 일반적 임신보다는 유산위험성 높아짐.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 자궁근종이 정상 자궁 조직의 50% 이상을 침범한 경우
- 자궁의 기능이 많이 상실된 경우
<참고문헌>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01
백동호.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편, 고문사, 2003
여성건강교과간호연구회 편집부. [여성건강간호학 2], 수문사, 2006
FRANK H. NETTER, MD.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 vol.2], 정담, 2000
<인터넷 참고 사이트>
http://www.myoma.co.kr
http://www.medcity.com/jilbyung/jakunkjong.html
http://www.medirepo.com/img/gallery/tah.htm
http://mamapapa.or.kr/clinic/main3.htm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근종의 종류
Ⅳ. 자궁근종의 2차 변성
Ⅴ. 임상적 특성
Ⅵ. 병리적소견
Ⅶ. 진단(Diagnosis)
Ⅷ. 치료 및 관리
Ⅸ. 근종과 임신
<참고문헌>
<인터넷 참고 사이트>
장점 - 의사가 직접 환부를 보면서 수술하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임.
단점 - 상처가 크고 회복시기가 느림.
▶ 복강경수술(laparoscopy)
방법 - 복부는 크게 절개하지 않으며, 복부에 직경 0.5cm ~ 1cm 정도의 구멍을
2,3개 뚫어 복강경을 삽입 후 부착된 카메라로 비디오 모니터를 보면서 수
술하는 방법
장점 - 첨단기계를 이용하여 미세한 부분까지 정확하게 보면서 수술, 정확성
개복술과는 달리 상처가 거의 없고 회복이 빠름.(일상복귀 빠르게 가능)
Ⅸ. 근종과 임신
1. 근종이 임신에 끼치는 영향 (시기별)
(1) 임신 전 - 불임
(2) 임신 제1기 - 유산율의 증가
(3) 임신 제2기 - 근종의 급격한 비대로 인한 동통, 압통, 발열, 적색변성
(4) 임신 제3기 - 조산, 태반조기박리증, 전치태반
(5) 분만 - 자궁무력증, 출혈, 산도의 기계적 폐쇄로 인한 난산
(6) 질식 분만 후 - 이완성 자궁출혈, 산욕기 감염
2. 임신 중 근종이 커지는 원인
(1) 호르몬 효과 - Estrogen의 증가에 의함.
(2) 혈류 공급의 증가
근종과 함께 이미 임신이
된 경우
<임신 기간 중 관리>
- 약물치료, 임신을 유지하면서 근종부위만을 제거하는 수술 시행, 자궁근종이 있으면 임신기간 중 세밀하게 관찰하여 유산이나 조산의 발생을 예방.
<출산, 출산 후 관리>
- 정상분만은 근종의 크기가 관건.
- 근종이 산도를 막으면 제왕절개를 시행
- 관리를 하지 않으면 출산 후 자궁근종이 더 커질 수 있음
- 출산 후 출혈과 감염을 예방.
근종이 있는데 임신을 원하
는 경우
<임신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우>
- 근종 절제 후 임신되는 빈도 : 40~50%
- 정상자궁내막이 70%이상, 자궁근종크기가 5cm이하인 경우
- 자궁이 튼튼, 생리기능 원활, 골반강내 수술 경험 적은 경우
- 임신되면, 일반적 임신보다는 유산위험성 높아짐.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 자궁근종이 정상 자궁 조직의 50% 이상을 침범한 경우
- 자궁의 기능이 많이 상실된 경우
<참고문헌>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01
백동호.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편, 고문사, 2003
여성건강교과간호연구회 편집부. [여성건강간호학 2], 수문사, 2006
FRANK H. NETTER, MD.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 vol.2], 정담, 2000
<인터넷 참고 사이트>
http://www.myoma.co.kr
http://www.medcity.com/jilbyung/jakunkjong.html
http://www.medirepo.com/img/gallery/tah.htm
http://mamapapa.or.kr/clinic/main3.htm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근종의 종류
Ⅳ. 자궁근종의 2차 변성
Ⅴ. 임상적 특성
Ⅵ. 병리적소견
Ⅶ. 진단(Diagnosis)
Ⅷ. 치료 및 관리
Ⅸ. 근종과 임신
<참고문헌>
<인터넷 참고 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