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과학, 그리고 인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화권의 이해
1 '문화' 란 무엇인가
2 문화와 인권
3 문화적 삶의 저해 요소
4 문화적 삶을 위해

Ⅱ. 과학 기술과 인권
1. 과학기술과 인권
2. 과학기술과 인권의 쟁점들
3. 과학기술의 인권침해
4. 기술시민권

Ⅲ. 북한 인권문제의 특성과 현안
1. 북한 인권문제의 특징
2. 북한 인권문제의 현안들
3.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해결 방안

본문내용

이 채택됨에 따라 향후 국제외교 활동에서 북한의 정치적 타격이 예상되며, 국제적 압력을 가하는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한국 정부가 ‘북의 인권 개선문제도 대북정책의 큰 틀에서 조화를 이뤄야 한다’라는 입장을 보이며 이번 표결에서 기권을 한 것이다.
이에 대해 평화네트워크는 성명을 통해 “이번 결의안은 북한의 인권 상황이 악화된 원인에 대한 편협한 이해와 일방적 권고에 머물고 말았다”며 “유엔은 북한에 대한 비난 결의안을 추진하기보다는 북한과의 기술적 협력을 강화하면서 인권 대화의 복원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국정부가 기권한 것에 대해 “한국 정부도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강조해온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입장을 전면 재검토하고, 북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적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cf. 관련 인권 단체 및 NGO
환경 연합 http://kfem.or.kr/
환경연합은 새 천년, 환경의 세기를 맞이하여 환경문제를 사회적인 이슈로 제기하고, 또한 사회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벌여 나가고 있는 단체
북한 인권 시민 연합 http://www.nkhumanrights.or.kr/
북한동포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고 궁극적으로 남북통일과 민족공동체 형성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
북한 인권 정보 센터 http://www.nkdb.org/k-index.htm
북한주민의 인권 피해 사례를 조사하여 기록하고 분석하여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북한인권정보에 관한 Data Base를 구축하는 단체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1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