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제
2. 학습목표
3.동기화 과정-감수성 자극
4.상상을 통한 형상 정서 감지
5. 내면화 과정
2. 학습목표
3.동기화 과정-감수성 자극
4.상상을 통한 형상 정서 감지
5. 내면화 과정
본문내용
른 사물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짧은 시를 써보자.
▷다음 발문을 통해 학습자가 좀 더 쉽게 활동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발문)
=어떤 경험을 시로 표현할 것인가?
=어떤 감정을 표현할 것인가?
=어떤 사물을 가지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것인가?
활동 후) 몇몇 학생들의 발표를 들어보고 표현이나 참신성 등에 대한 피드백을 한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도록 유도하여 여기서 창작한 창작물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도록 지도한다.
<평가문제>
1. <바다와 나비>, <나비> 두 시를 읽고 쓴 글이다. 빈칸을 채워보자.
<바다와 나비>와 <나비>, 이 두 시는 시인이 ( )라는 대상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바다와 나비>는 ( )를 이용한 선명한 색채의 대비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으며, <나비>는 나비라는 대상에 ( )을 하여,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나비, 시각적 심상(이미지), 감정이입
문제 방향
교정 방향
두 시의 비교하여 감상한 뒤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파악했는지 묻는 문제이다. 단편적 지식의 나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들지만, 시를 감상하는데 있어서는 시의 내면화는 기본이고 시에 관한 지식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평가 문제로 넣어보았다.
답변하지 못하는 경우 두 시에 대한 감상을 다시 떠올려보도록 지도한다.
2. <바다와 나비>, <나비> 두 시를 읽고 대화한 내용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근재: 두 시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는 비슷한 것 같아. 일종의 서글픔이라고나 할까.
②누리: 하지만 <바다와 나비>는 나비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나비>에서는 나비를 불쌍하게 보는 그 감정이 드러나고 있어.
③소양: <바다와 나비>에서 시인은 푸른색과 흰색이라는 색을 의도적으로 배치하고 있는 것 같아.
④성돈: <나비>에서 나비는 꿀을 빨고 있으니 너무 좋을거야. 아마도 소태맛이라는 표현은 단맛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⑤설화: <바다와 나비>에서 공주처럼 지쳤다는 것은 아마도 세상 물정을 모르기에 바다를 겪어보고 더욱 지쳐버렸다는 의미가 아닐까.
문제 방향
교정 방향
두 시에 대한 감상 및 내면화를 파악하는 문제이다.
①의 경우, 시 속에 들어가 느껴보는 정서 파악 부족. ②는 시 속에 나타나는 감정표현에 대한 감상 부족. ③은 시의 감정표현 기법에 대한 이해 부족. ⑤의 경우 시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 감상 부족
▷다음 발문을 통해 학습자가 좀 더 쉽게 활동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발문)
=어떤 경험을 시로 표현할 것인가?
=어떤 감정을 표현할 것인가?
=어떤 사물을 가지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것인가?
활동 후) 몇몇 학생들의 발표를 들어보고 표현이나 참신성 등에 대한 피드백을 한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도록 유도하여 여기서 창작한 창작물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도록 지도한다.
<평가문제>
1. <바다와 나비>, <나비> 두 시를 읽고 쓴 글이다. 빈칸을 채워보자.
<바다와 나비>와 <나비>, 이 두 시는 시인이 ( )라는 대상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바다와 나비>는 ( )를 이용한 선명한 색채의 대비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으며, <나비>는 나비라는 대상에 ( )을 하여,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나비, 시각적 심상(이미지), 감정이입
문제 방향
교정 방향
두 시의 비교하여 감상한 뒤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파악했는지 묻는 문제이다. 단편적 지식의 나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들지만, 시를 감상하는데 있어서는 시의 내면화는 기본이고 시에 관한 지식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평가 문제로 넣어보았다.
답변하지 못하는 경우 두 시에 대한 감상을 다시 떠올려보도록 지도한다.
2. <바다와 나비>, <나비> 두 시를 읽고 대화한 내용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근재: 두 시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는 비슷한 것 같아. 일종의 서글픔이라고나 할까.
②누리: 하지만 <바다와 나비>는 나비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나비>에서는 나비를 불쌍하게 보는 그 감정이 드러나고 있어.
③소양: <바다와 나비>에서 시인은 푸른색과 흰색이라는 색을 의도적으로 배치하고 있는 것 같아.
④성돈: <나비>에서 나비는 꿀을 빨고 있으니 너무 좋을거야. 아마도 소태맛이라는 표현은 단맛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⑤설화: <바다와 나비>에서 공주처럼 지쳤다는 것은 아마도 세상 물정을 모르기에 바다를 겪어보고 더욱 지쳐버렸다는 의미가 아닐까.
문제 방향
교정 방향
두 시에 대한 감상 및 내면화를 파악하는 문제이다.
①의 경우, 시 속에 들어가 느껴보는 정서 파악 부족. ②는 시 속에 나타나는 감정표현에 대한 감상 부족. ③은 시의 감정표현 기법에 대한 이해 부족. ⑤의 경우 시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 감상 부족
추천자료
체제적 설계와 구성주의적 설계
성인교육설계 발표자료 저자 권대봉 요약
교수설계이론
교수설계이론
냉동설비설계 - 설계대상 : 냉동창고
교수체제설계모형
교수설계 이론 ppt자료 (교수설계 이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ISD(교수체제개발, 교수체제설계) 의의와 특성, ISD(교수체제개발, 교수체제설계) 이론적 토...
기하학 학습, 고지혈증 환자교육 코스웨어설계, 초등학교 과학 편리한 도구 단원 코스웨어설...
[PBL]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의 정의,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의 문제, 웹기반 문제중심...
[기계설계학] 자동차 베어링 설계
은퇴 후 재무 설계 - 시기별 전략방법 - 재무설계, 은퇴
[건축과 도시설계] 보스턴 우체국 광장 프로젝트 (What is Boston’s Post Office Square Proj...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1장. 백워드설계의 도입 배경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