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시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정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칭의 문제

2. 서정시의 정체

3. 서정시의 본질
1) 서정시의 장르적 특징
① 시적 세계관
② 서정적 자아
③ 동일화의 원리
④ 순간과 압축성
⑤ 주관성과 서정
2) 에밀 슈타이거의 견해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시 / 부드럽게 죽는다. //
부드럽게 감겨 있는 / 눈시울의 바다. //
얼굴 위에 쌓인 / 눈의 무게는 / 보지 못하지만 //
그의 내면에는 / 눈이 내리고 있다.
눈은 끊임없이 내려 바다와 일체가 된다. 이 일체는 실상 눈의 죽음이다. 그러나 이 죽음까지도 부드럽다. 이 부드러움의 정서는 유동적 요소가 되어 눈과 바다를 융해 시키고 눈과 바다를 의인화(인간화·내면화)시켜 우리에게 서정적인 감동을 주고 있다.
2) 에밀 슈타이거의 견해 정효구, 「서정시의 본질과 그 현대적 의미」, 2005, 『시와시학 2005년 겨울호』
에밀 슈타이거의 저서『시학의 본질』에 의하면, 서정시의 본질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정리 될 수 있다. 아래의 아홉 가지 내용만 가지고서도 서정시의 본질은 비교적 세밀히 밝힐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서정시는 정조의 표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정조는 근원을 명료하게 파악할 수 없는 이른바 영혼의 깊이 속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것은 뚜렷한 윤곽이나 형체를 지니고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이를 지울 수 없는 색채와 향훈으로 존재한다.
둘째, 서정시는 개인에게만 고유하게 내재된 개성적인 세계 이다. 진정한 서정시는 그와 동일한 세계가 결코 되풀이될 수 없는 득유한 것으로서 이전에는 한 번도 존재한 적이 없는 새로운 정조를 열어 보인다. 이 말은 서정시야말로 가장 주관적 이며 개인적이며 일회적 이라는 뜻이다.
셋째, 서정시는 무목적의 시 이다. 서정시의 창작자는 자기 자신을 위해 창작을 한다. 그들은 타인을 의식하지 않으며 그 정조의 흐름이 자신을 데려가는 대로 이끌려 갈 뿐이다.
넷째, 서정시는 고독한 세계이다. 그 정조는 자기 자신 속에만 있을 수 있는 일회적이고 개성적인 정서이며, 그와 같은 정조는 자신만의 외로운 시간 속에 깃든 고요함 속에서 순간적으로 피어오르기 때문이다. 이런 정조는 아주 각별한 순간, 타인의 내면세계와 겹쳐 지 며 그로 하여금 창출한 감흥 속에서 마음이 열리는 기쁨을 느끼게 한다.
다섯째, 서정시는 회감 곧 융화의 상태를 지향한다. 서정시에서 모든 존재물은 융화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런 순간 시 인의 굳건한 자아의 식과 이성에 바탕을 둔 정신성은 소멸된다. 만약 그런 의식을 바탕으로 대상을 논증하고 판단하고 이해하고자 할 때 서정시의 정조는 사라지고 세계는 대상화되고 만다.
여섯째, 서정시는 언어의 음악성에 크게 젖어있다. 음악성을 지향하는 서정시는 가사의 힘보다 가락의 힘에 지배를 받는 노래처럼 독자를 직접적으로 감흥 시킨다. 음악성이 지닌 감흥은 논리 이전이거나 그 이후의 것이다.
일곱째, 서정시는 언어의 논리성, 문법성 등을 초월한다. 서정시가 원인과 결과의 접속사로 빈틈없이 결속된다면 그것은 노래하는 시로서 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서정시를 읽다보면 몇 개의 시어들만이 남아 훌륭한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예도 적지 않다.
여덟째, 서정시는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행할 수가 없다. 그렇듯이 우리는 서정시에 대해 어떤 의무도 지울 수 없다. 서정시는 우리를 위로하고 감동을 주고 감흥에 젖게 할 수는 있어도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는 없다.
아홉째, 서정시는 그 길이가 짧다. 그것은 서정시가 영혼의 근저에서 순간적으로 타오르는 정조의 표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김준오, 『시론』, 제4판, 삼지원, 1997
오세영, 「서정시란 무엇인가」, 2001, 『시화시학2001년 여름호』
송성헌, 「서정시 이론 연구」, 2005, 『한국현대문학연구 제18집』
정효구, 「서정시의 본질과 그 현대적 의미」, 2005, 『시와시학 2005년 겨울호』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사업사, 2000

키워드

서정시,   본질,   명칭,   슈타이거,   서정적,   동일화,   순간,   주관성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