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식에서 [Cu(NH3)4}SO4의 값은 6.870g이다.
· 건조된 후의 무게 : 7.017 - 0.803(거름종이의 무게) = 6.214(g)
∴수득률 = 6.214 / 6.380 × 100 = 112 %
8. 토의
이번 실험은 염화코발트 용액과 황산구리 용액을 반응시켜 각각 생성되는 착화합물의 수득률을 계산해 보고 반응때 생기는 착화합물의 색을 관찰해 보는 실험이었다. 그리고 염화 코발트 용액
의 색깔 변화를 알아 보았다. 염화 코발트 용액에 염산을 넣었을 때는 옅은 보라색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침전이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염화코발트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넣었을 때는 짙은 자색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약간의 침전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다시 염산을 첨가해 주었더니 색깔이 옅어졌는데, 이것은 과산화수소를 넣었을 때 생겼던 착화합물이 녹아서 침전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실험 II에서 건조시킨 무게가 6.214g이 나왔는데, 사실 우리조는 이번 실험을 두 번 하였었다. 처음에는 옅은 파란색의 황산구리가 나왔는데, 수득률도 생각외로 적게 나왔었다. 그래서 다시 얻은 데이타를 실험데이타로 쓴 것이다. 아무튼 실험에 사용한 황산구리의 무게를 이용해 [Cu(NH3)4}SO4의 값을 식에서 계산한 후 수득률을 계산해 보니 112%가 나왔다. 오븐을 이용한 건조였는데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불순물이 그렇게 많이 섞였을리 없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오븐에 너무 오래 놓아두면 건조물이 타버리기 때문에 애를 먹기도 하였다. 타지 않고서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나 궁금하다.
· 건조된 후의 무게 : 7.017 - 0.803(거름종이의 무게) = 6.214(g)
∴수득률 = 6.214 / 6.380 × 100 = 112 %
8. 토의
이번 실험은 염화코발트 용액과 황산구리 용액을 반응시켜 각각 생성되는 착화합물의 수득률을 계산해 보고 반응때 생기는 착화합물의 색을 관찰해 보는 실험이었다. 그리고 염화 코발트 용액
의 색깔 변화를 알아 보았다. 염화 코발트 용액에 염산을 넣었을 때는 옅은 보라색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침전이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염화코발트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넣었을 때는 짙은 자색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약간의 침전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다시 염산을 첨가해 주었더니 색깔이 옅어졌는데, 이것은 과산화수소를 넣었을 때 생겼던 착화합물이 녹아서 침전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실험 II에서 건조시킨 무게가 6.214g이 나왔는데, 사실 우리조는 이번 실험을 두 번 하였었다. 처음에는 옅은 파란색의 황산구리가 나왔는데, 수득률도 생각외로 적게 나왔었다. 그래서 다시 얻은 데이타를 실험데이타로 쓴 것이다. 아무튼 실험에 사용한 황산구리의 무게를 이용해 [Cu(NH3)4}SO4의 값을 식에서 계산한 후 수득률을 계산해 보니 112%가 나왔다. 오븐을 이용한 건조였는데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불순물이 그렇게 많이 섞였을리 없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오븐에 너무 오래 놓아두면 건조물이 타버리기 때문에 애를 먹기도 하였다. 타지 않고서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나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