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관련이론
1) 회절 간섭계의 원리와 특성
2) 장치설명
3.실험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및 결론
2.관련이론
1) 회절 간섭계의 원리와 특성
2) 장치설명
3.실험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및 결론
본문내용
야 했다.
PDI에 초점을 맺기전에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장 초점이 잘 맺힌 부분을 찾은후, 그 위치에 PDI의 핀홀부분을 놓게하여 무늬를 더욱더 선명하고, 쉽게 찾아낼수 있었다. 조절나사를 움직일 때 가능한 천천히 움직이면서 무늬가 발생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사진을 보면 간섭 무늬가 완벽하게 나오지 않았는데, 이것은 렌즈의 초점위치가 PDI의 핀홀에 정확히 입사하지 않았거나, 광축이 정확히 맞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렌즈의 청결상태가 좋지않아 표면에 있는 먼지들의 회절무늬도 같이 관찰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PDI가 워낙 진동에 민감하여 좋은 상을 촬영하기엔 힘이 들었다. 하지만 본 실험을 통하여 PDI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참고문헌
현대광학실험 p.27~28
PDI에 초점을 맺기전에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장 초점이 잘 맺힌 부분을 찾은후, 그 위치에 PDI의 핀홀부분을 놓게하여 무늬를 더욱더 선명하고, 쉽게 찾아낼수 있었다. 조절나사를 움직일 때 가능한 천천히 움직이면서 무늬가 발생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사진을 보면 간섭 무늬가 완벽하게 나오지 않았는데, 이것은 렌즈의 초점위치가 PDI의 핀홀에 정확히 입사하지 않았거나, 광축이 정확히 맞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렌즈의 청결상태가 좋지않아 표면에 있는 먼지들의 회절무늬도 같이 관찰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PDI가 워낙 진동에 민감하여 좋은 상을 촬영하기엔 힘이 들었다. 하지만 본 실험을 통하여 PDI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참고문헌
현대광학실험 p.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