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번 . 강우가 될 수 있는 물의 양 구하기.
2번 . 평균 강우량을 구하시오(tissen법 사용)
3번 . 결측된 자료의 보완
4번 . D-A-D 곡선의 작성
5번 . penman방법을 이용하여, 자유수면에서의 증발량을 구하라.
2번 . 평균 강우량을 구하시오(tissen법 사용)
3번 . 결측된 자료의 보완
4번 . D-A-D 곡선의 작성
5번 . penman방법을 이용하여, 자유수면에서의 증발량을 구하라.
본문내용
등우선 내에 포함된 유역의 평균 누가 우량 면적을 구한다. 이때에는 높은 등우선부터 낮은 등우선으로 하되 평균은 등우선의 누가 면적비에 의한다.
등우선 300 (면적 200Km2)
{ P}_{300 }= {P }_{1}
등우선 250 (면적 410)
{ P}_{250 }= { 210 P_2 + 200 P_G} OVER {410}
등우선 200 (면적 640)
{ P}_{200 }=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800}
등우선 150 (면적 800)
{ P}_{150 }= { 160 P_4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800}
등우선 100 (면적 970)
{ P}_{100 }= { 170 P_5 + 160 P_4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970}
등우선 <100 (면적 1000)
{ P}_{<100 }= {30 P_6+ 170 P_5 + 160 P_4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1000}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평균 누가 우량 면적
지속시간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등우선 300
58.077
106.474
180.684
203.269
222.628
241.9875
254.894
271.026
283.932
296.838
309.744
322.65
250
52.58678
96.409
163.603
184.053
201.582
219.1116
230.798
245.405
257.0909
268.7769
280.4628
292.1488
200
48.30131
88.5524
150.270
169.054
185.155
201.2555
211.989
225.406
236.1398
246.8734
257.607
268.3406
150
44.78445
82.1048
139.329
156.745
171.673
186.6019
196.554
208.994
218.9462
228.8983
238.8504
248.8025
100
40.81994
74.8365
126.995
142.869
156.476
170.0831
179.154
190.493
199.5641
208.6352
217.7063
226.7774
<100
40.07378
73.4685
124.673
140.258
153.616
166.9741
175.879
187.011
195.9162
204.8215
213.7268
222.6321
위에서 계산한 각 등우선 별로 지속시간 1.2.3.4........시간의 최대 강우량을 찾는다.
위에서 계산한 각 등우선 별로 지속시간 2,4,6….시간의 최대 강우량을 찾는다.
지속
시간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등우선
300
74.209
122.607
145.192
164.551
183.910
196.817
212.94
225.85
238.761
251.667
264.573
322.65
250
67.192
111.016
131.467
148.995
166.524
178.2108
192.81
204.50
216.190
227.876
239.562
292.148
200
61.718
101.969
120.753
136.853
152.954
163.6878
177.10
187.83
198.572
209.305
220.039
268.340
150
57.224
94.544
111.961
126.889
141.817
151.7695
164.21
174.16
184.113
194.066
204.018
248.802
100
52.158
86.175
102.049
115.656
129.263
138.3342
149.67
158.74
167.815
176.886
185.957
226.777
<100
51.205
84.600
100.184
113.542
126.900
135.8056
146.93
155.84
164.747
173.653
182.558
222.632
위의 표를 이용하여 D-A-D 곡선을 작성한다.
<그림> D-A-D 곡선
구분
면적
등우선 300
200
250
410
200
640
150
800
100
970
<100
1000
5번 . penman방법을 이용하여, 자유수면에서의 증발량을 구하라.
북위 40o (6월 중순) 평균기온 22oC 상대습도 50%
u2 = 3m/sec 일조시간/낮의 길이 = 40% Δ22oC = 1.22mmHg/oC
풀이)
①기본요소들을 구해보자.
●
r = 0.048 = 0.05mmHg/ ^o C
● 대기권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 Ra
R_A =N40 과 ~ 6월 22일 =(1021 cal/cm^2 /day)
●
sigma{{T} _ {A}}^{4} = (1.17 times 10^{-7} cal/cm^2 /^o K/day) times (273+22)^4 =886.082
●
e_a = 19.82mmHg times 0.5 = 9.91mmHg
●
H= (1-0.05) TIMES 1021 [0.18+0.55 times {40 over 100}] - 886.082[(0.56-0.09 SQRT 9.91 ) # times (0.1+0.9 times {40 over 100})] = 275.206cal/cm^2 /day #
275.206cal/cm^2 /day times 0.01712 = 4.71mm/day
②
e_0 = 19.82~mmHg #
e_a = ~9.91~ mmHg #
u_2 = 3m/sec times {km over 1000m} times {60sec over 1min} times {60min over 1hr}=10.8km/hr
③ penman 공식에 의한 증발량
E_a = 0.35 (1+(0.149 times 10.8 Km/hr))(19.82mmHg-9.91mmHg)=9.05mm/day
④결론적으로 증발산량은,
E= {1.22 times 4.71 + 0.486 times 9.05} over {1.22 + 0 .486}=5.946mm/day
그러므로 1일당 5.95mm 가 증발과 증산으로 증발되는 상황이다.
등우선 300 (면적 200Km2)
{ P}_{300 }= {P }_{1}
등우선 250 (면적 410)
{ P}_{250 }= { 210 P_2 + 200 P_G} OVER {410}
등우선 200 (면적 640)
{ P}_{200 }=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800}
등우선 150 (면적 800)
{ P}_{150 }= { 160 P_4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800}
등우선 100 (면적 970)
{ P}_{100 }= { 170 P_5 + 160 P_4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970}
등우선 <100 (면적 1000)
{ P}_{<100 }= {30 P_6+ 170 P_5 + 160 P_4 + 230 P_3 + 210 P_2 + 200 P_1} OVER {1000}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평균 누가 우량 면적
지속시간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등우선 300
58.077
106.474
180.684
203.269
222.628
241.9875
254.894
271.026
283.932
296.838
309.744
322.65
250
52.58678
96.409
163.603
184.053
201.582
219.1116
230.798
245.405
257.0909
268.7769
280.4628
292.1488
200
48.30131
88.5524
150.270
169.054
185.155
201.2555
211.989
225.406
236.1398
246.8734
257.607
268.3406
150
44.78445
82.1048
139.329
156.745
171.673
186.6019
196.554
208.994
218.9462
228.8983
238.8504
248.8025
100
40.81994
74.8365
126.995
142.869
156.476
170.0831
179.154
190.493
199.5641
208.6352
217.7063
226.7774
<100
40.07378
73.4685
124.673
140.258
153.616
166.9741
175.879
187.011
195.9162
204.8215
213.7268
222.6321
위에서 계산한 각 등우선 별로 지속시간 1.2.3.4........시간의 최대 강우량을 찾는다.
위에서 계산한 각 등우선 별로 지속시간 2,4,6….시간의 최대 강우량을 찾는다.
지속
시간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등우선
300
74.209
122.607
145.192
164.551
183.910
196.817
212.94
225.85
238.761
251.667
264.573
322.65
250
67.192
111.016
131.467
148.995
166.524
178.2108
192.81
204.50
216.190
227.876
239.562
292.148
200
61.718
101.969
120.753
136.853
152.954
163.6878
177.10
187.83
198.572
209.305
220.039
268.340
150
57.224
94.544
111.961
126.889
141.817
151.7695
164.21
174.16
184.113
194.066
204.018
248.802
100
52.158
86.175
102.049
115.656
129.263
138.3342
149.67
158.74
167.815
176.886
185.957
226.777
<100
51.205
84.600
100.184
113.542
126.900
135.8056
146.93
155.84
164.747
173.653
182.558
222.632
위의 표를 이용하여 D-A-D 곡선을 작성한다.
<그림> D-A-D 곡선
구분
면적
등우선 300
200
250
410
200
640
150
800
100
970
<100
1000
5번 . penman방법을 이용하여, 자유수면에서의 증발량을 구하라.
북위 40o (6월 중순) 평균기온 22oC 상대습도 50%
u2 = 3m/sec 일조시간/낮의 길이 = 40% Δ22oC = 1.22mmHg/oC
풀이)
①기본요소들을 구해보자.
●
r = 0.048 = 0.05mmHg/ ^o C
● 대기권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 Ra
R_A =N40 과 ~ 6월 22일 =(1021 cal/cm^2 /day)
●
sigma{{T} _ {A}}^{4} = (1.17 times 10^{-7} cal/cm^2 /^o K/day) times (273+22)^4 =886.082
●
e_a = 19.82mmHg times 0.5 = 9.91mmHg
●
H= (1-0.05) TIMES 1021 [0.18+0.55 times {40 over 100}] - 886.082[(0.56-0.09 SQRT 9.91 ) # times (0.1+0.9 times {40 over 100})] = 275.206cal/cm^2 /day #
275.206cal/cm^2 /day times 0.01712 = 4.71mm/day
②
e_0 = 19.82~mmHg #
e_a = ~9.91~ mmHg #
u_2 = 3m/sec times {km over 1000m} times {60sec over 1min} times {60min over 1hr}=10.8km/hr
③ penman 공식에 의한 증발량
E_a = 0.35 (1+(0.149 times 10.8 Km/hr))(19.82mmHg-9.91mmHg)=9.05mm/day
④결론적으로 증발산량은,
E= {1.22 times 4.71 + 0.486 times 9.05} over {1.22 + 0 .486}=5.946mm/day
그러므로 1일당 5.95mm 가 증발과 증산으로 증발되는 상황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