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사단칠정
2. 사단칠정 논변과 퇴계ㆍ율곡 성리학의 정립
3. 영남학파의 순수도덕주의 성향과 기호학파의 범도덕주의 성향
결 론 : 현대적 조명
본론
1. 사단칠정
2. 사단칠정 논변과 퇴계ㆍ율곡 성리학의 정립
3. 영남학파의 순수도덕주의 성향과 기호학파의 범도덕주의 성향
결 론 : 현대적 조명
본문내용
정치 지향적임을 열거한다. 철학사상에 있어서도, 북방의 문화전통은 공자의 유가철학으로 집약된 반면 남방의 문화전통은 노자와 장자의 도가철학으로 대표된다고 말한다. 勞思光, 『新編中國哲學史』(一)(台灣: 三民書局, 民國73年), 68~74쪽.
한국의 남북 분단 상황에 대하여 혹자는 남한 지역과 북한 지역의 환경 여건에 차이가 있어 북쪽에는 공산주의 경제가 적합하고 남쪽에는 자본주의가 발달하기 쉬웠다고 볼 수도 있고, 이를테면, 李文烈, 『英雄時代』(下)(민음사, 1984), 632~633쪽의 서술.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남과 북을 갈라놓았다고 볼 수도 있다. 1930년을 전후한 시점에 개신교 안에서 당시 서북지방(황해도와 평안도)에서 크게 세력화한 북장로교 계통의 보수주의 신앙 세력과 이 세력에 반발한 비서북(非西北) 교회들 간에 일어난 대결 양상은 전적으로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한국의 서북지역에 북장로교의 보수적인 신앙이 전파된 주된 이유는 외국의 선교 단체들이 한국에 선교사업을 시작할 때 선교 지역이 겹치는 것을 피하고자 각 교파별로 한국의 여러 지역을 나눠 서북지방에는 북장로교가 들어가기로 사전에 안배된 데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민경배, 『한국의 기독교』(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년 제2판), 55쪽과 137쪽을 볼 것.
어느 요소가 어느 정도 작용했던 간에 지역주의 성향의 대두는 예견될 수 있는 것이다.
사상 및 가치관의 관점에서 말할 때 현재 우리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한국사회의 지역주의 현상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광복 후 반세기 동안 남한사회와 북한사회가 보여주고 있는 사상(思想)상의 차이이다. 다른 하나는 20세기 후반에, 특히 1971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출현한 이른바 ‘영남패권주의’(영남 對 비영남 구도), 또는 ‘호남인 차별 및 1980년대 호남인들의 집단적 결집’ 최영진,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도서출판 오름, 1999) 참조.
으로 거론되는 소위 지역감정 문제이다.
우리는 조선조 사회에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지역주의적 기반 위에서 경합 관계를 유지한 것을 현대사회의 요건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결론 맺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다원(多元)의 공존(共存)을 대전제(大前提)로 한다. 가령 종교로 말할 경우, ‘우리 종교만이 옳은 종교이고 다른 종교는 모두 사이비이다’는 식의 생각은 현대사회의 기본 조건을 부정하는 자격 미달의 발상이다. 민주사회에서는, 타(他)의 존재를 긍정할 줄만 안다면 정치사회 면에서든 철학사상의 면에서든 둘 이상의 집단주의가 대두되는 것 자체는 오히려 바람직한 일이다. 그렇다면, 군주의 명령을 천명(天命)으로 간주하던 조선조 사회의 독재 체제 하에서도 영남지식인 집단과 기호지식인 집단이 국가사회를 위한 애국심과 능력 발휘의 차원에서 경합 구도를 유지해 온 것은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놀랍고도 훌륭한 전통이다.
지역주의적 행동의 동인(動因)으로 지목되는 지역감정은 하나의 줄기찬 동력(動力)이다. 그것을 제거하거나 해소하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방향으로 살려 국가사회의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 승화시키는 쪽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것의 훌륭한 선례(先例)를 우리는 조선조 때 영남학파의 선비 집단과 기호학파의 선비 집단이 상호 비판과 견제를 통해 국가사회의 정상적(正常的)인 운용에 이바지한 사례로 확인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기호학파의 노론(老論)이 장기 집권을 하였음에도 영남학파의 선비들은 계속 과거 급제자를 내었고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 주로 쓰이긴 했지만 지속적으로 조선 사회의 운용에 참여하였다. 李樹健,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일조각, 1995), 13쪽 참조.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장차 한국의 지역주의 주체들에게 우리는 다음 두 가지를 필수 요건으로 요구하여야 할 것 같다. 하나는, 지역주의적 활동의 배경이론으로서 철학사상(세계관과 가치관)을 정립하고 제시하라고 요구해야 하겠다. 영남 사투리로 ‘우리가 남이가’를 복집이나 음습한 데서 비밀리에 나누는 것을 지양하고, 밝은 광장으로 나와서 떳떳하게 왜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도 우리 지역 사람들이 한국사회의 건전한 운용을 위해 단결하여 애국애족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주장하고 설득하여 인정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그 배경이 되는 철학을 밝히고 다듬어 가도록 하여야 하겠다. 조선조의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200년 이상 국가 운용의 기관차 역할을 수행하고 그 전성기로 진경시대(영ㆍ정조 시대)의 견실(堅實)함을 낳았던 것은 영남성리학과 기호성리학이 그 시대 지식인들의 기저(基底)에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라 필자는 확신한다.
다른 하나는, 수준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 주권자인 국민이 이것을 관리할 줄 알아야 하겠다. 1970년대 이래 현재까지의 한국 정치가 보여준 작태는 집권세력이 최고 권력자의 출신 지역에 국가 예산을 집중적으로 쏟아 특별히 경제기반을 닦아주거나, 또는 특정 지역을 왕따시켜 정치적 효과를 거두는 방식이었다. 조선조의 선비 집단이라면 그 반대로 처신한다. 강원도 출신의 선비는 정부 예산을 특별히 강원도에 더 많이 배정하는 것을 결코 허용할 수 없다. 이것이 ‘수준’의 문제이다.
자유 민주주의는 법이 허용하는 한 침팬지 수준의 개체 이기주의와 집단 이기주의를 허용한다. 세상에는 선과 악이 공존하듯이, 지역인의 공통된 정서에 뿌리를 두고 있는 지역주의는 지역인의 물질적 편의 쪽으로 흘러 망국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지역인의 문화적ㆍ도덕적 자존심에 근원(根源)하여 국가사회의 건전한 운용에 이바지하는 민족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후자의 실례로 우리는 그 철학사상적 배경과 함께 조선조의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영남 대 비영남’이 되었든, ‘영남 대 호남’이 되었든, 한국 사회의 지역주의가 만일 수준을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나의 입장만이 아니라 상대방의 자존심과 주의주장(主義主張)도 긍정하면서 공생(共生)하는 요령을 터득한다면, 남한 사회 내의 지역성 문제뿐만 아니라 남과 북의 분단 상황도 의외로 쉽게 실마리가 풀릴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한국의 남북 분단 상황에 대하여 혹자는 남한 지역과 북한 지역의 환경 여건에 차이가 있어 북쪽에는 공산주의 경제가 적합하고 남쪽에는 자본주의가 발달하기 쉬웠다고 볼 수도 있고, 이를테면, 李文烈, 『英雄時代』(下)(민음사, 1984), 632~633쪽의 서술.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남과 북을 갈라놓았다고 볼 수도 있다. 1930년을 전후한 시점에 개신교 안에서 당시 서북지방(황해도와 평안도)에서 크게 세력화한 북장로교 계통의 보수주의 신앙 세력과 이 세력에 반발한 비서북(非西北) 교회들 간에 일어난 대결 양상은 전적으로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한국의 서북지역에 북장로교의 보수적인 신앙이 전파된 주된 이유는 외국의 선교 단체들이 한국에 선교사업을 시작할 때 선교 지역이 겹치는 것을 피하고자 각 교파별로 한국의 여러 지역을 나눠 서북지방에는 북장로교가 들어가기로 사전에 안배된 데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민경배, 『한국의 기독교』(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년 제2판), 55쪽과 137쪽을 볼 것.
어느 요소가 어느 정도 작용했던 간에 지역주의 성향의 대두는 예견될 수 있는 것이다.
사상 및 가치관의 관점에서 말할 때 현재 우리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한국사회의 지역주의 현상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광복 후 반세기 동안 남한사회와 북한사회가 보여주고 있는 사상(思想)상의 차이이다. 다른 하나는 20세기 후반에, 특히 1971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출현한 이른바 ‘영남패권주의’(영남 對 비영남 구도), 또는 ‘호남인 차별 및 1980년대 호남인들의 집단적 결집’ 최영진,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도서출판 오름, 1999) 참조.
으로 거론되는 소위 지역감정 문제이다.
우리는 조선조 사회에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지역주의적 기반 위에서 경합 관계를 유지한 것을 현대사회의 요건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결론 맺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다원(多元)의 공존(共存)을 대전제(大前提)로 한다. 가령 종교로 말할 경우, ‘우리 종교만이 옳은 종교이고 다른 종교는 모두 사이비이다’는 식의 생각은 현대사회의 기본 조건을 부정하는 자격 미달의 발상이다. 민주사회에서는, 타(他)의 존재를 긍정할 줄만 안다면 정치사회 면에서든 철학사상의 면에서든 둘 이상의 집단주의가 대두되는 것 자체는 오히려 바람직한 일이다. 그렇다면, 군주의 명령을 천명(天命)으로 간주하던 조선조 사회의 독재 체제 하에서도 영남지식인 집단과 기호지식인 집단이 국가사회를 위한 애국심과 능력 발휘의 차원에서 경합 구도를 유지해 온 것은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놀랍고도 훌륭한 전통이다.
지역주의적 행동의 동인(動因)으로 지목되는 지역감정은 하나의 줄기찬 동력(動力)이다. 그것을 제거하거나 해소하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방향으로 살려 국가사회의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 승화시키는 쪽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것의 훌륭한 선례(先例)를 우리는 조선조 때 영남학파의 선비 집단과 기호학파의 선비 집단이 상호 비판과 견제를 통해 국가사회의 정상적(正常的)인 운용에 이바지한 사례로 확인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기호학파의 노론(老論)이 장기 집권을 하였음에도 영남학파의 선비들은 계속 과거 급제자를 내었고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 주로 쓰이긴 했지만 지속적으로 조선 사회의 운용에 참여하였다. 李樹健,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일조각, 1995), 13쪽 참조.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장차 한국의 지역주의 주체들에게 우리는 다음 두 가지를 필수 요건으로 요구하여야 할 것 같다. 하나는, 지역주의적 활동의 배경이론으로서 철학사상(세계관과 가치관)을 정립하고 제시하라고 요구해야 하겠다. 영남 사투리로 ‘우리가 남이가’를 복집이나 음습한 데서 비밀리에 나누는 것을 지양하고, 밝은 광장으로 나와서 떳떳하게 왜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도 우리 지역 사람들이 한국사회의 건전한 운용을 위해 단결하여 애국애족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주장하고 설득하여 인정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그 배경이 되는 철학을 밝히고 다듬어 가도록 하여야 하겠다. 조선조의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200년 이상 국가 운용의 기관차 역할을 수행하고 그 전성기로 진경시대(영ㆍ정조 시대)의 견실(堅實)함을 낳았던 것은 영남성리학과 기호성리학이 그 시대 지식인들의 기저(基底)에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라 필자는 확신한다.
다른 하나는, 수준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 주권자인 국민이 이것을 관리할 줄 알아야 하겠다. 1970년대 이래 현재까지의 한국 정치가 보여준 작태는 집권세력이 최고 권력자의 출신 지역에 국가 예산을 집중적으로 쏟아 특별히 경제기반을 닦아주거나, 또는 특정 지역을 왕따시켜 정치적 효과를 거두는 방식이었다. 조선조의 선비 집단이라면 그 반대로 처신한다. 강원도 출신의 선비는 정부 예산을 특별히 강원도에 더 많이 배정하는 것을 결코 허용할 수 없다. 이것이 ‘수준’의 문제이다.
자유 민주주의는 법이 허용하는 한 침팬지 수준의 개체 이기주의와 집단 이기주의를 허용한다. 세상에는 선과 악이 공존하듯이, 지역인의 공통된 정서에 뿌리를 두고 있는 지역주의는 지역인의 물질적 편의 쪽으로 흘러 망국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지역인의 문화적ㆍ도덕적 자존심에 근원(根源)하여 국가사회의 건전한 운용에 이바지하는 민족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후자의 실례로 우리는 그 철학사상적 배경과 함께 조선조의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영남 대 비영남’이 되었든, ‘영남 대 호남’이 되었든, 한국 사회의 지역주의가 만일 수준을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나의 입장만이 아니라 상대방의 자존심과 주의주장(主義主張)도 긍정하면서 공생(共生)하는 요령을 터득한다면, 남한 사회 내의 지역성 문제뿐만 아니라 남과 북의 분단 상황도 의외로 쉽게 실마리가 풀릴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