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혈구 관찰 실험
1. 사람의 혈구관찰
2. 개구리의 혈구 관찰
3. 혈액의 기능
1. 사람의 혈구관찰
2. 개구리의 혈구 관찰
3. 혈액의 기능
본문내용
T-세포와 B-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4) 혈우병 :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과 혈장 단백질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이 병은 반성 열성유전한다.
정리
혈액은 선홍색 또는 암적색의 불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액체로서 짠맛과 특유한 냄새가 있다. 총량은 체중의 약 1/13에 상당하며 약 4~5ℓ이다. 혈액의 성분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고형성분과 혈장의 액체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그 비율은 혈구 35%와 혈장 65%로 구성되어 있다.
적혈구
세포성분(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액 혈병
섬유소원
액체성분(혈장) 응고인자 일부
혈청
< 혈액의 구성 성분 >
1. 적혈구 : 양면이 약간 패인 원판 모양으로서 혈색소(hemoglobin)이라는 색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육안으로는 빨갛게 보인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며 낡아지면 비장과 간장에서 파괴된다. 혈색소는 일종의 단백질로서 철(Fe)을 포함하고 있으며 산소가 많은 곳에서는 용이하게 산소와 결합하고 산소가 적은 곳에서는 쉽게 산소를 떼어버리는 성질이 있다. 적혈구는 그 속에 있는 혈색소가 산소와 결합되면 선홍색을 띤 동맥혈이 되고, 산소를 잃고 탄산가스를 얻으면 암적색을 나타내어 정맥혈이 된다. 건강인의 적혈구 수는 혈액 1㎖속에 남자는 500만개, 여자는 150만개 가량이 있다.
2. 백혈구 : 백혈구는 적혈구 보다 좀더 크며, 핵(核)을 가진 무색의 세포로서 혈액속에서 아메바(Amoeba)와 같이 활발하게 운동하면서 체내에 침입한 병원균 등을 잡아먹는 식균작용(食菌作用)이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혈관 밖으로도 뛰쳐나와서 활동을 한다. 임파선(淋巴腺)비장(脾臟)등에서 만들어지며 낡아지면 비장에서 파괴된다. 백혈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모양이나 핵(核) 그리고 색소에 대한 염색 정도에 따라서 임파구(淋巴球)단구(單球)분엽핵백혈구(分葉核白血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비율은 생리적으로 거의 일정하나 병이 발생했을 때에는 변하므로 진단에 응용되고 있으며, 백혈구의 수는 혈액 1㎖속에 7,000~8,000개가 있다.
적혈구는 포유동물에서 원반상의 무핵세포지만 다른 척추동물에서는 타원형의 유핵세포이다.
3. 혈소판(血小板) : 크기가 적혈구의 약 절반 정도로 무색의 오목한 원판상이며 혈액이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상 혈관 속에 존재하며 혈관 밖으로 나오면 곧 파괴된다. 혈소판의 수는 혈액 1㎖속에 약 50만개가 있다. 혈소판은 원래 혈관에 상처가 생겼을 때에 출혈을 막기 위해서 덩어리져서 상처를 막아버리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이것이 보통 때에도 덩어리져서 혈전(血栓)을 만들기도 한다. 바로 이 점이 성인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4. 혈장(血漿) : 적혈구백혈구혈소판 등의 유형성분을 제외한 노란빛을 띤 투명한 액체로서, 단백질이 많으며 소량의 당분지방식염면역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단백질 가운데는 섬유소원(纖維素原)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이 혈액의 응고작용을 돕고 또 면역체에 의하여 세균 및 독소 등을 무해하게 하는 작용도 한다.
4) 혈우병 :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과 혈장 단백질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이 병은 반성 열성유전한다.
정리
혈액은 선홍색 또는 암적색의 불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액체로서 짠맛과 특유한 냄새가 있다. 총량은 체중의 약 1/13에 상당하며 약 4~5ℓ이다. 혈액의 성분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고형성분과 혈장의 액체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그 비율은 혈구 35%와 혈장 65%로 구성되어 있다.
적혈구
세포성분(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액 혈병
섬유소원
액체성분(혈장) 응고인자 일부
혈청
< 혈액의 구성 성분 >
1. 적혈구 : 양면이 약간 패인 원판 모양으로서 혈색소(hemoglobin)이라는 색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육안으로는 빨갛게 보인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며 낡아지면 비장과 간장에서 파괴된다. 혈색소는 일종의 단백질로서 철(Fe)을 포함하고 있으며 산소가 많은 곳에서는 용이하게 산소와 결합하고 산소가 적은 곳에서는 쉽게 산소를 떼어버리는 성질이 있다. 적혈구는 그 속에 있는 혈색소가 산소와 결합되면 선홍색을 띤 동맥혈이 되고, 산소를 잃고 탄산가스를 얻으면 암적색을 나타내어 정맥혈이 된다. 건강인의 적혈구 수는 혈액 1㎖속에 남자는 500만개, 여자는 150만개 가량이 있다.
2. 백혈구 : 백혈구는 적혈구 보다 좀더 크며, 핵(核)을 가진 무색의 세포로서 혈액속에서 아메바(Amoeba)와 같이 활발하게 운동하면서 체내에 침입한 병원균 등을 잡아먹는 식균작용(食菌作用)이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혈관 밖으로도 뛰쳐나와서 활동을 한다. 임파선(淋巴腺)비장(脾臟)등에서 만들어지며 낡아지면 비장에서 파괴된다. 백혈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모양이나 핵(核) 그리고 색소에 대한 염색 정도에 따라서 임파구(淋巴球)단구(單球)분엽핵백혈구(分葉核白血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비율은 생리적으로 거의 일정하나 병이 발생했을 때에는 변하므로 진단에 응용되고 있으며, 백혈구의 수는 혈액 1㎖속에 7,000~8,000개가 있다.
적혈구는 포유동물에서 원반상의 무핵세포지만 다른 척추동물에서는 타원형의 유핵세포이다.
3. 혈소판(血小板) : 크기가 적혈구의 약 절반 정도로 무색의 오목한 원판상이며 혈액이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상 혈관 속에 존재하며 혈관 밖으로 나오면 곧 파괴된다. 혈소판의 수는 혈액 1㎖속에 약 50만개가 있다. 혈소판은 원래 혈관에 상처가 생겼을 때에 출혈을 막기 위해서 덩어리져서 상처를 막아버리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이것이 보통 때에도 덩어리져서 혈전(血栓)을 만들기도 한다. 바로 이 점이 성인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4. 혈장(血漿) : 적혈구백혈구혈소판 등의 유형성분을 제외한 노란빛을 띤 투명한 액체로서, 단백질이 많으며 소량의 당분지방식염면역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단백질 가운데는 섬유소원(纖維素原)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이 혈액의 응고작용을 돕고 또 면역체에 의하여 세균 및 독소 등을 무해하게 하는 작용도 한다.
추천자료
다혈구혈증
맥관계 구조와 기능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간호사정
(식사요법C형)갑상선기능 저하와 항진증의 발생현황과 증상 및 식사요법
성인 간호학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내분비기능진단검사
[간호학]신기능검사
3. 혈구와 삼투현상_결과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나 병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종류 및 효능 소개
심폐물리치료 - 심장기능부전에 관해
[간호학][근골격계 정리][구조와 기능] 주요질환,약어, 문헌고찰
[생애주기영양학] 노인기에는 생리적 기능과 일상 활동량이 감소 올바른 영양관리 방법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