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읽기교육이란 무엇인가
1-2 문학교육에 대한 점검
2-1 읽기 및 문학 영역의 교육
2-2 제7차 초등학교<읽기>교과서
2-3 읽기 및 문학교육의 교수학습
2-4 읽기 및 문학 평가
3-1 읽기 교육의 특수 문제
3-2 문학교육의 쟁점
1-2 문학교육에 대한 점검
2-1 읽기 및 문학 영역의 교육
2-2 제7차 초등학교<읽기>교과서
2-3 읽기 및 문학교육의 교수학습
2-4 읽기 및 문학 평가
3-1 읽기 교육의 특수 문제
3-2 문학교육의 쟁점
본문내용
개별적으로 평가해서는 읽기 능력을 올바로 평가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 전체적인 이해 상태를 그대로 평가하는 방식.
평가 주체에 따른
교사 평가
학생 자체 평가
읽기 활동의 주변적 요인에 대한 평가
읽기 흥미 평가
읽기 환경 평가
가정 읽기 활동 평가
▶읽기 평가의 원리
⑴ 언어 사용력 평가는 언어의 총체성(의사 소통성, 의미)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⑵ 읽기는 하나의 과정으로 파악해야 한다.
⑶ 교사의 직관은 가장 가치 있는 평가 도구이다.
⑷ 평가의 핵심은 교사의 관찰이다.
⑸ 읽기 과정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반영해야 한다.
⑹ 규준 지향 평가(norm-referenced test, 상대평가)는 교사나 학생들에게 별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가급적 줄여야 한다.
⑺ 평가 장면은 다양화해야 한다.
⑻평가는 수업의 필수적인 한 부분이다.
⑼ 평가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⑽ 평가는 각 학생의 강점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⑾ 평가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역
기존의 관점
새로운 관점
목적(초점)
학업 성취도 측정 및 선별
교수 학습의 질 개선
평가 대상
사고의 결과
사고의 과정
글의 단위
짧은 문장이나 문단
한 편의 글
평가 방식
상대 평가 중시
절대 평가 중시
개인차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음
중요시함
강조점
글의 내용(지식, 개념)
읽기 수행력(기능, 전략)
통합성
개개 문장이나 문단의
중심 생각 파악에 치중
글을 전체적으로 보아
글 내용의 통합을 강조
관계성
개개 기능 강조
기능간의 복합적 관계 중시
주요 읽기 평가 방법
평가 방법 단일
(주로 선다형 검사)
평가 방법 다양
(포트폴리오법, 중요도 평정법 등)
▶관점의 변화에 의한 평가의 방향
3-1. 읽기 교육의 특수 문제
(1)읽기 교육에서 확인해야 할 요소
-표현이해, 이해해석감상수용, 언어사고문화
-독서권, 독서 문화
-literacy, readabilility
-과잉 해석과 과소 해석
*어떤 글이나 말의 함축된 의미는 생략하고 의식 무의식적으로 이런 지나친 강조의 오류
ex)" 이웃을 사랑하라" " 옆집 아내를 탐내지 마라"라는 말에서 이웃이나 옆집만 강조하여 이웃 아닌 사람은 사랑하지 않아도 된다거나, 옆집 아내 아닌 다른 사람의 아내는 탐해도 된다고 해석하는 경우
-범교과적 독서(acrossed curriculum)
-독서 학습학습 독서
-문자 지도 방법
-고전 혹은 정전성, 독서 목록
*정전(正典,cannon):역사적문화적 검증을 거쳐 하나의 합의된 문학적 가치로 합의된 문학텍스트. 소위 원전(原典)으로서의 정통성을 가지는 것. →문학교육의 내용은 원칙적으로 정전을 기준으로 해 야 한다.
-한자 사용 문제, 외국어 교육과의 관계
-읽기 지도와 문학 교육
-읽기 부진아 해소 방안
-교재 선정과 활용, 보조 교재
-발달성에 따른 지도 중점의 변화
-학교 밖의 읽기
(2)문식성에 대하여
*문식성(literacy)의 개념
-literacy의 의미: 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 글을 아는 것.
-문식성의 의미: ‘글을 아는 것’이라는 단어에 이를 추상 명사로 만들 때에 붙이는 접미사 ‘성’을 붙인 것. ‘글자를 바르게 발음하면서 읽을 수 있는 정도’. ‘문장 이상의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일상생활의 읽기 및 쓰기에서 글을 어느 정도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음’
기초 문식성: 글자 깨치기, 텍스트의 이해 등
Spache-일련의 단어 지각
Kaestle-기초적 수준에서 언어를 해독하고 이해하는 능력 즉 문자 언어를 보면서 이를 일상 구두 언어에 일치시켜 읽고 이해하는 능력
기능적 문식성: 목표 중심의 의사소통 추구
Goodman-심리언어학적 추측놀이
Venezky-인지적 기능
Calfee & Nelson-Barber- 사고와 의사 소통의 도구로서 언어를 활용하는 능력
문화적 문식성: 문화적 실천 양식과 관련
Scribner-적응, 권력, 영예
Resnick- 문화적 관행
Gee-상이한 권력 관계 및 구조 속에서의 행동 방식과 말하기 방식
다중 문식성: 매체 발달에 근거
→공통점: 실제 생활 속에서의 기능 강조. 글을 읽고 쓰는 일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있다.
(3)한글 깨치기 지도 방법
①해독과 독해
해독: 어떤 부호체계에서 표현된 형태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는 것.
부호화된 문자를 보다 더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함.
독해: 글을 읽어 이해함.
*읽기의 본질: 초기에는 문자를 해독하는 것으로 봄.→점차 읽기에는 복잡한 정신능력이 작용한다고 봄.
-행동주의 심리학: 읽기를 기호를 해독하는 과정으로 봄. 문자를 음성으로 번역하는 과정을 중시
-인지심리학: 독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개념을 조작하여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것. 텍스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해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지식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가지 단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해가 이루어진다고 봄.
∴ 읽기의 목적은 단순히 문자기호를 음성기호로 변환하는 것(해독)이 아니라, 내용을 이해(독해)하는 것이므로 읽기를 ‘이해하기’라고 규정할 수 있으나, 이것은 해독이라는 필수적인 과정을 거쳐야 가능하다.
②읽기 지도 단계
저학년: 해독(decoding)→고학년: 이해하기(comprehension)→독립적 읽기(independent reading)
③저학년의 한글 깨치기 지도방법: 해독차원에서 글자 깨치기
-형식 중심 접근 음운식
음절식
-의미 중심 접근 단어식
문장식
-경험 중심 접근 이야기 접근법
3-2. 문학 교육의 쟁점
-문학의 본질에 관한: 문학의 개념 범주, 문학 행위의 심리적 구조, 문학 문화의 개념과 특성
-문학교육의 성격에 관한: 언어교육과의 관계, 문학 학력의 개념과 문학교육의 가능역, 문학교 육에서의 창의성과 규범성
-문학교육의 변인에 관한: 문학 지식의 구조, 문학 경험의 다양성, 문학 능력의 구조와 발달단 계..
-문학교육의 구체적 방법에 관한: 교수학습 모형의 의의와 하부 구조, 교재의 성격과 조건, 평가 방법과 결과 활용, 창작 지도의 방법..
-기타: 작자의 문제, 시대의 문제, 번역 문학고전 문학북한 문학의 수용..
평가 주체에 따른
교사 평가
학생 자체 평가
읽기 활동의 주변적 요인에 대한 평가
읽기 흥미 평가
읽기 환경 평가
가정 읽기 활동 평가
▶읽기 평가의 원리
⑴ 언어 사용력 평가는 언어의 총체성(의사 소통성, 의미)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⑵ 읽기는 하나의 과정으로 파악해야 한다.
⑶ 교사의 직관은 가장 가치 있는 평가 도구이다.
⑷ 평가의 핵심은 교사의 관찰이다.
⑸ 읽기 과정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반영해야 한다.
⑹ 규준 지향 평가(norm-referenced test, 상대평가)는 교사나 학생들에게 별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가급적 줄여야 한다.
⑺ 평가 장면은 다양화해야 한다.
⑻평가는 수업의 필수적인 한 부분이다.
⑼ 평가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⑽ 평가는 각 학생의 강점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⑾ 평가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역
기존의 관점
새로운 관점
목적(초점)
학업 성취도 측정 및 선별
교수 학습의 질 개선
평가 대상
사고의 결과
사고의 과정
글의 단위
짧은 문장이나 문단
한 편의 글
평가 방식
상대 평가 중시
절대 평가 중시
개인차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음
중요시함
강조점
글의 내용(지식, 개념)
읽기 수행력(기능, 전략)
통합성
개개 문장이나 문단의
중심 생각 파악에 치중
글을 전체적으로 보아
글 내용의 통합을 강조
관계성
개개 기능 강조
기능간의 복합적 관계 중시
주요 읽기 평가 방법
평가 방법 단일
(주로 선다형 검사)
평가 방법 다양
(포트폴리오법, 중요도 평정법 등)
▶관점의 변화에 의한 평가의 방향
3-1. 읽기 교육의 특수 문제
(1)읽기 교육에서 확인해야 할 요소
-표현이해, 이해해석감상수용, 언어사고문화
-독서권, 독서 문화
-literacy, readabilility
-과잉 해석과 과소 해석
*어떤 글이나 말의 함축된 의미는 생략하고 의식 무의식적으로 이런 지나친 강조의 오류
ex)" 이웃을 사랑하라" " 옆집 아내를 탐내지 마라"라는 말에서 이웃이나 옆집만 강조하여 이웃 아닌 사람은 사랑하지 않아도 된다거나, 옆집 아내 아닌 다른 사람의 아내는 탐해도 된다고 해석하는 경우
-범교과적 독서(acrossed curriculum)
-독서 학습학습 독서
-문자 지도 방법
-고전 혹은 정전성, 독서 목록
*정전(正典,cannon):역사적문화적 검증을 거쳐 하나의 합의된 문학적 가치로 합의된 문학텍스트. 소위 원전(原典)으로서의 정통성을 가지는 것. →문학교육의 내용은 원칙적으로 정전을 기준으로 해 야 한다.
-한자 사용 문제, 외국어 교육과의 관계
-읽기 지도와 문학 교육
-읽기 부진아 해소 방안
-교재 선정과 활용, 보조 교재
-발달성에 따른 지도 중점의 변화
-학교 밖의 읽기
(2)문식성에 대하여
*문식성(literacy)의 개념
-literacy의 의미: 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 글을 아는 것.
-문식성의 의미: ‘글을 아는 것’이라는 단어에 이를 추상 명사로 만들 때에 붙이는 접미사 ‘성’을 붙인 것. ‘글자를 바르게 발음하면서 읽을 수 있는 정도’. ‘문장 이상의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일상생활의 읽기 및 쓰기에서 글을 어느 정도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음’
기초 문식성: 글자 깨치기, 텍스트의 이해 등
Spache-일련의 단어 지각
Kaestle-기초적 수준에서 언어를 해독하고 이해하는 능력 즉 문자 언어를 보면서 이를 일상 구두 언어에 일치시켜 읽고 이해하는 능력
기능적 문식성: 목표 중심의 의사소통 추구
Goodman-심리언어학적 추측놀이
Venezky-인지적 기능
Calfee & Nelson-Barber- 사고와 의사 소통의 도구로서 언어를 활용하는 능력
문화적 문식성: 문화적 실천 양식과 관련
Scribner-적응, 권력, 영예
Resnick- 문화적 관행
Gee-상이한 권력 관계 및 구조 속에서의 행동 방식과 말하기 방식
다중 문식성: 매체 발달에 근거
→공통점: 실제 생활 속에서의 기능 강조. 글을 읽고 쓰는 일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있다.
(3)한글 깨치기 지도 방법
①해독과 독해
해독: 어떤 부호체계에서 표현된 형태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는 것.
부호화된 문자를 보다 더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함.
독해: 글을 읽어 이해함.
*읽기의 본질: 초기에는 문자를 해독하는 것으로 봄.→점차 읽기에는 복잡한 정신능력이 작용한다고 봄.
-행동주의 심리학: 읽기를 기호를 해독하는 과정으로 봄. 문자를 음성으로 번역하는 과정을 중시
-인지심리학: 독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개념을 조작하여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것. 텍스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해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지식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가지 단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해가 이루어진다고 봄.
∴ 읽기의 목적은 단순히 문자기호를 음성기호로 변환하는 것(해독)이 아니라, 내용을 이해(독해)하는 것이므로 읽기를 ‘이해하기’라고 규정할 수 있으나, 이것은 해독이라는 필수적인 과정을 거쳐야 가능하다.
②읽기 지도 단계
저학년: 해독(decoding)→고학년: 이해하기(comprehension)→독립적 읽기(independent reading)
③저학년의 한글 깨치기 지도방법: 해독차원에서 글자 깨치기
-형식 중심 접근 음운식
음절식
-의미 중심 접근 단어식
문장식
-경험 중심 접근 이야기 접근법
3-2. 문학 교육의 쟁점
-문학의 본질에 관한: 문학의 개념 범주, 문학 행위의 심리적 구조, 문학 문화의 개념과 특성
-문학교육의 성격에 관한: 언어교육과의 관계, 문학 학력의 개념과 문학교육의 가능역, 문학교 육에서의 창의성과 규범성
-문학교육의 변인에 관한: 문학 지식의 구조, 문학 경험의 다양성, 문학 능력의 구조와 발달단 계..
-문학교육의 구체적 방법에 관한: 교수학습 모형의 의의와 하부 구조, 교재의 성격과 조건, 평가 방법과 결과 활용, 창작 지도의 방법..
-기타: 작자의 문제, 시대의 문제, 번역 문학고전 문학북한 문학의 수용..
추천자료
[교육평가]중학교 수학과교육평가(수학교육평가), 중학교 국어과교육평가(국어교육평가), 중...
영어과교육평가(영어평가),국어과교육평가(국어평가),수학과교육평가(수학평가),과학과교육평...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과학과평가(...
[교육연극][연극]교육연극의 의미, 교육연극의 기대효과, 교육연극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학습평가][교육평가][수학][국어][과학][도덕][실과][음악][체육]수학교육 학습평가, 국어교...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 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 과학과평...
[학습평가][교육평가]국어과(국어교육)의 학습평가,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평가, 수학과(수...
[평가기준][국어과교육][영어과교육][공통사회과교육][공통과학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과교...
[교육평가][국어과교육][수학과교육][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도덕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
[북한의 교육][북한교육][국어교육][사회교육][도덕교육][세계사교육][영재교육][사상교육]북...
[북한의 교육][북한의 국어교육][북한의 영어교육][북한의 역사교육][북한의 도덕교육][북한...
[수업아이디어]미술수업(미술교육)아이디어, 국어수업(국어교육)아이디어, 수학수업(수학교육...
체육수업아이디어(체육교육아이디어), 국어수업아이디어(국어교육아이디어), 사회수업아이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