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간호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문간호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역사회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3. 건강문제 도출

Ⅱ. 지역사회 간호진단
1. 간호문제 도출
2. 간호진단 수립
3. 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Ⅲ. 지역사회 간호계획
1. 목표설정
2. 수행계획

Ⅳ. 지역사회 간호수행: 아니함

Ⅲ. 지역사회 간호평가: 아니함

* 첨부자료 *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트 확인
-고혈압교실 참석여부 확인
-혈압 수치
-이전 혈압과의 비교
보건교육
방문간호사
간호 학생
방문시마다
-고혈압의 증상 및 합병증을 설명하게 함
-스스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지 시범보이게 함
-고혈압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을 설명하게 함
-고혈압에 대한 지식정도
(설문지)
-혈압측정관찰
관 리
방문간호사
간호 학생
방문시마다
-고혈압관리를 하지 않으면 어떠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지 표현하게 한다.
-면담 및 질문
Ⅳ. 지역사회 간호수행: 아니함
Ⅴ. 지역사회 간호평가: 아니함
*첨부*
★울주군 보건소 노인 건강교실★
1. 노인건강체조
어르신을 위한 건강체조 사업으로 만성퇴행성질환 예방, 정신건강의 활성화 및 운동실천분위기를 조성하여 어르신들에게 건강한 노후생활을 향유하도록 만들고자 합니다.
일시 : 매주 월, 화, 목, 금(11:00~12:00)
장소 및 대상 : 경로당4개소(온산덕신, 언양중앙, 범서청구, 장백경로당), 노인대학2개소
(서부노인, 은빛노인대학) 이용노인
내용 : 건강체조
강사 : 울주군생활체육협의회 전문강사
2. 보건교육
뇌졸중 예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생활실천율을 높이고, 나아가서 자기건강생활실천 습관을 길러주고자 합니다.
일시 : 3월~11월 월1회 경로당별 순회보건교육 실시
장소 및 대상 : 경로당4개소(온산덕신, 언양중앙, 범서청구, 장백경로당), 노인대학2개소
(서부노인, 은빛노인대학) 이용노인
내용 : 고혈압, 금연, 노인의 영양, 뇌졸중, 절주, 노년기 사고예방, 치매
강사 : 공보의, 간호사, 영양사, 외부강사(자원봉사)
3. 건강상담 및 관리
일시 : 주1회 연중관리
장소 및 대상 : 경로당4개소(온산덕신, 언양중앙, 범서청구, 장백경로당), 노인대학2개소
(서부노인, 은빛노인대학) 이용노인
방법 : 간호사, 건강도우미 경로당 방문관리
내용 : 혈압체크, 혈당체크, 건강상담, 병의원 의뢰
4. 한방서비스
일시 : 6월~12월
대상 : 온산덕신, 범서청구, 웅촌장백경로당 이용노인
내용 : 침, 뜸, 물리치료
방법 : 한방진료팀이 대상경로당을 수시로 방문하여 서비스제공
인력 : 한방공보의, 일용간호사
5. 경로당순회진료
일시 : 7월~12월
대상 : 경로당 4개소 (온산덕신, 언양중앙, 범서청구, 웅촌장백)
노인대학 2개소 (서부노인, 은빛노인) 이용노인
내용 : 진료 및 투약, 고위험 환자 병원연계, 혈압 및 혈당 관리
방법 : 진료팀이 대상 경로당을 수시로 방문하여 서비스 제공
인력 : 공보의, 담당자, 일용간호사
★대상자를 위한 운동요법★
1. 스트레칭운동
관절이 이미 굳은 경우 스트레칭운동을 한다. 안 구부러지는 관절을 구부리려고 힘을 주면서 30초동안 유지한다. 안 펴지는 관절도 같은 방법으로 운동한다.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운동은 다음과 같다.
① 어깨 의자에 앉아 한쪽 손을 앞으로 내밀어 안쪽으로 힘껏 돌린다. 어깨에 힘을 빼고 손 을 내민 쪽의 어깨가 반대쪽보다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② 골반 의자에 앉아 한쪽 팔꿈치를 굽혀 올리고 반대쪽 팔꿈치와 엇갈려 당긴다.
③ 장딴지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린 후 한쪽 발을 앞으로 내딛고 무릎을 굽힌다. 뒤쪽 다리는 쭉 편 상태에서 발가락을 살짝 들어 올려 안쪽으로 틀어준다.
2. 관절운동
몸에 있는 모든 관절을 하루 6번씩 최대한 구부렸다 편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살펴보자.
① 목 앞으로 숙이고 뒤로 젖힌다. 좌우로 숙인다. 양쪽으로 고개를 돌려 바라본다. 한바퀴 빙 돌리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한다.
② 어깨 팔을 앞, 뒤로 올린다. 옆으로 벌려 올린다. 팔을 벌린 상태에서 팔꿈치를 위, 아래 로 돌린다.
③ 팔꿈치 팔꿈치를 최대한 구부렸다가 편다. 팔꿈치를 굽힌 채 손목을 돌린다.
④ 손목 위로 젖히고 아래로 굽힌다. 새끼손가락쪽, 엄지손가락쪽으로 젖힌다.
⑤ 손가락 마디마다 구부렸다가 편다.
⑥ 허리 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천천히 앞, 뒤로 숙이되 반동을 주지 않는다. 양쪽으로 숙 인다. 허리를 좌우로 돌려 바라본다.
⑦ 엉덩이관절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굽혀 끌어올린다. 엎드려 누워 다리를 들어올린다. 옆으 로 누워 위쪽 다리를 들어 올렸다가, 아래쪽 다리를 들어 교차시킨다. 걸터앉은 상태에 서 무릎을 좌우로 돌린다.
⑧ 무릎=엎드려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최대한 구부렸다가 편다.
⑨ 발목 의자에 걸터앉아 발목을 위, 아래로 젖힌다.
관절이 붓고 열날 때, 힘이 없어 관절을 구부리지 못할 때 보호자가 도와야 한다. 보호자는 한 손으로 운동하는 관절을, 다른 손으로 관절 근처를 잡고, 관절이 움직이는 모든 방향으로 운동시킨다. 관절이 굳지 않도록 아침 저녁 한번씩 운동을 하고, 열과 통증이 없어지면 환자 혼자 운동을 한다. 수영장에선 통증 없이 관절운동을 할 수 있다.
3. 유산소운동
대표적인 유산소운동은 걷기, 조깅, 등산, 수영, 자전거 등이다. 그러나 체중이 실리는 관절 즉 발목, 발, 무릎, 고관절에 관절염이 있는 경우 걷기나 뛰기는 좋지 않다. 러닝머신에서 운동을 하다가 무릎 관절염이 더 심해진 경우가 많다. 먼저 근육운동으로 무릎주위의 근육을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무릎 관절염에 가장 좋은 것은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다.
수영을 배울 필요는 없으며 물속에서 걷기만 해도 된다. 물이 허리 이상 차는 곳에서 걸어야 부력의 효과를 얻어 체중이 덜 실린다. 자전거운동도 언덕이나 바닥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타면 관절에 더 큰 충격을 준다. 헬스클럽의 고정식 자전거를 이용해야 하며 이 때에도 뻑뻑한 정도를 조절하는 저항기를 완전히 풀어 헐겁게 운동해야 한다.
또 엉덩이 크기에 비해 안장이 너무 작을 경우에 허리가 아플 수 있다. 운동시간은 15분부터 시작해서 일주일에 5분씩 늘려, 최대 60분까지 운동한다.
*참고자료*
울주군 보건소 홈페이지 http://health.ulju.ulsan.kr/
울주군청 홈페이지 http://www.ulju.ulsan.kr/
국민고혈압사업단 http://www.hypertension.or.kr/
http://cafe.daum.net/paper1919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3.28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