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작업치료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작업치료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절. 역사적 발전과정
1. 역사적 배경과 시작
(1) 고대 그리스와 로마
(2) 유럽의 르네상스
(3) 18세기와 19세기
2. 현대 작업치료의 발생
(1) 영국
(2) 미국
(3) 캐나다와 호주
3.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

제2절. 우리나라의 작업치료
1. 작업치료의 시작
2. 작업치료협회의 창설

본문내용

원의 설립으로 시작되었으며, 1953년에 정양원이 국립재활원으로 명칭을 바꾸어 재활의학의 발판을 구축하게 된다. 오정희는 한국 재활의학의 중추적 역할을 했으며, 1954년부터 199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미국과 캐나다의 선교사들이 병원과 학교에서 작업치료와 교육을 하며 작업치료의 씨를 뿌렸다. 미국에 건너가 한국인 최초로 미국 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Esther Park이 한미재단직원으로 60년대 초 고국으로 돌아와 국립재활원에서 오정희와 작업치료의 서막을 열었으며, 1979년 연세대학교 보건학과 재활의학기술학 전공에서 작업치료학을 가르치는 정규과정이 설립되어 최초의 정규교육이 시작되었다.
2. 작업치료협회의 창설
1969년 한국 최초의 작업치료사인 최귀자가 탄생되어 1993년 10월 전까지 작업치료사들은 대한물리치료사 협회의 소속으로 활동해야했다. 그러나, 1983년 한국작업치료사 1차 모임을 시작으로 1988년 작업치료사협회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그 후 보건복지부로부터 승인을 받아 대한작업치료사협회를 발족하여 공식기구가 출범하게 되었다. 1998년에는 세계작업치료사연맹에 4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함으로써 세계화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KAOT)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4.0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