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음식문화의 형성 배경
1) 자연적 사회적 배경
2) 역사적 배경
2. 중국 음식의 특징
1) 일반적 특징
2) 지역별 특징
3) 상해 요리 = 상하이 요리
4) 사천 요리 = 쓰촨요리
3. 중국의 명절과 음식문화
4. 중국요리의 식단
1) 식단의 분류
2) 식단의 구성 및 준비
3) 식단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
5. 중국요리의 식사예절
1) 식사와 관련 풍습
2) 중국의 일상식
6. 중국의 차
☙ 참고문헌
1) 자연적 사회적 배경
2) 역사적 배경
2. 중국 음식의 특징
1) 일반적 특징
2) 지역별 특징
3) 상해 요리 = 상하이 요리
4) 사천 요리 = 쓰촨요리
3. 중국의 명절과 음식문화
4. 중국요리의 식단
1) 식단의 분류
2) 식단의 구성 및 준비
3) 식단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
5. 중국요리의 식사예절
1) 식사와 관련 풍습
2) 중국의 일상식
6. 중국의 차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볼 때 단결, 화합의 단체의식을 나타내는 것이 젓가락이며,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으면 바로 공동 식사를 의미
우리나라에서의 반찬을 제외한 국과 밥은 개인별로 나누어 상을 차리는 것과는 달리 중국은 일반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원탁에 한 가지 요리를 한 접시에 모두 담아 판을 돌려 가며 나누어 먹는 것이 풍습
중국인들이 식당에서 식사를 할 때는 술을 주문하여 마시는 (혹 여자의 경우는 야자액이나 기타 음료를 마신다) 모습을 흔히 보게 되는데 일반 가정에서 자기들끼리 식사할 때는 술을 거의 마시지 않음
2) 중국의 일상식
아침은 대개 만두 (일반적으로 속에 아무것도 없는 찐빵)나 죽을 먹고, 점심 때는 딴웨이(직장) 주변 혹은 구내의 식당에서 한끼를 해결
중국인들은 아침, 점심을 간단한 면이나 빵으로 먹는 반면, 저녁은 가족이나 친지들과 어울려 잘 먹는 경향
① 죽
- 희반이라고도 하며 흰죽인 백죽과 재죽으로 나뉨
- 피단수육죽, 급제죽, 계용죽, 전복죽, 어남죽, 어환죽, 하인죽 등이 있다. 옥비죽, 핵도락, 율자죽.
② 콩국
-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두유를 뜨겁게 데운 것.
③ 유조
- 밀가루에 명반과 잿물을 넣어 반죽한 것을 얇게 늘여서 기름에 튀긴 것
④ 장분
- 아침에 먹는 서민적인 음식으로 미분탕이라고도 한다.
6. 중국의 차
n 발효의 유무와 색깔에 의한 분류
① 흑차
② 백차
③ 홍차
④ 황차
⑤ 청차
⑥ 녹차
⑦ 화차
참고문헌
- <중국음식> , 우샤오리 , 김영사, 2004
- <중화요리에 담긴 중국>, 고광석 지음 ,매일경제 신문사, 2002
- <공자의 식탁> , 張競 지음 , 박해순
우리나라에서의 반찬을 제외한 국과 밥은 개인별로 나누어 상을 차리는 것과는 달리 중국은 일반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원탁에 한 가지 요리를 한 접시에 모두 담아 판을 돌려 가며 나누어 먹는 것이 풍습
중국인들이 식당에서 식사를 할 때는 술을 주문하여 마시는 (혹 여자의 경우는 야자액이나 기타 음료를 마신다) 모습을 흔히 보게 되는데 일반 가정에서 자기들끼리 식사할 때는 술을 거의 마시지 않음
2) 중국의 일상식
아침은 대개 만두 (일반적으로 속에 아무것도 없는 찐빵)나 죽을 먹고, 점심 때는 딴웨이(직장) 주변 혹은 구내의 식당에서 한끼를 해결
중국인들은 아침, 점심을 간단한 면이나 빵으로 먹는 반면, 저녁은 가족이나 친지들과 어울려 잘 먹는 경향
① 죽
- 희반이라고도 하며 흰죽인 백죽과 재죽으로 나뉨
- 피단수육죽, 급제죽, 계용죽, 전복죽, 어남죽, 어환죽, 하인죽 등이 있다. 옥비죽, 핵도락, 율자죽.
② 콩국
-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두유를 뜨겁게 데운 것.
③ 유조
- 밀가루에 명반과 잿물을 넣어 반죽한 것을 얇게 늘여서 기름에 튀긴 것
④ 장분
- 아침에 먹는 서민적인 음식으로 미분탕이라고도 한다.
6. 중국의 차
n 발효의 유무와 색깔에 의한 분류
① 흑차
② 백차
③ 홍차
④ 황차
⑤ 청차
⑥ 녹차
⑦ 화차
참고문헌
- <중국음식> , 우샤오리 , 김영사, 2004
- <중화요리에 담긴 중국>, 고광석 지음 ,매일경제 신문사, 2002
- <공자의 식탁> , 張競 지음 , 박해순
추천자료
[식생활과문화]동남아시아 음식문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식생활과문화)세계의 여러 종교가 음식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독일문화][독일의 문화][독일 문화정책][독일의 독서문화][독일의 음식문화][독일의 맥주문...
스페인 음식과 음식문화
중국음식문화와 음식에 대한 이해
동양의 음식문화 - 중국과 한국의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식생활문화] 밥의 종류와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사회과학] 프랑스음식문화
서양음식문화의 이해(고대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중심으로)
세계음식문화의 이해
세계의음식&#8228;음식의세계 1. 인간의 ‘식습관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2. ...
세계의음식&#8228;음식의세계 1. 인간의 ‘식습관 형성 과정’ 2. 자유무역협정(FTA)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