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류
사군자탕
혈류
사물탕
담류
이진탕
울류
월국환
육울탕
음허생내열탕
음분생양탕
승양익위양영탕
사군자탕
혈류
사물탕
담류
이진탕
울류
월국환
육울탕
음허생내열탕
음분생양탕
승양익위양영탕
본문내용
면 去半夏 加貝母 海粉이니라.
가슴 속의 노담과 허담 조담이면 반하를 제거하고 패모, 해분을 가미한다.
各病에 照依藥性하야 類推하되 加減은 由人이니라.
각각의 병에 약성을 비추어 의거하여 유추하되 가감은 사람에 유래한다.
又如星香散 導痰湯이라.
또한 성향상과 도담탕과 같은 것이 있다.
凡一切 行痰 消剋痰積之藥은 皆自此方으로 而變化之也니라.
일체의 담을 운행하고 담적을 소멸하고 상극하는 약은 모두 이 이진탕 처방으로부터 변화케 한 것이다.
鬱類
울류
越丸
월국환
凡願欲不遂를 如寡婦 僧道之類나 名利를 不遂라.
원하면 욕망을 따르지 못함을 과부나 스님종류와 같이 명리를 따르지 못함이다.
或先富後貧之類와 或久病不愈에 皆宜用之니라.
혹은 먼저 부유하고 뒤에 가난한 종류와 혹은 오래된 병에 낫지 않음에 모두 사용함이 의당하다.
蒼朮 神 川芎 山梔 香附 各等分을 爲末하라.
창출, 신국, 천궁, 산치자, 향부자 각각 같은 분량을 가루낸다.
水丸 綠豆大하야 溫湯으로 下七十丸이니라.
물로 녹두크기만하게 환을 만들어 온탕으로 70환을 연하한다.
皆氣血痰 三者는 多有兼鬱하며 而鬱에 有六하니 隨證加減하다.
모두 기와 혈 담 3가지는 많이 울체를 겸하여 울체에도 6종류가 있으니 증상에 따라서 가감한다.
如氣鬱로 胸脇痛 脈浮細면 合四君子湯이오.
만약 기울로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부세맥이면 사군자탕을 합방한다.
血鬱로 四肢無力 能食 便紅 脈沈이면 合四物湯이오.
혈울로 사지가 힘이 없고 잘 먹고 대변이 홍색이고 침맥이면 사물탕을 합방한다.
痰鬱로 動則喘하며 寸脈 沈滑이면 合二陳湯이오.
담울로 움직이면 숨차하고 촌맥이 침활맥이면 이진탕을 합방한다.
濕鬱로 周身에 走痛 或關節이 痛하야 遇陰寒則發하며 脈이 沈細면 加白芷 茯하라.
습울로 온 몸에 달리듯이 아프고 혹은 관절이 아파서 그늘지고 한기를 만나면 발생하고 침세맥이면 백지, 복령을 가미한다.
熱鬱로 小便이 赤하며 脈이 沈數이면 加靑黛하라.
열울로 소변이 붉고 맥이 침삭맥이면 청대를 가미한다.
食鬱로 酸 腹飽하며 不能食하되 左寸脈은 平和하고 右寸脈이 緊盛이면 加山査 鍼砂요.
식울로 트림하고 신물나고 배가 부르고 먹지 못하며 좌측 촌맥은 평화롭고 우측 촌맥은 긴성맥이면 산사, 침사를 가미한다.
春의 諸鬱엔 加防風하고, 夏의 諸鬱엔 加苦蔘하고, 秋冬의 諸鬱엔 加吳茱니라.
봄의 여러 울체에는 방풍을 가미하고, 여름의 여러 울체에는 고삼을 가미하고 가을과 겨울의 여러 울체에는 오수유를 가미한다.
又如六鬱湯 流氣飮子 四七湯 分氣飮之類는 皆自此方으로 而變化之也니라.
또한 육울탕, 유기음자, 사칠탕, 분기음의 종류는 모두 이 월국환처방으로부터 변화케 한 것이다.
六鬱湯
육울탕
能解諸鬱
육울탕은 여러 울체를 풀 수 있다.
陳皮 半夏 川芎 蒼朮 各一錢 赤茯 山梔仁 各七分 香附 二錢 砂仁 甘草 各五分 生薑 三片이라.
진피, 반하, 천궁, 창출 각각 4g, 적복령, 산치자인 각각 2.8g, 향부자 8g, 사인, 감초 각각 2g, 생강 3조각이다.
水煎溫服하되 隨證加減이니라.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하되 증상에 따라서 가감한다.
陰虛生內熱湯
음허생내열탕
當歸 川芎 蒼朮 陳皮 各八分 白芍 山梔 天花粉 各六分 白朮 麥門冬 夏月多用 沙蔘 各八分 玄蔘 五分 黃栢 三分 甘草二分 生薑 三片 水煎服이니라.
당귀, 천궁, 창출, 진피, 각각 2.8g, 백작약, 산치자, 천화분 각각 2.4g, 백출, 맥문동(여름철에는 많이 사용하고), 사삼 3.2g, 현삼 2g, 황백 1.2g, 감초 0.8g, 생강 3조각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或以山藥으로 代蔘 朮이라.
혹은 산약으로써 인삼, 백출을 대신한다.
久服이면 去川芎하고 冬月이면 加破故紙이니라.
오래 복용하면 천궁을 제거하고 겨울철이면 파고지를 가미한다.
此方은 與下 陰分生陽湯과 義相發明이니라.
처방은 아래의 음분생양탕과 뜻이 서로 밝힘이 있다.
陰分生陽湯
음분생양탕
白朮 七分 白芍 六分 當歸 一錢 甘草 二分 蒼朮 五分 陳皮 八分 生薑 三片 棗子 一枚 或蔘이나 或以山藥으로 代蔘 하야 水煎服이니라.
백출 2.8g, 백작약 2.4g, 당귀 4g, 감초 0.8g, 창출 2g, 진피 3.2g, 생강 3조각, 대추 1매나 혹은 인삼, 복령이나 혹은 산약으로써 인삼, 복령을 대신하여 물에 달여 복용한다.
入蜜이라도 亦可하며, 加肉菓 破古紙라도 亦可니, 冬日에 尤宜라.
꿀을 넣더라도 또한 가능하며 초과, 파고지라도 또한 가능하니 겨울철에 더욱 의당하다.
用故紙는 盖以三焦者는 乃下焦元氣의 生發之根也니라.
파고지를 사용함은 대개 삼초는 하초원기의 생발하는 뿌리와 꼭지가 되기 때문이다.
升陽益胃養營湯
승양익위영양탕
當歸一錢을 全用이니 隨蔘朮이면 能補血이라.
당귀 4g을 완전히 사용하니 인삼과 백출을 따르면 혈을 보한다.
白芍 八分을 炒니 隨白朮이면 大能理脾니라.
백작약 2.4g을 볶으니 백출을 따르면 크게 비를 다스리게 된다.
人蔘 七分
인삼 2.8g이다.
山梔仁炒 八分
볶은 산치자 3.2g
甘草 五分
감초 2g
如食菜면 以蜜로 代之니라.
감초는 만약 배추를 먹으면 꿀로 대신한다.
白朮 五分
백출 2g
木通 五分 以漸而減
목통은 2g이니 점진적으로 감소케 한다.
生薑三片 棗子二枚 粳米 一撮을 水煎熱服이니라.
생강 3조각, 대추 2매, 멥쌀 한 웅큼을 물에 달여서 뜨겁게 복용한다.
盖蒼朮 山梔는 大能除鬱하니 因食冷物로 鬱火於脾胃者라.
창출, 산치자는 크게 울체를 제거하니 찬 음식물을 먹음으로 비위에 울화가 있음이다.
故로 屬脾오 脾者는 土也라.
그래서 비에 속하고 비는 토가 된다.
熱伏地中이니 此病은 多因血虛로 而得之也니라.
열이 땅 속에 잠복하니 이 병은 많이 혈허에 기인하여 얻는다.
又有胃虛에 過食冷物로 鬱陽氣 於脾土之中하니 幷宜服之요.
위허에 냉한 음식물을 많이 먹어서 양기를 비토의 중간에 울체하여 막아서 함께 의당 복용한다.
又肉菓 補骨脂二物은 冬月이라야 可服이니라.
육과 보골지 두 약물은 겨울철이라야 복용할 수 있다.
己上三方은 古菴所立이니 鬱門에 曾纂其略이로대 今更詳之하니라.
이상의 3처방은 고암이 설립한 것이니 울문에 일찍이 그 대략을 편찬하되 지금 고쳐 자세히 했다.
總方終
총처방 끝
가슴 속의 노담과 허담 조담이면 반하를 제거하고 패모, 해분을 가미한다.
各病에 照依藥性하야 類推하되 加減은 由人이니라.
각각의 병에 약성을 비추어 의거하여 유추하되 가감은 사람에 유래한다.
又如星香散 導痰湯이라.
또한 성향상과 도담탕과 같은 것이 있다.
凡一切 行痰 消剋痰積之藥은 皆自此方으로 而變化之也니라.
일체의 담을 운행하고 담적을 소멸하고 상극하는 약은 모두 이 이진탕 처방으로부터 변화케 한 것이다.
鬱類
울류
越丸
월국환
凡願欲不遂를 如寡婦 僧道之類나 名利를 不遂라.
원하면 욕망을 따르지 못함을 과부나 스님종류와 같이 명리를 따르지 못함이다.
或先富後貧之類와 或久病不愈에 皆宜用之니라.
혹은 먼저 부유하고 뒤에 가난한 종류와 혹은 오래된 병에 낫지 않음에 모두 사용함이 의당하다.
蒼朮 神 川芎 山梔 香附 各等分을 爲末하라.
창출, 신국, 천궁, 산치자, 향부자 각각 같은 분량을 가루낸다.
水丸 綠豆大하야 溫湯으로 下七十丸이니라.
물로 녹두크기만하게 환을 만들어 온탕으로 70환을 연하한다.
皆氣血痰 三者는 多有兼鬱하며 而鬱에 有六하니 隨證加減하다.
모두 기와 혈 담 3가지는 많이 울체를 겸하여 울체에도 6종류가 있으니 증상에 따라서 가감한다.
如氣鬱로 胸脇痛 脈浮細면 合四君子湯이오.
만약 기울로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부세맥이면 사군자탕을 합방한다.
血鬱로 四肢無力 能食 便紅 脈沈이면 合四物湯이오.
혈울로 사지가 힘이 없고 잘 먹고 대변이 홍색이고 침맥이면 사물탕을 합방한다.
痰鬱로 動則喘하며 寸脈 沈滑이면 合二陳湯이오.
담울로 움직이면 숨차하고 촌맥이 침활맥이면 이진탕을 합방한다.
濕鬱로 周身에 走痛 或關節이 痛하야 遇陰寒則發하며 脈이 沈細면 加白芷 茯하라.
습울로 온 몸에 달리듯이 아프고 혹은 관절이 아파서 그늘지고 한기를 만나면 발생하고 침세맥이면 백지, 복령을 가미한다.
熱鬱로 小便이 赤하며 脈이 沈數이면 加靑黛하라.
열울로 소변이 붉고 맥이 침삭맥이면 청대를 가미한다.
食鬱로 酸 腹飽하며 不能食하되 左寸脈은 平和하고 右寸脈이 緊盛이면 加山査 鍼砂요.
식울로 트림하고 신물나고 배가 부르고 먹지 못하며 좌측 촌맥은 평화롭고 우측 촌맥은 긴성맥이면 산사, 침사를 가미한다.
春의 諸鬱엔 加防風하고, 夏의 諸鬱엔 加苦蔘하고, 秋冬의 諸鬱엔 加吳茱니라.
봄의 여러 울체에는 방풍을 가미하고, 여름의 여러 울체에는 고삼을 가미하고 가을과 겨울의 여러 울체에는 오수유를 가미한다.
又如六鬱湯 流氣飮子 四七湯 分氣飮之類는 皆自此方으로 而變化之也니라.
또한 육울탕, 유기음자, 사칠탕, 분기음의 종류는 모두 이 월국환처방으로부터 변화케 한 것이다.
六鬱湯
육울탕
能解諸鬱
육울탕은 여러 울체를 풀 수 있다.
陳皮 半夏 川芎 蒼朮 各一錢 赤茯 山梔仁 各七分 香附 二錢 砂仁 甘草 各五分 生薑 三片이라.
진피, 반하, 천궁, 창출 각각 4g, 적복령, 산치자인 각각 2.8g, 향부자 8g, 사인, 감초 각각 2g, 생강 3조각이다.
水煎溫服하되 隨證加減이니라.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하되 증상에 따라서 가감한다.
陰虛生內熱湯
음허생내열탕
當歸 川芎 蒼朮 陳皮 各八分 白芍 山梔 天花粉 各六分 白朮 麥門冬 夏月多用 沙蔘 各八分 玄蔘 五分 黃栢 三分 甘草二分 生薑 三片 水煎服이니라.
당귀, 천궁, 창출, 진피, 각각 2.8g, 백작약, 산치자, 천화분 각각 2.4g, 백출, 맥문동(여름철에는 많이 사용하고), 사삼 3.2g, 현삼 2g, 황백 1.2g, 감초 0.8g, 생강 3조각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或以山藥으로 代蔘 朮이라.
혹은 산약으로써 인삼, 백출을 대신한다.
久服이면 去川芎하고 冬月이면 加破故紙이니라.
오래 복용하면 천궁을 제거하고 겨울철이면 파고지를 가미한다.
此方은 與下 陰分生陽湯과 義相發明이니라.
처방은 아래의 음분생양탕과 뜻이 서로 밝힘이 있다.
陰分生陽湯
음분생양탕
白朮 七分 白芍 六分 當歸 一錢 甘草 二分 蒼朮 五分 陳皮 八分 生薑 三片 棗子 一枚 或蔘이나 或以山藥으로 代蔘 하야 水煎服이니라.
백출 2.8g, 백작약 2.4g, 당귀 4g, 감초 0.8g, 창출 2g, 진피 3.2g, 생강 3조각, 대추 1매나 혹은 인삼, 복령이나 혹은 산약으로써 인삼, 복령을 대신하여 물에 달여 복용한다.
入蜜이라도 亦可하며, 加肉菓 破古紙라도 亦可니, 冬日에 尤宜라.
꿀을 넣더라도 또한 가능하며 초과, 파고지라도 또한 가능하니 겨울철에 더욱 의당하다.
用故紙는 盖以三焦者는 乃下焦元氣의 生發之根也니라.
파고지를 사용함은 대개 삼초는 하초원기의 생발하는 뿌리와 꼭지가 되기 때문이다.
升陽益胃養營湯
승양익위영양탕
當歸一錢을 全用이니 隨蔘朮이면 能補血이라.
당귀 4g을 완전히 사용하니 인삼과 백출을 따르면 혈을 보한다.
白芍 八分을 炒니 隨白朮이면 大能理脾니라.
백작약 2.4g을 볶으니 백출을 따르면 크게 비를 다스리게 된다.
人蔘 七分
인삼 2.8g이다.
山梔仁炒 八分
볶은 산치자 3.2g
甘草 五分
감초 2g
如食菜면 以蜜로 代之니라.
감초는 만약 배추를 먹으면 꿀로 대신한다.
白朮 五分
백출 2g
木通 五分 以漸而減
목통은 2g이니 점진적으로 감소케 한다.
生薑三片 棗子二枚 粳米 一撮을 水煎熱服이니라.
생강 3조각, 대추 2매, 멥쌀 한 웅큼을 물에 달여서 뜨겁게 복용한다.
盖蒼朮 山梔는 大能除鬱하니 因食冷物로 鬱火於脾胃者라.
창출, 산치자는 크게 울체를 제거하니 찬 음식물을 먹음으로 비위에 울화가 있음이다.
故로 屬脾오 脾者는 土也라.
그래서 비에 속하고 비는 토가 된다.
熱伏地中이니 此病은 多因血虛로 而得之也니라.
열이 땅 속에 잠복하니 이 병은 많이 혈허에 기인하여 얻는다.
又有胃虛에 過食冷物로 鬱陽氣 於脾土之中하니 幷宜服之요.
위허에 냉한 음식물을 많이 먹어서 양기를 비토의 중간에 울체하여 막아서 함께 의당 복용한다.
又肉菓 補骨脂二物은 冬月이라야 可服이니라.
육과 보골지 두 약물은 겨울철이라야 복용할 수 있다.
己上三方은 古菴所立이니 鬱門에 曾纂其略이로대 今更詳之하니라.
이상의 3처방은 고암이 설립한 것이니 울문에 일찍이 그 대략을 편찬하되 지금 고쳐 자세히 했다.
總方終
총처방 끝
키워드
추천자료
과루근탕 복령백출탕 강활승습탕 마행의감탕 행인탕 오적교가산 출부탕 감초부자탕 한방기탕 ...
삼소음 십미궁소산 십신탕 소갈탕 인삼패독산 가미보중익기탕 도씨보중익기탕 연수총백탕 마...
酸棗仁湯 사순탕환 통맥사역탕 복령사역탕 현삼승마탕 정양산 반음단 복양단
陰證 이중탕 도씨이중탕 치중탕 소건중탕 현무탕 사역탕 당귀사역탕 삼미삼유탕 자감초탕
구치유요 東垣牢牙散 독활산 십전대보탕 팔진탕 원문 및 한글번역
외과용약부 痰核 영류 유핵 폐옹 삼출보비탕
방제학 약물구성
구안괘사의 내복약과 외용약
의방고 성향탕星香湯 성풍탕 개용고 소속명탕 대진교탕의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