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소음 십미궁소산 십신탕 소갈탕 인삼패독산 가미보중익기탕 도씨보중익기탕 연수총백탕 마황갈근탕 갈근총백탕 복령계감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소음 십미궁소산 십신탕 소갈탕 인삼패독산 가미보중익기탕 도씨보중익기탕 연수총백탕 마황갈근탕 갈근총백탕 복령계감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소음

십미궁소산

십신탕

소갈탕

인삼패독산

가미보중익기탕

도씨보중익기탕

연수총백탕

마황갈근탕

갈근총백탕

복령계감탕

본문내용

복령을 달여서 반으로 감소하거든 여러 약을 넣어서 8푼이 되도록 달이고 따뜻하게 복용케한다.
治汗後의 臍下悸動하여, 欲作奔豚者하니라.
치한후의 제하계동하여 욕작분돈자하니라.
복령계감대조탕은 땀을 낸 후에 배꼽 아래가 동계하여 분돈이 일어나려는 증상을 치료한다.
茯桂朮甘草湯
복령계출감초탕.
茯四錢, 桂枝三錢, 白朮二錢, 甘草一錢,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복령사전 계지삼전 백출이전 감초일전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복령계출감초탕은 복령 16g, 계지 12g, 백출 8g, 감초 4g을 물에 달여서 따듯하게 복용케 한다.
治汗吐下後에, 裏虛하여. 氣逆上衝하고, 心腹이 滿하고 或痛하며, 起則頭眩이라,
치한토하후에 리허하여 기역상충하고 심복이 비만하고 혹통하며 기즉두현이라.
복령계출감초탕은 발한 구토 사하후에 속이 허약하고 기가 거역 상충하고 심복부가 답답하고 그득하며 혹은 아프고 일어나면 머리가 캄캄함을 치료한다.
脈이 沈緊하여, 爲在裏하면 則不宜汗이니라,
맥이 침긴하여 위재리하면 즉불의한이니라.
맥이 침긴맥이어서 속에 있으면 발한함이 의당치 않다.
汗則外動經絡하고 損傷陽氣하며, 陽虛則不能主持諸脈하여, 身體振搖하고, 筋脈이 하여, 久則成하니, 宜此湯으로 以和經益陽이라.
한즉외동경락하고 손상양기하며 양허즉불능주지제맥하여 신체진요하고 근맥이 척순하여 구즉성위하니 의차탕으로 이화경익양이라.
발한하면 밖으로 경락을 동요케 하고, 양기를 손상하며, 양이 허하면 주로 모든 맥을 지키지 못하고, 신체가 떨리고, 근맥이 떨리고 오래되면 위증이 생성하니, 이 복령계출감초탕으로 경락을 조화롭게 하고 양을 더한다.
故로 陽氣不足者는 補之以甘하니 茯朮 甘草之甘으로 以生津液而益陽也오.
고로 양기부족자는 보지이감하니 복출 감초지감으로 이생진액이익양야오.
그래서 양기가 부족한 환자는 감리로써 보하니 복령 백출 감초의 감미로 진액을 생성하여 양을 더한다.
裏氣逆者는 散之以辛하니 桂枝之辛으로 以行陽而散逆氣也니라.
이기역자는 산지이신하니 계지지신으로 이행양이산역기야니라.
이기가 상역한 환자는 신미로 발산하니 계지의 신미로써 양을 운행하고 역기를 발산한다.
鬱冒神昏은 人蔘三白 三生으로 醒胃니라.
울모신혼은 인삼삼백 삼생으로 성위니라.
울로하여 정신이 혼모함은 인삼삼백탕과 삼생음으로 위를 일깨워 준다.
人蔘三白湯
인삼삼백탕
人蔘 白朮 白芍 白茯各一錢半, 柴胡三錢, 川芎一錢, 天麻五分,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인삼 백출 백작 백복각일전반 시호삼전 천궁일전 천마오분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인삼 백출 백작약 백복령 각각 6g, 시호 12g, 천궁 4g과 천마 2g을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治太陽病의 誤下 誤汗으로 表裏俱虛하여 以致鬱冒하니 冒家得汗하면 自愈하다,
치태양병의 오하 오한으로 표리구허하여 이치울모하니 모가득한하면 자유하다.
태양병에서 잘못 사하하고 잘못 발한하여 표리가 모두 허약하여 울모가 됨을 치료하니, 울모환자가 땀을 얻으면 스스로 낫는다.
若不得汗하여 而不解者는 宜此主之로다.
약부득한하여 이불해자는 의차주지로다.
만약 땀을 얻지 못하여 풀리지 않으면 이 인삼삼백탕으로써 주치함이 마땅하다.
如下虛하고 脈이 微弱者는 合三生飮하여 以溫腎하니 固其本也니라.
여하허하고 맥이 미약자는 합삼생음하여 이온신하니 고기본야니라.
만약 하초가 허약하고 맥이 미약한 환자는 인삼삼백탕과 삼생음과 합방하여 신장을 따뜻하게 하니, 그 근본을 견고하게 함이다.
經에 曰: 滋苗者는 必固其根하고 伐下者는 必枯其上이 是也니라.
경에 왈 자묘자는 필고기근하고 벌하자는 필고기상이 시야니라.
경전에서 말하길 싹을 자양함은 반드시 그 근본을 견고케 하고, 아래를 치면 반드시 그 위가 마름이라고 하니 이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