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 동물바이러스 시험법 (assay of animal viruses)
1) 바이러스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viruses)
. 바이러스는 그 자체가 단백질과 핵산으로 되어 있고 매우 균질하여 단백질과 핵산을 다루는 일반적인 생화학적인 기술들을 이용하여 손쉽게 다룰 수 있다.
a) 바이러스의 분리법
. 여과법 (filtration)
. salting out 방법
. 원심분리법 (differential centrifugation)
b) 동물 바이러스 구성 성분의 분리 및 정제
. 단백질 종류의 분석, 분자량측정 등 여러 가지 생화학적인 방법이 이용되며, 특히 면역학적 방법들도 많이 이용된다.
. 바이러스 핵산 분석으로는 바이러스 genome의 종류, 모양, 크기, genome 지도 작성, 더 나아가 염기배열 등을 밝힐 수 있다.
2) 바이러스 감염 단위의 분석법 (infective unit)
. 바이러스의 감염 단위라는 말은 다른 말로 살아있는 바이러스 하나를 말한다.
a) 프라그 시험법 (plaque assay)
.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손상된 숙주세포가 주위의 정상적인 세포와 구별되게 나타나게 되는 데, 이러한 손상된 세포의 집단을 프라그라고 부른다.
. plaque의 확인법
염색법, dye staining, (그림 6).
혈구흡착법, hemadsorption, (그림 7).
합포체의 형성을 조사 (syncytia formation,그림 8).
면역형광법 (immunofluorescence)
a) b)
그림 6) Adenovirus (a) 와 Herpesvirus (b) 의 감염에 의하여 생성된 프라그.
a)는 염기성 염색약인 hematoxylin으로 연색한 것이며, b)는 산성 염색약인 eosin으로 염색한 것이다. Adenovirus의 경우 (a)는 감염된 세포가 둥글어지며, 세포안에 봉입체가 형성된 거싱 보인다. Herpesvirus의 경우 (b)도 감염된 세포가 둥글어지며, 세포안에 eosine에 염색되는 봉입체 (eosinophilic granule) 가 형성된다.
그림 7) 혈구흡착법에 의한 풍진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확인
풍진바이러스 (mumps virus)에 감염된 세포는 세포 표면에 바이러스의 표면단백질을 발현하게되며, 이 단백질이 첨가된 적혈구를 세포 표면에 부착하게 만든다.
a) b)
그림 8)홍역바이러스 (a) 와 RSV (b) 의 감염에 의하여 형성된 합포체
a)는 eosine으로 염색한 것으로 홍역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형서오딘 합포체 (syncytium)이다. 중간에 eosin으로 염색된 세포질 덩어리가 모여 있으며 둘레에는 핵들이 모여있다. 핵안에는 eosin으로 염색된 봉입체가 보인다. b)는 Respiratory Syntia Virus 감염에 의하여 형성된 합포체로서, 핵안에는 특별한 봉입체가 보이지는 않는다.
b) 포크형성 시험법 (pock assay)
. 포크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수정란의 막에 생긴 프라그를 말한다.
c) 초점형성시헙법 (focus forming assay)
. 형질전환을 쉽게 유도하는 바이러스를 분석할 때 이용된다.
3) 물리화학적인 방법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a) 전자현미경을 이용하는 방법 (electron microscopy)
. 바이러스 입자의 수나 입자의 모양을 측정할 수 있다.
b) 초원심분리법 (ultracentrifugation)
c) 전기영동법 (electrophoresis)
d) 면역학적 방법 (immunological methods)
중화항체법 (neutralization test)
혈구응집 방해법 (hemmagglutination inhibition, HI)
보체고정법 (complement faxation, CF)
면역침전법 (immuno-precipitation reaction)
면역형광법 (immunofluorescence)
효소면역시험법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e) 방사능 동위 원소를 이용하는 방법 (radiochemicals)
f) 바이러스의 효소를 이용한 방법
g) 분자생물학적 방법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
. 핵산결합법 (nucleic acid hybridization)
. in vitro mutagenesis
.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1) 바이러스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viruses)
. 바이러스는 그 자체가 단백질과 핵산으로 되어 있고 매우 균질하여 단백질과 핵산을 다루는 일반적인 생화학적인 기술들을 이용하여 손쉽게 다룰 수 있다.
a) 바이러스의 분리법
. 여과법 (filtration)
. salting out 방법
. 원심분리법 (differential centrifugation)
b) 동물 바이러스 구성 성분의 분리 및 정제
. 단백질 종류의 분석, 분자량측정 등 여러 가지 생화학적인 방법이 이용되며, 특히 면역학적 방법들도 많이 이용된다.
. 바이러스 핵산 분석으로는 바이러스 genome의 종류, 모양, 크기, genome 지도 작성, 더 나아가 염기배열 등을 밝힐 수 있다.
2) 바이러스 감염 단위의 분석법 (infective unit)
. 바이러스의 감염 단위라는 말은 다른 말로 살아있는 바이러스 하나를 말한다.
a) 프라그 시험법 (plaque assay)
.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손상된 숙주세포가 주위의 정상적인 세포와 구별되게 나타나게 되는 데, 이러한 손상된 세포의 집단을 프라그라고 부른다.
. plaque의 확인법
염색법, dye staining, (그림 6).
혈구흡착법, hemadsorption, (그림 7).
합포체의 형성을 조사 (syncytia formation,그림 8).
면역형광법 (immunofluorescence)
a) b)
그림 6) Adenovirus (a) 와 Herpesvirus (b) 의 감염에 의하여 생성된 프라그.
a)는 염기성 염색약인 hematoxylin으로 연색한 것이며, b)는 산성 염색약인 eosin으로 염색한 것이다. Adenovirus의 경우 (a)는 감염된 세포가 둥글어지며, 세포안에 봉입체가 형성된 거싱 보인다. Herpesvirus의 경우 (b)도 감염된 세포가 둥글어지며, 세포안에 eosine에 염색되는 봉입체 (eosinophilic granule) 가 형성된다.
그림 7) 혈구흡착법에 의한 풍진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확인
풍진바이러스 (mumps virus)에 감염된 세포는 세포 표면에 바이러스의 표면단백질을 발현하게되며, 이 단백질이 첨가된 적혈구를 세포 표면에 부착하게 만든다.
a) b)
그림 8)홍역바이러스 (a) 와 RSV (b) 의 감염에 의하여 형성된 합포체
a)는 eosine으로 염색한 것으로 홍역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형서오딘 합포체 (syncytium)이다. 중간에 eosin으로 염색된 세포질 덩어리가 모여 있으며 둘레에는 핵들이 모여있다. 핵안에는 eosin으로 염색된 봉입체가 보인다. b)는 Respiratory Syntia Virus 감염에 의하여 형성된 합포체로서, 핵안에는 특별한 봉입체가 보이지는 않는다.
b) 포크형성 시험법 (pock assay)
. 포크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수정란의 막에 생긴 프라그를 말한다.
c) 초점형성시헙법 (focus forming assay)
. 형질전환을 쉽게 유도하는 바이러스를 분석할 때 이용된다.
3) 물리화학적인 방법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a) 전자현미경을 이용하는 방법 (electron microscopy)
. 바이러스 입자의 수나 입자의 모양을 측정할 수 있다.
b) 초원심분리법 (ultracentrifugation)
c) 전기영동법 (electrophoresis)
d) 면역학적 방법 (immunological methods)
중화항체법 (neutralization test)
혈구응집 방해법 (hemmagglutination inhibition, HI)
보체고정법 (complement faxation, CF)
면역침전법 (immuno-precipitation reaction)
면역형광법 (immunofluorescence)
효소면역시험법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e) 방사능 동위 원소를 이용하는 방법 (radiochemicals)
f) 바이러스의 효소를 이용한 방법
g) 분자생물학적 방법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
. 핵산결합법 (nucleic acid hybridization)
. in vitro mutagenesis
.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