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 자연분만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태지로 덮여 있고 닦아준 후에는 불그스름한 피부임.
- 머리 : 분만시 압박으로 인해 머리의 모양이 molding이었으며, 검은 머리 숱이 많고, 머리는 정중선에 위치함. 가슴둘레보다 머리 둘레가 더 커 보임.
- 눈 : 두 눈꺼풀은 부어 있고 얼굴 양쪽에 대칭되는 곳에 눈이 위치함.
- 귀 : 두 귀는 만곡되어 있음. 귀의 가장 윗부분은 눈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함.
- 코 : 코는 얼굴의 중앙에 위치하고, 신생아가 큰 울음을 터뜨려 기도가 뚫려있음을 확인함.
- 입 : 토순 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입 속을 만져보았을 때 이상을 보이지 않음. 입술, 혀, 잇몸은 분홍빛이 돌음.
- 목 : 목은 곧고, 기울어지지 않고 다른 이상은 없었음.
- 가슴 : 둥글고 전후경과 좌우경이 거의 동일해 보임. 신생아가 호흡시 움직임. 동그랗고 작은 유두의 수는 두 개로 대칭적이임.
- 복부 : 하복부가 약간 앞으로 나와 불룩하고 원통형임. 절단한 탯줄 단면을 관찰하여 두 개의 동맥과 한 개의 정맥이 있는지 관찰함. cord가 약간 작은 편임.
- 생식기 : 소음순이 큼. 항문이 뚫려있는지 사정하여 이상이 없음을 확인함.
- 상지 : 손가락 다섯 개를 확인함. 손가락을 오므려 주먹을 쥐고 있었음. 상지는 약간 굴곡되어 있었음.
- 하지 : 발바닥 다섯 개를 확인함. 발바닥 전체에 주름이 많음.
- 반사 : 엄마의 젖을 물렸을 때 빨기 반사를 보임.
H. 분만 제 3기
시작시간 : 13시 28분 총 소요 시간 : 5분 태반 결손유무 : 무
만출 형태 : 탯줄견인법으로 제대를 감은 clamp를 잡고 제대에 견인을 가함. 탯줄을 당겨서 태아면이 먼저 보이는 Schultze 기전으로 태반이 배출되었음. 태반은 둥글고 편평하며, 혈관분포가 많았음. 태아막은 찢어진 부분이 없었음. 태아막의 융모막을 찢어보았을 때 양막보다 더 쉽게 찢어졌음.
Placenta delivery : 750gm 이상 유무 : 무
회음열상 : 음순소대의 피부 열상으로 근육은 열상이 없는 1도 열상이었음.
I. 분만 제 4기
분만직후
15분
30분
45분
1시간
자궁저부
제와 위 2finger에서 단단하게 만져짐.
질출혈
활력징후, 안색에 이상이 없고 아래로 계속 흐르는 느낌이 없다고 하여 분만 후 정상적인 출혈량으로 보여짐.
오로(색)
붉은 색의 오로, 패드가 많이 젖어 있었음
붉은색 오로
붉은색 오로
붉은색 오로
붉은색 오로
패드 무게
60gm
140g
혈압
120/80
120/80
120/80
110/70
110/70
맥박/호흡
80/18
74/16
70/20
74/20
68/20
체온
36.1
36.4
36.5
36.4
36.3
회음동통 여부
“아파요”
방광기능
“아직 화장실에 가고 싶은 생각이 없어요.”
- 3/13 PM 4:10 Self voiding 300cc
J. 영양
수유계획
- 모유수유 : 모유가 아기에게 좋다는 말을 들어서 모유수유 할 계획임.
식이상태 : 평상시에 가리는 음식 없이 잘 먹는 편임.
배설양상 : 1회/1일 배뇨양상 : 5회/1일 알러지(음식, 약물 등) : 무
K. 임상검사 소견
Blood
- type : A - Rh : + - Hb : 12.7g/dL (Max 15, Min 11.5)
- Hct : 36.9% (Max 45, Min 35) - VDRL : (-)
Urine
- protein : (-) - sugar : (-)
기타
- Glucose : 115mg/dL ↑ (Max 105, Min 70)
- Protein : 5.7g/dL ↓ (Max 8.0, Min 6.0)
- RBC count : 3.85 x1003/㎕ ↓ (Max 5.9, Min 4.5)
◎ 간호과정 기록표
Date 3/13
Sign and Symptom(Subjective and Objective Date)
S :
"수술하고 싶어요. 도저히 힘들어서 못 하겠어요. 포기하고 싶어요. 수술 해 주세요.“
O :
- 산부의 경관개대가 10cm으로 이행기로 산부가 지친 모습을 보였다.
- 산부는 진통이 없을 때에도 아래로 힘주기를 하여 매우 고통스러운 표정으로 힘들어하였다.
- 태아심음 사정시 FHR 140~150으로 유지되다가 11시 4분에 FHR 90까지 30sec 떨어졌다가 다시 회복됨. 11시 10분에 FHR 80~100까지 30sec 떨어졌다가 다시 회복되는 양상 2회 보임.
- 산부가 수축과 수축 사이에 휴식을 취하지 않고 힘주기를 하는 행동이 계속 되었음.
Nursing Diagnosis
잘못된 힘주기 방법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Expected Outcome
산부는 효율적으로 힘주기를 할 수 있다.
Planning
1. 태아심음을 사정한다.
2.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3. 지지체계의 참여를 격려한다.
4. 효율적으로 힘을 줄 수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아래로 힘주기, 짧은 호흡 등을 지시한다.
6. 수축과 수축 사이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Implementation
1. NST로 태아심음을 사정하고 태아심박동의 횟수, 증가, 감소, 변동 등을 관찰하였다.
2. 진통실에서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3. 반좌위 자세로 대퇴부를 복부 가까이 굴곡시키고 수축이 시작되면 팔로 무릎 아래를 잡도록 한다. 힘주고 싶을 때 힘을 주도록 한다. 무릎을 잡아당기면서 턱을 가슴에 대도록 하여 횡격막의 압력을 아래로 유지하도록 도와주었다.
4-1. 남편이 곁에서 산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부부가 함께 있을 수 있도록 하였다.
4-2. 분만이 멀지 않았음을 알려주고 조금 더 힘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4-3. 손을 잡아주고 산부가 혼자 있지 않도록 곁에 있어주었다.
4-4. 힘들어하는 산부와 눈을 마주보며 얘기를 하여 긴장을 풀도록 하였다.
5. 진통이 없을 때는 Lt lateral position으로 deep breathing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Evaluation
산부가 경관개대가 10cm 개대되었음에 불구하고 아두가 보이지 않아 시간이 지체되고 태아심음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으므로 효율적으로 힘주기를 하지 못 하였음.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4.1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