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등(石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 석등의 의미

2. 석등의 기원

3. 석등의 구조
(1) 대좌부
(2) 화사부
(3) 옥개석

4. 석등의 형태

5. 석등의 시대적 변천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 초기부터 사회개혁이 진행되면서 조형 미술 분야에도 새로운 현상이 형성되었다. 조형미술의 하나인 석등의 발달은 불교계를 통해 발전 되왔던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 개혁 현상과 더불어 석등의 쓰임새가 불사의 헌등적인 면 보다는 비종교적인 요소에 입각하여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능묘 문야로 전환을 보이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석등은 불교계와 비 불교계로 나누어 발전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미 고려시대에 새롭게 등장된 장명등은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왕실과 사대부 계통이 이르기까지 그들의 능과 묘에 등구 시설을 설치하게 되었다. 이러한 장명등으로 옮아가는 과도기적 현상으로 석등은 평면 4각 방형을 기본으로 하면서, 짧고 두터운 형태의 간주가 나타나게 되며 화사석은 길고 크게 된다. 기단부의 하대석에는 복련을 돌리고, 간주는 넓어지면서 작아진다. 상대석에는 앙련을 조각하는 수법도 장명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홍윤식, 『한국의 불교 미술』, 대원정사, 1997.
김현준, 『사찰, 그속에 깃든 의미』, 효림, 1997.
정명호, 『빛깔있는 책들 (석등)』, 대원사 1992.
오주환, 『문와유산 상식여행』, 이토, 199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