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속신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 1

2. 무속(巫俗)이란? ----------------------------------------------------------- 1

3. 무(巫)의 종류 -------------------------------------------------------------- 1
3-1. 무(巫)의 종류별 특징 ---------------------------------------------------- 2

4. 무(巫)에서의 종교행사 - 굿 ------------------------------------------------- 2
4-1. 굿이란? --------------------------------------------------------------- 2
4-2. 굿의 종류 ------------------------------------------------------------- 2

5. 무(巫)에서의 종교행사 - 부적 ----------------------------------------------- 4
5-1. 부적이란? ------------------------------------------------------------- 4
5-2. 부적의 종류 - 입체부 --------------------------------------------------- 4
5-3. 부적의 종류 - 평면부 --------------------------------------------------- 5
5-4. 부적의 제작법 -------------------------------------------------------- 6

6. 무속(巫俗)에서의 신 ----------------------------------------------------- 6
6-1. 신의 종류 ------------------------------------------------------------- 6

7. 맺음말 ------------------------------------------------------------------ 8

8. 참고도서 ----------------------------------------------------------------- 9

본문내용

펴 주는 역할을 하던 신령인데 요즈음은 집안 식구들의 액운을 막아주고 병을 없게 해주는 신으로 상정된다.
굿을 주관하는 무당은 노래와 춤에 능해야한다. 무당에게 이런 재주를 내려주고 일년 열두 달의 횡액을 막아주는 신이 창부대신이다. 줄광 대씨, 전라도 남원의 소리창부, 문홍 갑씨 등 많은 창부신들이 있다.
천상의 옥황상제를 모시는 천상동자로부터 문수선재 동자, 관음남순 동자, 산신 동자, 용궁 동자, 별상 동자, 명두, 태주 등 어린 아이로 형상화 된 신이 동자신령이다. 높으신 신령님들의 심부름을 하고, 무당에게는 영력도 주며 어리광도 많고 심술도 많은 이 동자신령들은 무당에게 실리면 아무리 나이 많이 먹은 노인 제자라도 어린애 목소리와 행동을 아무렇지 않게 한다.
맺음말
이상에서 보았듯이 무속에는 믿음의 대상인 신도 있고 종교적 행사도 있다. 즉, 무속은 엄연한 의미의 종교지만 현재 이를 종교로 여기는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본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났는 지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종교행사에서 생각해 보자. 무속신앙에서 행해지는 종교행사는 보통 생각되는 종교와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기독교에서 예배를 춤을 추며 드리지는 않는다(물론, 흑인 사이에서 이런 것을 볼 수 있지만 그 것은 일반적인 것이 아니다). 하지만 기독교의 예배격인 굿은 이와는 다르다. 굿은 춤과 무가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것은 자칫 놀이라고 여겨지기 쉽다. 이런 이유로 현대에 와서는 종교라기보다 전통 놀이 쯤으로 더 여겨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른 종교에서는 신성시 하는 영역을 정해 놓고 그 지역을 들어 갈 수 있는 사람은 제한되있지만 무속은 그렇지 않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즐기고 믿는 것이다. 이렇기에 종교로서의 신비감이 덜 하다.
산업화와 근대화에 따른 서양 문화의 유입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잘 살아야 한다는 목적 아래 서양의 기술과 문화를 무작정 수입하여 우리의 것이 퇴색해 버렸다. 단지 우리 것은 옛날 것이라고 여겨진 것이다. 조선 시대의 유교 중심 주의로 인해 무속을 천히 여겨 무당이 모두 산 속으로 피신한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무속에서의 믿음의 대상은 상상의 인물도 있지만 대개 유명해진 우리와 같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들의 영령(英靈)을 믿기 때문에 조금은 잡스럽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 것도 무속을 종교로서 보지 못하는 원인이 될 것이다.
또한, 예전부터 굿을 하면 온 동네 사람들이 다 보여 무당의 춤을 보고 웃고 우는, 일종의 단합 대회같은 성격이 있다. 아마, 무속은 처음부터 종교로 여기지 않았는 지도 모르겠다.
요즘도 굿하는 광경을 볼 수 있고 수험생들이 시험에 붙게 해 달라는 뜻의 부적은 흔희 볼 수 있다. 즉, 무속의 종교행사를 종교행사로 생각진 않지만 무속은 아직까지도 종교의 구실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구지 무속을 종교로 다시 제고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리고 진정한 믿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우리 조상들이 살던 때 무당은 외로운 사람들이었다. 이제 그들은 모두 사제(司祭)이거나 의사, 날씨 예언자이거나 사냥감을 마련해 주는 마술사 또는 보수를 받고 일하는 교활한 장사꾼이 되어버렸다. 옛 사람들은 천지만물 속의 조화를 위하여, 무한하고 헤아릴 길 없는 보다 큰 것을 위하여 몸을 바쳤다.』 ― 에스키모 박수무당 나쟈그넥(Najagneg) 조흥윤, 巫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1990, 268쪽
끝으로, 위의 말처럼 되어버린 요즘의 무당이 아쉽다.
참고 도서
1. 조흥윤, 巫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1990
2. 박정례, 巫俗信仰, 巫花敎 1994
3. 스테판킹 저, 정성호 옮김, 부적, 밝은세상 1992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