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진보주의 교육사상
<역사적 배경>
①전통적 교육 일반의 측면에서
②경험의 원리
2.교육적용
(1) 교육원리
(2)교육방법
3.진보주의 교육운동에 대한 비판
1.재건주의 교육사상
(1)재건주의 등장배경
(2)재건주의원리
2.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성격
3.재건주의교육사상의 비판
<역사적 배경>
①전통적 교육 일반의 측면에서
②경험의 원리
2.교육적용
(1) 교육원리
(2)교육방법
3.진보주의 교육운동에 대한 비판
1.재건주의 교육사상
(1)재건주의 등장배경
(2)재건주의원리
2.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성격
3.재건주의교육사상의 비판
본문내용
해결책에 대한 긴급성과 타당성을 학생들에게 확신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민주적 절차에 대한 성실한 배려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⑤교육의 목적이나 수단은 행동과학의 발견결과와 일치하고 현재의 문화적 위기에서 나타나는 요구에 부합되도록 완전히 개조되어야한다. 행동과학의 중요성은 사람들 이강하게 믿고 있는 가치들, 그것이 보편적인 가치이든 아니든 간에, 그러한 가치를 인간이 발견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George F. Kneeler, “교육의 철학과 역사”, 학짓, 1992, pp.94~97.
2.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성격
재건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인 브라멜드는 기존의 교육 철학들,즉 보수적인 색채를 시정하는 데 용감한 진보주의, 오랜 전통과 사회유산을 보존 전승하는데 노력한 본질주의, 그리고 진보주의의 불합리한 점을 시정하고 절대적 가치,고전적 가치를 숭상하는데 힘쓴 항존주의는 현대사회가 직면한 위기에 대처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재건주의자들은 지금까지 설명하였던 3대 교육 사조를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다. 진보 진보주의는 과학적 방법에 있어서는 강하지만 포괄적 결과에 있어서는 약하며 사색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강하지만 목표를 가르쳐 주는데 있어서는 약하다는 것이다. 또한 항존주의는 고대의 문화유산을 부활시키려고 하고 있으므로 역사성을 무시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비판위에 재건주의는 인간에 대한 과학적 사고, 아동의 자발성 존중, 민주이념을 중시하는 면을 진보주의에서 택하고 본질주의에서는 문화를 중시하는 요소를 항존주의에서는 인생과 우주에 대한 사유의 철학적 방식을 받아들여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기본원리를 택하고 있다. 브라멜드는 문화연속체라는 것을 설정하여 항존주의는 과거, 본질주의는 과거 현대의 중간에로 접근하는 위치에, 진보주의는 현재, 재건주의는 미래에로 접근하는 위치에 다고 함으로써 미래에 대처하는 교육을 지향하는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재건주의의 미래전망적인 입장은 바로 현대적 문화적 위기를 극복하고 “민주적 세계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재건주의의 기본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브라멜드에 의하면 현대 문화가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문화를 재검토하여 이상적인 문화에 대한 전망을 마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교육이 맡아야 한다. 또한 그는 “우리가 피와땀으로 형성해 온 현대 문명은 사상의 혼란과, 가치관의 갈등과, 확실성의 상 실과 불안과 공포와 불공정과 상반되는 이해관계와 살인적인 파괴무기의 출현으로 인류는 파멸직전에 놓여있다“경고한다. 김기수,“브라멜드의 사회적 자아실현 교육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5, pp.6~8.
그는 문화 인류학적 관점에서 교육이야말로 인간이 창조해낸 그 어느 제도보다도 휼륭한 제도이며 이교육의 힘을 사용하여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민주적인 세계문화를 건설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이나 수단은 현대문화적 위기에서 오는 요구에 부합
되도록 재조직되어야한다.
브라멜드는 교육과정의 선정방법, 교재내용, 교수방법, 행정조치, 교사양성 제도에대해 지금까지의 견해를 재검토할 것을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모든 문제들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성에 대한 통합적 원리에 따라 조직 되어야하며 교육과정은 교과간의 내용이 지식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어 다루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다루어지도록 재조직되어야한 노상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1998, pp.364~365
다는 것이다.
3.재건주의교육사상의 비판
현대 문화 위기를 인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사회에 대한 개혁적 전망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재건주의는 높이 평가될만하다. 그러나 ‘공교육의 사회개조를 위한 수단화’는 상당히 급진적이고 이상론적이다. 다시 말하면 재건주의가 목적하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누가 어떻게 어떤 능력으로 실천 가능케 하느냐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브라멜드 말대로 최대 다수의 합의를 얻어서 함께 한다지만 오늘과 같은 다원화 사회에서 정치적 이념과 국가적 이익을 초월한 평등 교육의 실천이란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재건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대하게 신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1.진보주의 교육사상
<역사적 배경>
①전통적 교육 일반의 측면에서
②경험의 원리
2.교육적용
(1) 교육원리
(2)교육방법
3.진보주의 교육운동에 대한 비판
1.재건주의 교육사상
(1)재건주의 등장배경
(2)재건주의원리
2.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성격
3.재건주의교육사상의 비판
⑤교육의 목적이나 수단은 행동과학의 발견결과와 일치하고 현재의 문화적 위기에서 나타나는 요구에 부합되도록 완전히 개조되어야한다. 행동과학의 중요성은 사람들 이강하게 믿고 있는 가치들, 그것이 보편적인 가치이든 아니든 간에, 그러한 가치를 인간이 발견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George F. Kneeler, “교육의 철학과 역사”, 학짓, 1992, pp.94~97.
2.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성격
재건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인 브라멜드는 기존의 교육 철학들,즉 보수적인 색채를 시정하는 데 용감한 진보주의, 오랜 전통과 사회유산을 보존 전승하는데 노력한 본질주의, 그리고 진보주의의 불합리한 점을 시정하고 절대적 가치,고전적 가치를 숭상하는데 힘쓴 항존주의는 현대사회가 직면한 위기에 대처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재건주의자들은 지금까지 설명하였던 3대 교육 사조를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다. 진보 진보주의는 과학적 방법에 있어서는 강하지만 포괄적 결과에 있어서는 약하며 사색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강하지만 목표를 가르쳐 주는데 있어서는 약하다는 것이다. 또한 항존주의는 고대의 문화유산을 부활시키려고 하고 있으므로 역사성을 무시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비판위에 재건주의는 인간에 대한 과학적 사고, 아동의 자발성 존중, 민주이념을 중시하는 면을 진보주의에서 택하고 본질주의에서는 문화를 중시하는 요소를 항존주의에서는 인생과 우주에 대한 사유의 철학적 방식을 받아들여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기본원리를 택하고 있다. 브라멜드는 문화연속체라는 것을 설정하여 항존주의는 과거, 본질주의는 과거 현대의 중간에로 접근하는 위치에, 진보주의는 현재, 재건주의는 미래에로 접근하는 위치에 다고 함으로써 미래에 대처하는 교육을 지향하는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재건주의의 미래전망적인 입장은 바로 현대적 문화적 위기를 극복하고 “민주적 세계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재건주의의 기본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브라멜드에 의하면 현대 문화가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문화를 재검토하여 이상적인 문화에 대한 전망을 마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교육이 맡아야 한다. 또한 그는 “우리가 피와땀으로 형성해 온 현대 문명은 사상의 혼란과, 가치관의 갈등과, 확실성의 상 실과 불안과 공포와 불공정과 상반되는 이해관계와 살인적인 파괴무기의 출현으로 인류는 파멸직전에 놓여있다“경고한다. 김기수,“브라멜드의 사회적 자아실현 교육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5, pp.6~8.
그는 문화 인류학적 관점에서 교육이야말로 인간이 창조해낸 그 어느 제도보다도 휼륭한 제도이며 이교육의 힘을 사용하여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민주적인 세계문화를 건설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이나 수단은 현대문화적 위기에서 오는 요구에 부합
되도록 재조직되어야한다.
브라멜드는 교육과정의 선정방법, 교재내용, 교수방법, 행정조치, 교사양성 제도에대해 지금까지의 견해를 재검토할 것을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모든 문제들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성에 대한 통합적 원리에 따라 조직 되어야하며 교육과정은 교과간의 내용이 지식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어 다루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다루어지도록 재조직되어야한 노상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1998, pp.364~365
다는 것이다.
3.재건주의교육사상의 비판
현대 문화 위기를 인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사회에 대한 개혁적 전망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재건주의는 높이 평가될만하다. 그러나 ‘공교육의 사회개조를 위한 수단화’는 상당히 급진적이고 이상론적이다. 다시 말하면 재건주의가 목적하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누가 어떻게 어떤 능력으로 실천 가능케 하느냐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브라멜드 말대로 최대 다수의 합의를 얻어서 함께 한다지만 오늘과 같은 다원화 사회에서 정치적 이념과 국가적 이익을 초월한 평등 교육의 실천이란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재건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대하게 신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1.진보주의 교육사상
<역사적 배경>
①전통적 교육 일반의 측면에서
②경험의 원리
2.교육적용
(1) 교육원리
(2)교육방법
3.진보주의 교육운동에 대한 비판
1.재건주의 교육사상
(1)재건주의 등장배경
(2)재건주의원리
2.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성격
3.재건주의교육사상의 비판
추천자료
교육사조, 교육사상, 교육철학 고찰
정도전의 유학사상에 대한 교육론적 고찰 - 정도전 교육사상의 의의와 향후 과제
존 듀이의 교육사상, 교육방법, 교육배경에 대한 전반적 분석
19세기 서양의 교육사상(교육사조)과 사상가들
근대교육의 아버지 페스탈로치,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생애와 저서, 페스탈로치(페스탈로...
[페스탈로치교육]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생애와 연보,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인간관과...
이황과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 - 교육 목적, 방법론적 성격, 교육동기, 이상적 인간상.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안창호)(교육사상가 안창호)
에라스무스의 생애, 에라스무스의 저서, 에라스무스의 시대적 배경, 에라스무스의 교육특징, ...
고려시대교육 개요,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국자감,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학당, 고려시대교...
[유아교육사와 보육] 신인문주의 시대의 유아교육 - 시대적 배경,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
[현대교육사상] 현상학적 교육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