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기관명
2)방문일자
3)기관선택
2. 본론
1)기관설명
2) 운영계획
3) 기관 사업내용
4) 조직도
5) 연혁
6) 센터 내 행정체계
7) 강서아동복지센터 행정의 문제점과 가능성
3. 결론
1) 본 센터의 개선방향
2) 조원별 코멘트
<< 신문기사>>
1)기관명
2)방문일자
3)기관선택
2. 본론
1)기관설명
2) 운영계획
3) 기관 사업내용
4) 조직도
5) 연혁
6) 센터 내 행정체계
7) 강서아동복지센터 행정의 문제점과 가능성
3. 결론
1) 본 센터의 개선방향
2) 조원별 코멘트
<< 신문기사>>
본문내용
처음에는 허락하시더니 다음에 전화했을땐 기관이 너무 작으며 학생들의 기관방문을 원래 받지 않는다고 하시며 거절하셔서 매우 난처했다. 다음으로 선택한 서울시립아동복지센터는 정기적인 견학프로그램 외에는 기관방문을 받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그 정기적인 시간이 우리와 맞지 않아서 포기하게 되었고 결국, 강서아동복지센터로 기관이 정해지게 되었다. 기관을 정하고 방문하여 여러 가지 기관의 행정체계들에 대해 인터뷰를 하며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우리는 인터넷상으로 클럽을 만들어 활발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기관에 대한 레포트 쓸 준비를 했다. 레포트 쓰기, PPT 만들기, 발표로 역할분담을 하고 과제를 수행하였다.
모두가 함께 만나야 할 시간을 정하고 만나서 토론하며 과제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등의 과정이 정말 쉽지 않았지만, 이렇게 과제를 모두 마치고 나니 정말 뿌듯했고, 기관의 행정에 대한 이론적 지식들이 조금은 쉽고 실재적인 모습으로 머릿속에 자리잡히는 듯 하다. 그리고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웠던 행정체계들이 실제 현장에서는 제대로 잡혀 있지 않으며 부족하고 개선해야 할 점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고 많이 아쉬웠다. 우리가 나중에 현장에 나가서 일할 때쯤이면 지금보다는 많이 개선되어 있겠지만 그래도 그때에 우리의 역할이 크게 필요할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D 5호선 맨 끝인 방화역까지 간 그 곳은 너무나 멀게만 느껴졌다. 날씨는 얼마나 춥던지... 기관에 도착한 나는 주변 환경을 보고 의아했다. 3시였는데도 불구하고 유치원생, 초등학생 등 거리에 돌아다니는 아동이 없어서 이상했다. 주변에 아파트가 뜸했고 날씨가 추워서 그랬나보다 싶었다. 그런데 정말로 기관에서 인근 아동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했을 때 섭섭했다.
처음 기관에 들어갔을 때, 전에 방문했었던 보육원과 크게 다른 점은 없었다. 다만 산 아래에 위치해 있어서 많이 추웠고 아이들이 보이지 않았다. 선생님께서는 요목조목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기관의 사명, 핵심가치, 비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었다. 여기서 우리나라 사회복지 행정 기관의 현주소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수업 시간마다 교수님께서 언급하시는 부분을 실제로 깨달으니 우리가 사회복지 행정가가 되어 변화시킬 것이 많다고 생각되었다. 지금까지 교실에서만 수업을 했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행정 체계에 대한 얘기를 들으니 이론만 가득찬 사회복지사가 아닌 여러 가지 경험으로 꽉 찬 사회 복지사가 되어 가는 것 같아 기뻤다.
E 기관방문 후 결정적으로 잘못 된 것이 아닌가 걱정이 들었다. 내가 이전에 생각했었던 아동복지센터와는 표면적으로는 너무 달랐기 때문이기도 했고, 내가 배웠던 행정적인 측면들이 너무 강조되어 있지 않아서 본 센터에 대한 의문마저 들었었다.
기관을 소개해 주신 김혜숙 팀장님의 설명으로 센터의 행정체계나 사업방향이 많이 힘든 상황임을 알 수 있었고 기관 컨택에서 우리가 실수를 한 것이 아닌가 생각도 했었지만 오래된 보육기관이 아동복지센타가 된 것이기 때문에 지금 이 기관은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래서 지금은 행정적으로는 많이 미약하고 특히 보육원과의 구분이 거의 상실되긴 했지만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을 거라고 생각되어진다. 행정적으로는 체계적으로 잡히진 않았다 할지라고 본 센터가 있기 이전부터 보육원이 꾸준히 있어왔기 때문에 행정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무언가가 있을 거라고 생각되어졌다. 본 활동을 통해서 각자의 장점이 되는 부분들을 맡아서 일을 분담한 것이 정말 잘 한 것 같이 느껴졌고 앞으로도 다양한 부분의 센터나 기관의 방문기회를 통해서 행정체계와 밀접하게 연관시켜서 우리의 수업을 이해했으면 좋겠다.
<< 참고 신문기사 >>
-국공립 보육시설 서비스 엉망
국공립보육시설들이 영아, 장애아, 방과후 아동 등에 대한 특수보육서비스를 꺼리는 등 허울만 `국공립'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2일 발표한 `국공립보육시설의 현황 및 기능 재정립방안'에 따르면, 전국 1290개 국공립보육시설 가운데 고작 1.9%만이 24시간 보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형의 시간연장형 특수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율도 매우 낮아, 휴일보육은 2.1%, 시간제 보육은 3.7%, 야간보육은 4.4%에 그쳤다. 방과후 보육을 실시하는 곳도 9.4%에 불과했으며, 방과후보육 아동수는 5명 이하 22.1%, 6~10명 26.5%, 11~15명 22.1% 등의 분포를 보여 대부분 별도교사를 둘 수 없을 정도로 소규모였다.
이런 실태는 국공립보육시설 보육아동의 65.9%가 취업모인 점을 감안할 때 특수육서비스 수준이 매우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안영진 기자youngjin@hani.co.kr
한겨레신문 2001/5/23
-지역아동센터.공동생활가정 기준 마련
보건복지부는 지역아동센터와 공동생활가정의 설치 기준을 정하는 아동복지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개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지역아동센터는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보호와 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곳으로, 올해 244개소에 대해 월 67만2천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25평 이상의 건물로 설치기준을 정했다.
공동생활가정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 대해 사회복지사 등과 함께 가정형태를 구성, 일상생활을 같이 하게 하는 곳으로 설치기준은 25평이상의 주택형 숙사로 했 다.
개정안은 또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아동정책조정위원회 산하에 아동정책 실무위를 둬 아동정책에 대한 조정과 감독 등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연합뉴스 2004.7.30
참고 문헌 & 관련 싸이트
강서아동복지센터 http://www.gscwc.or.kr/
아동복지연합회 http://www.kfcw.or.kr/
21 세기 아동복지 발행학 - 사화자 지음
아동복지시설의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박명준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770
http://blog.naver.com/kangyss2.do?Redirect=Log&logNo=19054990
모두가 함께 만나야 할 시간을 정하고 만나서 토론하며 과제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등의 과정이 정말 쉽지 않았지만, 이렇게 과제를 모두 마치고 나니 정말 뿌듯했고, 기관의 행정에 대한 이론적 지식들이 조금은 쉽고 실재적인 모습으로 머릿속에 자리잡히는 듯 하다. 그리고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웠던 행정체계들이 실제 현장에서는 제대로 잡혀 있지 않으며 부족하고 개선해야 할 점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고 많이 아쉬웠다. 우리가 나중에 현장에 나가서 일할 때쯤이면 지금보다는 많이 개선되어 있겠지만 그래도 그때에 우리의 역할이 크게 필요할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D 5호선 맨 끝인 방화역까지 간 그 곳은 너무나 멀게만 느껴졌다. 날씨는 얼마나 춥던지... 기관에 도착한 나는 주변 환경을 보고 의아했다. 3시였는데도 불구하고 유치원생, 초등학생 등 거리에 돌아다니는 아동이 없어서 이상했다. 주변에 아파트가 뜸했고 날씨가 추워서 그랬나보다 싶었다. 그런데 정말로 기관에서 인근 아동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했을 때 섭섭했다.
처음 기관에 들어갔을 때, 전에 방문했었던 보육원과 크게 다른 점은 없었다. 다만 산 아래에 위치해 있어서 많이 추웠고 아이들이 보이지 않았다. 선생님께서는 요목조목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기관의 사명, 핵심가치, 비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었다. 여기서 우리나라 사회복지 행정 기관의 현주소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수업 시간마다 교수님께서 언급하시는 부분을 실제로 깨달으니 우리가 사회복지 행정가가 되어 변화시킬 것이 많다고 생각되었다. 지금까지 교실에서만 수업을 했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행정 체계에 대한 얘기를 들으니 이론만 가득찬 사회복지사가 아닌 여러 가지 경험으로 꽉 찬 사회 복지사가 되어 가는 것 같아 기뻤다.
E 기관방문 후 결정적으로 잘못 된 것이 아닌가 걱정이 들었다. 내가 이전에 생각했었던 아동복지센터와는 표면적으로는 너무 달랐기 때문이기도 했고, 내가 배웠던 행정적인 측면들이 너무 강조되어 있지 않아서 본 센터에 대한 의문마저 들었었다.
기관을 소개해 주신 김혜숙 팀장님의 설명으로 센터의 행정체계나 사업방향이 많이 힘든 상황임을 알 수 있었고 기관 컨택에서 우리가 실수를 한 것이 아닌가 생각도 했었지만 오래된 보육기관이 아동복지센타가 된 것이기 때문에 지금 이 기관은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래서 지금은 행정적으로는 많이 미약하고 특히 보육원과의 구분이 거의 상실되긴 했지만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을 거라고 생각되어진다. 행정적으로는 체계적으로 잡히진 않았다 할지라고 본 센터가 있기 이전부터 보육원이 꾸준히 있어왔기 때문에 행정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무언가가 있을 거라고 생각되어졌다. 본 활동을 통해서 각자의 장점이 되는 부분들을 맡아서 일을 분담한 것이 정말 잘 한 것 같이 느껴졌고 앞으로도 다양한 부분의 센터나 기관의 방문기회를 통해서 행정체계와 밀접하게 연관시켜서 우리의 수업을 이해했으면 좋겠다.
<< 참고 신문기사 >>
-국공립 보육시설 서비스 엉망
국공립보육시설들이 영아, 장애아, 방과후 아동 등에 대한 특수보육서비스를 꺼리는 등 허울만 `국공립'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2일 발표한 `국공립보육시설의 현황 및 기능 재정립방안'에 따르면, 전국 1290개 국공립보육시설 가운데 고작 1.9%만이 24시간 보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형의 시간연장형 특수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율도 매우 낮아, 휴일보육은 2.1%, 시간제 보육은 3.7%, 야간보육은 4.4%에 그쳤다. 방과후 보육을 실시하는 곳도 9.4%에 불과했으며, 방과후보육 아동수는 5명 이하 22.1%, 6~10명 26.5%, 11~15명 22.1% 등의 분포를 보여 대부분 별도교사를 둘 수 없을 정도로 소규모였다.
이런 실태는 국공립보육시설 보육아동의 65.9%가 취업모인 점을 감안할 때 특수육서비스 수준이 매우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안영진 기자youngjin@hani.co.kr
한겨레신문 2001/5/23
-지역아동센터.공동생활가정 기준 마련
보건복지부는 지역아동센터와 공동생활가정의 설치 기준을 정하는 아동복지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개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지역아동센터는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보호와 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곳으로, 올해 244개소에 대해 월 67만2천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25평 이상의 건물로 설치기준을 정했다.
공동생활가정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 대해 사회복지사 등과 함께 가정형태를 구성, 일상생활을 같이 하게 하는 곳으로 설치기준은 25평이상의 주택형 숙사로 했 다.
개정안은 또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아동정책조정위원회 산하에 아동정책 실무위를 둬 아동정책에 대한 조정과 감독 등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연합뉴스 2004.7.30
참고 문헌 & 관련 싸이트
강서아동복지센터 http://www.gscwc.or.kr/
아동복지연합회 http://www.kfcw.or.kr/
21 세기 아동복지 발행학 - 사화자 지음
아동복지시설의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박명준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770
http://blog.naver.com/kangyss2.do?Redirect=Log&logNo=19054990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법인,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사 협회에 관한 조사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과 사회복지행정 및 조직이론의 분류 - 조직의 개념, 조직의 ...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아동빈곤문제에 대한 ...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의 역사 - 1.서구 사회복지의 역사 (빈민법,사회보험,복지국가의 ...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 이론 중에서 폐쇄체계이론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조사론,인간행동과사회환경,가족복지론,아동복지론,사회복지실천론,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행정에 있어 관리기술영역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 및...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관리, 사회복지프...
사회복지행정론_우리나라는 복지체감도를 높이고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전달체계를 구축하...
[ 사회복지행정론 ] 지역사회의 복지관을 한곳 선택하여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과정을 알...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기획의 기법과 이론을 설명하고 사회복지기관(장애인, 노인, 아동 ...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 마케팅(또는 사회적마케팅)이 영리기업의 마케팅과 구분되는 특성에...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조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금(후원금)조성현황과 사회복지조직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