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uto CAD 도면설계 환경설정
•AutoCAD도면 시작하기
▪도면설계 순서
▪도면 시작하기
-기존도면 열어서 시작하기
-처음부터 시작하기
-템플릿기반으로 도면시작하기
-시작마법사를 이용하여 시작하기
•제도값의 설정
▪작업영역설정
▪SNAP 및 모눈(GRID) 설정하기
•AutoCAD환경변경
▪AutoCAD보조화일 검색경로 설정
▪AutoCAD화면 설정
▪도면 열기 및 저장
▪도면 출력 특성조정
▪시스템 옵션설정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
▪도면요소 선택옵션 설정
▪프로파일 만들기
▪작업성능의 최적화
•AutoCAD도면 시작하기
▪도면설계 순서
▪도면 시작하기
-기존도면 열어서 시작하기
-처음부터 시작하기
-템플릿기반으로 도면시작하기
-시작마법사를 이용하여 시작하기
•제도값의 설정
▪작업영역설정
▪SNAP 및 모눈(GRID) 설정하기
•AutoCAD환경변경
▪AutoCAD보조화일 검색경로 설정
▪AutoCAD화면 설정
▪도면 열기 및 저장
▪도면 출력 특성조정
▪시스템 옵션설정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
▪도면요소 선택옵션 설정
▪프로파일 만들기
▪작업성능의 최적화
본문내용
릭하여 원하는 색을 선택하고 ‘적용 및 닫기’를 클릭하고 ‘옵션’ 대화상자의 ‘확인’버턴을 클릭하고 종료하면 바탕화면이 변경됨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나머지 색상들도 ‘AutoCAD 색상옵션’ 대화상자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영역에 클릭하고 색상을 선택해 주면 된다.
도면 열기 및 저장
이 탭에서는 도면화일의 열기와 저장에 관련된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대화상자의 ‘파일안전 예방조치’란을 보면 ‘자동저장’ 기능이 눈에 뛴다. 자동저장이란 도면작업 중 일정한시간(기본시간 120분으로 설정되어 있음)이 지나면 도면이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설정한다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간격을 120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데 중요도별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저장될 때 파일의 확장자가 ‘ac$’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것도 변경가능하며, 자동으로 저장되는 위치는 ‘파일’탭에서 변경할 수 있다. 혹시 자동저장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파일’ 탭의 지정된 경로에서 확장자가 ‘ac$’인 도면의 확장자를 ‘dwg’또는 ‘dwt’로 변경한 후 ‘Open’명령으로 열 수가 있다.
도면 출력 특성조정
여기서는 도면의 출력과 관계있는 플롯장치의 추가 또는 구성, 기본 장치, 플롯의 유형, 사진이나 문자등의 출력에 대한 질을 결정하는 등 출력에 관한 설정 등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
시스템 옵션설정
이 탭에서는 일반적인 AutoCAD시스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한 세션에서 여러개의 문서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옵션’에서 ‘단일 도면 호환모드’를 선택하여 AutoCAD를 단일 문서편집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스템의 좌표입력장치를 사용하므로, 대개 AutoCAD를 설치한 후 마우스나 디지타이저에 대한 구성작업을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현재 좌표입력장치를 변경하여, AutoCAD가 디지타이저의 입력만 받아들일지 디지타이저와 마우스의 입력을 모두 받아들일지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사항 탭 설정
말 그대로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타일대로 만들어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눈여겨 볼만한 것은 마우스에 대한 설정이다.
‘Windows표준동작’을 보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턴에 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설정할 수도 있고, 선가중치에 대한 설정도 할 수 있다.
제도 탭 설정
도면작성에 있어서 보조도구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AutoSnap은 대상물에 정확한 점을 지정하는데 도움이 되고, AutoTrack은 특정 각도나 객체 스냅점에 대한 좌표추적을 가능케 하는 기능이다. 이런 보조도구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많은 효과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을 효과들을 사용할 것인가 등을 설정한다.
대화상자의 내용 중 AutoSnap설정값에서 ‘표식기’는 아래의 삼각형에 해당되고 툴팁은 ‘중간점’으로 나오는 글자이며, 조준창은 커서에 정사각형과 커서의 모양이 합쳐진 것과 같다. AutoTrack에서 추적벡터라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 점선의 모양으로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것들은 기본 설정대로 그냥 사용해도 좋은 설정들이라 할 수 있다.
도면요소 선택옵션설정
여기서는 도면요소를 선택하는데 관련된 기능들을 변경할 수 있다. 요소를 선택할 때 선택상자의 크기를 조정하고 도면 그리기 작업 중 켜두고자 하는 선택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시적 윈도우 옵션은 모면영역을 클릭할 때 선택 윈도우가 작성되게 하면, ‘Shift’키를 사용하여 선택요소에 추가를 선택하는 경우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새로운 대상물을 선택하여 객체선택 세트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GRIP(맞물림)모드의 색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GRIP을 이용한 편집가능을 조정, 선택된 그립과 선택되지 않은 그립의 구분색 등을 지정할 수 있다.
프로파일 만들기
지금까지의 사용자 설정상황을 보관하고 있는 변수값들을 프로파일로 작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AutoCAD는 현재의 옵션설정상황을 <<미지정 프로파일>>이름으로 저장한다. 프로파일의 정보는 레지스터리에 저장되며, 텍스트화일 (.ARG)로 저장된다. AutoCAD는 기본 데이터를 구성하고 레지스터리의 변경사항을 필요에 따라 유지한다. 이렇게 한번 저장되면 .ARG화일을 서로 다른 컴퓨터에 내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하던 사용자는 다른 컴퓨터에서도 같은 환경의 AutoCAD에서 도면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성능의 최적화
이렇게 옵션설정을 알아보았는데 그러면 AutoCAD로 작업할 때 어떤 설정이 가장 최적화가 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 호 및 원을 부드럽게 하는 정도 : 보통 도면 작성시에는 100정도를 지정하고 3차원의 Rendering에서 곡선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값을 조금 높이면 된다. 주의사항은 값을 높이면 REGEN, PAN, ZOOM등의 명령에 영향을 준다.
- 폴리라인의 곡선당 세그먼트 조절 : 성능최적화를 위해 4정도의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역시 높이면 도면의 재생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 래스터 이미지의 표시 : 가급적이면 래스터 이미지를 도면에 삽입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부득이 삽입한 경우는 래스터 이미지의 내부를 비워두면 좋겠다.
- 내부채우기 적용(Solid) : 그리고 폭이 있는 물체들에 가능하면 채우기를 표시 않는 것이 좋겠다.
- 문자프레임만 보이도록 조절 : QTEXT의 값을 ‘1’로 설정하여 모든 문자는 프레임만 보이게 한다.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AutoCAD 도면형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빠른 저장이 된다.
- 증분저장 퍼센트 : 보통은 50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것은 도면작업시 도면의 변경된 공간이 50%가 넘으면 변경된 도면 정보만 저장한다. 만약에 이 값이 작아지면 저장시 성능이 떨어진다.
- 외부참조 요청되어 올리기 : 가능하면 사용가능으로 설정한다. 즉 현재도면에 참조된 도면에서 현재도면의 재생성에 필요한 부분만 올린다.
- 맞물림(GRIP)은 아주 유용하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비워두는 것이 좋겠다. 켜두면 도면의 크기가 커지고 도면의 재생성 시간에 영향을 준다.
도면 열기 및 저장
이 탭에서는 도면화일의 열기와 저장에 관련된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대화상자의 ‘파일안전 예방조치’란을 보면 ‘자동저장’ 기능이 눈에 뛴다. 자동저장이란 도면작업 중 일정한시간(기본시간 120분으로 설정되어 있음)이 지나면 도면이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설정한다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간격을 120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데 중요도별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저장될 때 파일의 확장자가 ‘ac$’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것도 변경가능하며, 자동으로 저장되는 위치는 ‘파일’탭에서 변경할 수 있다. 혹시 자동저장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파일’ 탭의 지정된 경로에서 확장자가 ‘ac$’인 도면의 확장자를 ‘dwg’또는 ‘dwt’로 변경한 후 ‘Open’명령으로 열 수가 있다.
도면 출력 특성조정
여기서는 도면의 출력과 관계있는 플롯장치의 추가 또는 구성, 기본 장치, 플롯의 유형, 사진이나 문자등의 출력에 대한 질을 결정하는 등 출력에 관한 설정 등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
시스템 옵션설정
이 탭에서는 일반적인 AutoCAD시스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한 세션에서 여러개의 문서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옵션’에서 ‘단일 도면 호환모드’를 선택하여 AutoCAD를 단일 문서편집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스템의 좌표입력장치를 사용하므로, 대개 AutoCAD를 설치한 후 마우스나 디지타이저에 대한 구성작업을 추가로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현재 좌표입력장치를 변경하여, AutoCAD가 디지타이저의 입력만 받아들일지 디지타이저와 마우스의 입력을 모두 받아들일지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사항 탭 설정
말 그대로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타일대로 만들어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눈여겨 볼만한 것은 마우스에 대한 설정이다.
‘Windows표준동작’을 보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턴에 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설정할 수도 있고, 선가중치에 대한 설정도 할 수 있다.
제도 탭 설정
도면작성에 있어서 보조도구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AutoSnap은 대상물에 정확한 점을 지정하는데 도움이 되고, AutoTrack은 특정 각도나 객체 스냅점에 대한 좌표추적을 가능케 하는 기능이다. 이런 보조도구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많은 효과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을 효과들을 사용할 것인가 등을 설정한다.
대화상자의 내용 중 AutoSnap설정값에서 ‘표식기’는 아래의 삼각형에 해당되고 툴팁은 ‘중간점’으로 나오는 글자이며, 조준창은 커서에 정사각형과 커서의 모양이 합쳐진 것과 같다. AutoTrack에서 추적벡터라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 점선의 모양으로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것들은 기본 설정대로 그냥 사용해도 좋은 설정들이라 할 수 있다.
도면요소 선택옵션설정
여기서는 도면요소를 선택하는데 관련된 기능들을 변경할 수 있다. 요소를 선택할 때 선택상자의 크기를 조정하고 도면 그리기 작업 중 켜두고자 하는 선택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시적 윈도우 옵션은 모면영역을 클릭할 때 선택 윈도우가 작성되게 하면, ‘Shift’키를 사용하여 선택요소에 추가를 선택하는 경우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새로운 대상물을 선택하여 객체선택 세트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GRIP(맞물림)모드의 색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GRIP을 이용한 편집가능을 조정, 선택된 그립과 선택되지 않은 그립의 구분색 등을 지정할 수 있다.
프로파일 만들기
지금까지의 사용자 설정상황을 보관하고 있는 변수값들을 프로파일로 작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AutoCAD는 현재의 옵션설정상황을 <<미지정 프로파일>>이름으로 저장한다. 프로파일의 정보는 레지스터리에 저장되며, 텍스트화일 (.ARG)로 저장된다. AutoCAD는 기본 데이터를 구성하고 레지스터리의 변경사항을 필요에 따라 유지한다. 이렇게 한번 저장되면 .ARG화일을 서로 다른 컴퓨터에 내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하던 사용자는 다른 컴퓨터에서도 같은 환경의 AutoCAD에서 도면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성능의 최적화
이렇게 옵션설정을 알아보았는데 그러면 AutoCAD로 작업할 때 어떤 설정이 가장 최적화가 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 호 및 원을 부드럽게 하는 정도 : 보통 도면 작성시에는 100정도를 지정하고 3차원의 Rendering에서 곡선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값을 조금 높이면 된다. 주의사항은 값을 높이면 REGEN, PAN, ZOOM등의 명령에 영향을 준다.
- 폴리라인의 곡선당 세그먼트 조절 : 성능최적화를 위해 4정도의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역시 높이면 도면의 재생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 래스터 이미지의 표시 : 가급적이면 래스터 이미지를 도면에 삽입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부득이 삽입한 경우는 래스터 이미지의 내부를 비워두면 좋겠다.
- 내부채우기 적용(Solid) : 그리고 폭이 있는 물체들에 가능하면 채우기를 표시 않는 것이 좋겠다.
- 문자프레임만 보이도록 조절 : QTEXT의 값을 ‘1’로 설정하여 모든 문자는 프레임만 보이게 한다.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AutoCAD 도면형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빠른 저장이 된다.
- 증분저장 퍼센트 : 보통은 50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것은 도면작업시 도면의 변경된 공간이 50%가 넘으면 변경된 도면 정보만 저장한다. 만약에 이 값이 작아지면 저장시 성능이 떨어진다.
- 외부참조 요청되어 올리기 : 가능하면 사용가능으로 설정한다. 즉 현재도면에 참조된 도면에서 현재도면의 재생성에 필요한 부분만 올린다.
- 맞물림(GRIP)은 아주 유용하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비워두는 것이 좋겠다. 켜두면 도면의 크기가 커지고 도면의 재생성 시간에 영향을 준다.
키워드
추천자료
3D Modeller의 종류와 3D CAD의 비교
[지구온난화][지구온난화 개념][지구온난화 원인][지구온난화 영향][지구온난화 극복방안][온...
CAD 이용 및 종류
[삶의 질 제고]삶의 질의 개념, 삶의 질의 영향요인, 삶의 질의 수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
<매스미디어의 의제설정(Agenda Setting) 비교 분석> - 의제설정기능이론, 프레이밍 이론을 ...
광고마케팅과 의제설정,광고마케팅,반대마케팅,의제설정마케팅
[디지털설계 ] Unigraphics 기반사 출금형 설계 전공 CAD 시스템의 개발
건축 CAD와 실무_기본명령어
[폐기물][쓰레기]폐기물(쓰레기)의 개념, 폐기물(쓰레기)의 유형, 폐기물(쓰레기)의 자원화, ...
매스미디어의 의제설정(Agenda Setting) 비교 분석 - 의제설정기능이론, 프레이밍 이론을 중...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目標設定) 과정의 구성요소 : 제1단계~제13단계
[목표설정 (目標設定)] 목표의 설정 - 일반적 목표의 설정, 수요평가, 구체적 목표의 확정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의 계획에 대한 이해 - 목적과 목표설정(목적의 유형...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의 계획에 대한 이해 - 목적과 목표설정(목적의 유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