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양귀비와 당현종의 사랑 소나타
(1) 비련의 연인 - 백박(白樸)의『오동우(梧桐雨)』
(2) 천상에서 다시 피어난 사랑 - 홍승(洪昇)의『장생전(長生殿)』
3. 양귀비와 당현종의 네버엔딩 스토리
(1) 귀비취주(貴妃醉酒)
(2) 기타
4. 나가는 말
2. 양귀비와 당현종의 사랑 소나타
(1) 비련의 연인 - 백박(白樸)의『오동우(梧桐雨)』
(2) 천상에서 다시 피어난 사랑 - 홍승(洪昇)의『장생전(長生殿)』
3. 양귀비와 당현종의 네버엔딩 스토리
(1) 귀비취주(貴妃醉酒)
(2) 기타
4. 나가는 말
본문내용
『오동우(梧桐雨)』의 결말이 맘에 든다. 나라를 잃고 아파했던 경험이 없어서인지 망국에 대한 주제의식에 관해서는 대강 추측하여 이해할 뿐이지 직접 가슴으로 느끼지는 못하겠다.
오히려 죽은 양귀비를 그리워하며 시름시름 앓는 현종을 보면서 작품에 더 심취할 수 있었다.
이 다음에 내가 2006년 2학기 “중국고전희곡” 수업을 회상하게 된다면 아마도 “추적추적 비오는 날, 오동나무 아래에서 양귀비를 그리워하는 『오동우(梧桐雨)』속의 현종”을 먼저 떠올리지 않을까?
한 편 애틋하게만 인식되던 두 사람의 사랑이야기를 경극 귀비취주(貴妃醉酒)를 계기로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었다. 실제로 지나친 질투심 때문에 세 차례나 내쫓겼다는 양귀비와 그녀 뿐만 아니라 본래 여색을 좋아했다는 당현종의 이면을 보면서 색다른 재미를 찾을 수 있었고, 현 시대까지 명성이 자자한 매란방(梅蘭旁)의 연기를 볼 수 없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당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는 이 보고서와 같이 여러 작가들에 의하여 각기 다른 모습으로 거듭 새롭게 탄생하였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이 사랑이야기에 대한 나의 애정도 깊어졌으며, 한 학기를 총정리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 참고문헌 *
『원잡극선』 김학주, 명문당, 2001년
『중국의 지성 5人이 뽑은 고전 200』 왕일평 지음, 최종세 옮김, 예문서원, 2000년
『중국 전통극의 이해』 신지영, 범우사, 2002년
『당현종과 양귀비 애정고사 연구: 장한가, 오동우, 장생전 중심으로』, 박영미, 공주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3년
오히려 죽은 양귀비를 그리워하며 시름시름 앓는 현종을 보면서 작품에 더 심취할 수 있었다.
이 다음에 내가 2006년 2학기 “중국고전희곡” 수업을 회상하게 된다면 아마도 “추적추적 비오는 날, 오동나무 아래에서 양귀비를 그리워하는 『오동우(梧桐雨)』속의 현종”을 먼저 떠올리지 않을까?
한 편 애틋하게만 인식되던 두 사람의 사랑이야기를 경극 귀비취주(貴妃醉酒)를 계기로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었다. 실제로 지나친 질투심 때문에 세 차례나 내쫓겼다는 양귀비와 그녀 뿐만 아니라 본래 여색을 좋아했다는 당현종의 이면을 보면서 색다른 재미를 찾을 수 있었고, 현 시대까지 명성이 자자한 매란방(梅蘭旁)의 연기를 볼 수 없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당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는 이 보고서와 같이 여러 작가들에 의하여 각기 다른 모습으로 거듭 새롭게 탄생하였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이 사랑이야기에 대한 나의 애정도 깊어졌으며, 한 학기를 총정리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 참고문헌 *
『원잡극선』 김학주, 명문당, 2001년
『중국의 지성 5人이 뽑은 고전 200』 왕일평 지음, 최종세 옮김, 예문서원, 2000년
『중국 전통극의 이해』 신지영, 범우사, 2002년
『당현종과 양귀비 애정고사 연구: 장한가, 오동우, 장생전 중심으로』, 박영미, 공주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3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