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골 한옥마을과 한국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산골 한옥마을과 한국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풍스럽게 보였다. 처음으로 김춘영의 가옥을 찾았는데 'ㄷ자"형의 안채에 'ㅡ자'형의 사랑채를 연결시켜 평면을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평민주택의 양식을 보이고 있으나 안방의 뒤쪽벽, 즉 길가에
<그림 >김춘영가옥의 안채
<그림 >대문간과 바깥은 잇는 안중문
<그림 >행랑방의모습과 집기들
면한 부분에 사고석과 전돌을 사용하여 화방벽을 쌓아 집의 격조를 더 높인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도편수 이승업의 가옥이었다 이곳을 들어갔을때는 처음에는 의아해 했다 이곳이 식당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대문간채와 행랑채가 안채와 사랑채를 둘러싸고 있는 규모가 큰 집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경기도 지방에서 흔히 보이는 곱은자집 형태로 평면은 정면 4칸, 측면 5칸인데 가운데에 2칸크기의 대청이 배치되어 있다. 대청 동쪽에는 건너방이 앞뒤로 나뉘어 있고 안방은 서쪽의 2칸을 차지하고 있다. 안방 뒤에는 한칸 크기의 뒷방이 있고 각 방과 부엌에는 툇마루가 딸려있는 물림집
) 물림집, 즉 퇴의 구조는 주택의 몸채 바깥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과 몸채의 기둥 사이에 퇴보를 걸고 몸채의 서까래를 연장하거나 따로 서까래를 걸어 지붕을 만든다. 구조적으로는 몸채에 부속하여 몸채에서 달아낸 것으로 ,달아낸 집이라고도 한다. 기둥 간격은 몸채와 같은 크기인 1칸(6-8자)이지만 깊이는 반 칸 정도이다. 물림집은 방의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만드는 경우가 많지만, 바닥을 마루로 하고, 벽을 두시 않는 경우도 있고 흙바닥에 벽을 두지 않고 기둥과 지붕만을 만들어 헛간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물림집은 상류주택에도 있으나 농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다. 사랑채 역시 한칸 크기의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한칸씩의 방을 두었다.
<그림 >식당을 하고 있어서 사진을 찍을 수가 없어서 인터넷에서 퍼옴
부엌 그 옆에 안채가 있다.

<그림 >창살의 문양이 무척 아름답다.
중앙이론
에 기둥을 둔 일고주 5량구조와 측면의 평주 4량구조에 따라 지붕 한쪽이 길고 한쪽은 짧은 것이 서울에서는 볼 수 없는 유형이어서 이채롭다. 특히 부엌 앞 측벽의 박공벽 전돌 처리나 서로길이가 다른 지붕면 등은 당시 서울의 가옥에서는 볼 수 없는 유형이다. 선반 까치발에 새긴 초새김이나 부엌앞 넌출문(네 개의 문짝을 연이어 단 문) 의 창살 문양 등은 상당히 정교하고 건넌방과 대청 뒤의 난간 처리가 아름다운 건물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26
  • 저작시기200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6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