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경제와 경제체제
1. 경제와 경제문제
2. 경제체제
Ⅱ. 경제학의 본질
1. 경제학의 정의와 구분
2. 경제분석방법에 따른 경제이론의 구분
Ⅰ. 경제와 경제체제
1. 경제와 경제문제
2. 경제체제
Ⅱ. 경제학의 본질
1. 경제학의 정의와 구분
2. 경제분석방법에 따른 경제이론의 구분
본문내용
는 말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2) 정태경제학(靜態經濟學)과 동태경제학(動態經濟學)
1. 정태분석 : 여건의 변화가 없고, 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 하에서 경제 변수들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것 → 대부분의 미시경제학 분석에서 사용
2. 동태분석 : 여건이 변화하고 경제변수와 시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면서 상이한 기간에 걸친 경제현상의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것 → 경기변동, 경제성장, 경제발전, 미시의 거미집이론 등
3. 비교정태분석 : 어떤 여건이나 경제변수가 변화했을 때, 시간적인 변화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변화전과 변화후의 결과만을 비교분석하는 것 → 미시경제학에서의 변화 설명 등
3) 균형이론(均衡理論)
1. 균형 : 여건 하에서 경제주체들이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고 더 이상 변하려고 하지 않는 상태
2.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1) 부분균형분석
가) 마샬(A.MARSHALL)에 의해 발전되고 케임브리지학파에 의해 사용됨.
나) 다른 여타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CETERIS PARIBUS) → 가장 중요한 몇 개의 변수들간의 상호 의존 관계만을 고려하여 어느 특정부문에서 성립하는 균형상태를 분석하는 것
2) 일반균형분석
가) 왈라스(L.WALRAS)가 주장하고 파레토(V.PARETO)를 거쳐 힉스(J.R.HICKS)의 “가치와 자본”에서 완성
나) 가정 : 완전경쟁, 사유재산제도, 계약의 자유 및 무제한적인 수요공급 법칙의 작용
다) 모든 경제현상의 상호의존관계에 관한 모든 부문의 동시적 균형을 분석하는 것
3. 안정적 균형, 불안정적 균형, 중립적 균형
1) 안정적 균형 : 균형에서 이탈시 다시 균형상태로 회복하려는 경향이 있을 때의 균형.
2) 불안정적 균형 : 균형상태에서 이탈되면 다시 균형상태를 회복하지 않고 점점 더 균형에서 멀어져 가는 경향이 있을 때.
3) 중립적 균형 : 균형에서 이탈했을 경우, 이탈된 상태를 계속 그대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 경우.
4. 장기균형(長期均衡)과 단기균형(短期均衡)
1) 시장기 : 매우 짧은 기간이므로 수요량만 변하고, 공급량은 변할 수 없는 기간
2) 단기 : 불변요소(자본량, 기술수준)가 존재하는 기간 → 불변생산요소와 가변생산요소가 모두 존재하는 기간으로 가변비례의 법칙 작용
3) 장기 : 자본도 변화가능하여 가변요소만 존재하는 기간 → 규모의 경제 작용 여부
4) 최장기 : 기술수준까지도 변화가능할 정도로 긴 기간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2) 정태경제학(靜態經濟學)과 동태경제학(動態經濟學)
1. 정태분석 : 여건의 변화가 없고, 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 하에서 경제 변수들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것 → 대부분의 미시경제학 분석에서 사용
2. 동태분석 : 여건이 변화하고 경제변수와 시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면서 상이한 기간에 걸친 경제현상의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것 → 경기변동, 경제성장, 경제발전, 미시의 거미집이론 등
3. 비교정태분석 : 어떤 여건이나 경제변수가 변화했을 때, 시간적인 변화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변화전과 변화후의 결과만을 비교분석하는 것 → 미시경제학에서의 변화 설명 등
3) 균형이론(均衡理論)
1. 균형 : 여건 하에서 경제주체들이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고 더 이상 변하려고 하지 않는 상태
2.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1) 부분균형분석
가) 마샬(A.MARSHALL)에 의해 발전되고 케임브리지학파에 의해 사용됨.
나) 다른 여타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CETERIS PARIBUS) → 가장 중요한 몇 개의 변수들간의 상호 의존 관계만을 고려하여 어느 특정부문에서 성립하는 균형상태를 분석하는 것
2) 일반균형분석
가) 왈라스(L.WALRAS)가 주장하고 파레토(V.PARETO)를 거쳐 힉스(J.R.HICKS)의 “가치와 자본”에서 완성
나) 가정 : 완전경쟁, 사유재산제도, 계약의 자유 및 무제한적인 수요공급 법칙의 작용
다) 모든 경제현상의 상호의존관계에 관한 모든 부문의 동시적 균형을 분석하는 것
3. 안정적 균형, 불안정적 균형, 중립적 균형
1) 안정적 균형 : 균형에서 이탈시 다시 균형상태로 회복하려는 경향이 있을 때의 균형.
2) 불안정적 균형 : 균형상태에서 이탈되면 다시 균형상태를 회복하지 않고 점점 더 균형에서 멀어져 가는 경향이 있을 때.
3) 중립적 균형 : 균형에서 이탈했을 경우, 이탈된 상태를 계속 그대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 경우.
4. 장기균형(長期均衡)과 단기균형(短期均衡)
1) 시장기 : 매우 짧은 기간이므로 수요량만 변하고, 공급량은 변할 수 없는 기간
2) 단기 : 불변요소(자본량, 기술수준)가 존재하는 기간 → 불변생산요소와 가변생산요소가 모두 존재하는 기간으로 가변비례의 법칙 작용
3) 장기 : 자본도 변화가능하여 가변요소만 존재하는 기간 → 규모의 경제 작용 여부
4) 최장기 : 기술수준까지도 변화가능할 정도로 긴 기간
추천자료
현대의 문화경제학의 흐름
신제도학파 경제학의 접근방법과 관련지어 코즈 정리에 관해 설명해 보라.
신고전학파 경제학
현대 경제학의 핵심, 효용
케인즈 경제학은 세계대공황의 해결책인가?
[제도경제학E형]주인-대리인모형에 관해 설명해 보고 그것을 이용해 공개법인이 안고 있는 약...
화폐 경제학
여성주의 경제학 [페미니스트의 역할]
[미시경제학]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의 시장 지배
소비자의 경제학 - 효용과 무차별곡선, 소비자 균형, 소비자 잉여, 여가의 선택, 생산자 잉여
멘큐의 경제학으로 본 대형마트
[경제학] 인플레이션과 실업에 관해서
[제도경제학 공통] 올슨의 집단선택이론이 무엇이고, 그것이 제도 이론의 어떤 쟁점을 설명하...
[제도경제학 공통] 주인-대리인모형에 관해 설명해 보고 그것을 이용해 공개법인이 안고 있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