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그렇군요. 폴란드 입장에서는 서운하겠는데요. 그의 작품세계는 어떤가요?
김연형 : 그는 본래 시인이었지만 가장 유명한 작품은 공산주의에 순응한 많은 폴란드 지성 인을 비판한 평론집 〈사로잡힌 마음 Zniewolony umys〉입니다. 그의 시는 철학 적·정치적 문제를 주제로 고전적인 문체를 쓴 점이 특징이죠. 또한 〈조국 Rodzinna Europa〉,〈개인의 의무 Prywatne obowiazki〉같은 자서전도 썼으며, 소설 〈이사 계곡 Dolina Issy〉,〈폴란드 문학사〉 시집 〈겨울 종 Bells in Winter〉등 여러 권의 시선집과 성서를 폴란드어로 번역하는 등 아직까지도 꾸준 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약간 고차원적이고, 철학적이라 어렵죠. 대부분.
원빈 : 우리나라의 이상 같은 분이군요. 그 난해한 시들과 고차원적인 표현들.
김연형 : 그렇다고 볼 수 있죠.
원빈 : 자. 마지막입니다. 가장 최근인 199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심보르스카 인데요. 어 머. 여류작가입니다.
김연형 : 네. 현재까지 폴란드에서 가장 유명한 여류작가라고 할 수 있어요.
원빈 : 여류작가로써 앞의 세 수상자들과는 뭔가 다른 특별한 점이 있을 것 같은데요.
김연형 : 아무래도 여자 특유의 섬세함과 솔직함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죠. 심보르스카는 1996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될 때까지 국외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 다. 지난 30년 동안 폴란드에서 시집 7권을 발표한 이 은둔자는 기법의 미묘함 때문에 번역하기 어려운 시인이라고 알려져 왔었죠. 하지만 현재 그녀의 시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나와 있습니다.
원빈 : 우리나라에도 있나요?
김연형 : 예. 번역본도 있고, 영어본과 폴란드어로 된 원본도 있습니다. 하지만 큰 서점을 가셔야만 합니다. 꼭 우리나라의 김영랑 시인같은 섬세함이 있어요. 신비함도 있 구요.
원빈 : 그렇군요. 감이 오는데요.
김연형 : 그녀는 다양한 문체와 모순적 정확성을 지닌 시를 통해 단편적 인간 현실에 담겨 있는 역사적·생물적인 상황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아직까지 활발히 활동하고 있 고, 폴란드 잡지에 비평문을 싣기도 하지요. 폴란드의 여성을 대표한다고도 하네 요.
원빈 :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훌륭한 여류시인이 나와야 할텐 데요. 자 어느덧 시간이 이렇 게 되었네요. 이제 끝내야 할 시간입니다. 오늘 어떠셨어요?
김연형 : 너무 뿌듯한 시간이었습니다. 현재 폴란드와 우리나라는 활발한 무역교류를 통해 좋은 우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하지만 폴란드축구나, 문화만큼 폴란드문학에 대한 관심은 적은 편이죠. 현재 폴란드 대학에서는 한국학 수업이 있어, 한국문학 에 대해 자세하고 심도있게 가르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도 문학강대국인 폴란드 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배우다 보면 폴란드에서 배출된 네 명의 수상자 만큼이나 훌륭한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을 배출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원빈 : 네. 바쁜 시간 내주셔서 감사 드리구요. 좋은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청취자 여러 분들도 오늘 이 대담을 통하여 저처럼 폴란드의 문학에 대해 관심을 갖는 좋은 계기 가 되었길 빕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연형 : 네. 감사합니다.
원빈 : 오늘 문화포커스는 여기서 마칩니다. 내일 다시 뵙겠습니다. 청취해 주신 청취자 여 러분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원빈, 연출에 강동원 이었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최건영 엮음 ‘폴란드 문학의 세계’
노벨상 홈페이지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홈페이지
섬사랑 홈페이지
이민희 저 ‘정인섭이 바라본 폴란드 문학’
칼 데데키우스 저 ‘Weltwoche'-폴란드 문학에 대한 7가지 명제’
김연형 : 그는 본래 시인이었지만 가장 유명한 작품은 공산주의에 순응한 많은 폴란드 지성 인을 비판한 평론집 〈사로잡힌 마음 Zniewolony umys〉입니다. 그의 시는 철학 적·정치적 문제를 주제로 고전적인 문체를 쓴 점이 특징이죠. 또한 〈조국 Rodzinna Europa〉,〈개인의 의무 Prywatne obowiazki〉같은 자서전도 썼으며, 소설 〈이사 계곡 Dolina Issy〉,〈폴란드 문학사〉 시집 〈겨울 종 Bells in Winter〉등 여러 권의 시선집과 성서를 폴란드어로 번역하는 등 아직까지도 꾸준 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약간 고차원적이고, 철학적이라 어렵죠. 대부분.
원빈 : 우리나라의 이상 같은 분이군요. 그 난해한 시들과 고차원적인 표현들.
김연형 : 그렇다고 볼 수 있죠.
원빈 : 자. 마지막입니다. 가장 최근인 199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심보르스카 인데요. 어 머. 여류작가입니다.
김연형 : 네. 현재까지 폴란드에서 가장 유명한 여류작가라고 할 수 있어요.
원빈 : 여류작가로써 앞의 세 수상자들과는 뭔가 다른 특별한 점이 있을 것 같은데요.
김연형 : 아무래도 여자 특유의 섬세함과 솔직함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죠. 심보르스카는 1996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될 때까지 국외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 다. 지난 30년 동안 폴란드에서 시집 7권을 발표한 이 은둔자는 기법의 미묘함 때문에 번역하기 어려운 시인이라고 알려져 왔었죠. 하지만 현재 그녀의 시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나와 있습니다.
원빈 : 우리나라에도 있나요?
김연형 : 예. 번역본도 있고, 영어본과 폴란드어로 된 원본도 있습니다. 하지만 큰 서점을 가셔야만 합니다. 꼭 우리나라의 김영랑 시인같은 섬세함이 있어요. 신비함도 있 구요.
원빈 : 그렇군요. 감이 오는데요.
김연형 : 그녀는 다양한 문체와 모순적 정확성을 지닌 시를 통해 단편적 인간 현실에 담겨 있는 역사적·생물적인 상황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아직까지 활발히 활동하고 있 고, 폴란드 잡지에 비평문을 싣기도 하지요. 폴란드의 여성을 대표한다고도 하네 요.
원빈 :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훌륭한 여류시인이 나와야 할텐 데요. 자 어느덧 시간이 이렇 게 되었네요. 이제 끝내야 할 시간입니다. 오늘 어떠셨어요?
김연형 : 너무 뿌듯한 시간이었습니다. 현재 폴란드와 우리나라는 활발한 무역교류를 통해 좋은 우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하지만 폴란드축구나, 문화만큼 폴란드문학에 대한 관심은 적은 편이죠. 현재 폴란드 대학에서는 한국학 수업이 있어, 한국문학 에 대해 자세하고 심도있게 가르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도 문학강대국인 폴란드 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배우다 보면 폴란드에서 배출된 네 명의 수상자 만큼이나 훌륭한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을 배출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원빈 : 네. 바쁜 시간 내주셔서 감사 드리구요. 좋은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청취자 여러 분들도 오늘 이 대담을 통하여 저처럼 폴란드의 문학에 대해 관심을 갖는 좋은 계기 가 되었길 빕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연형 : 네. 감사합니다.
원빈 : 오늘 문화포커스는 여기서 마칩니다. 내일 다시 뵙겠습니다. 청취해 주신 청취자 여 러분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원빈, 연출에 강동원 이었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최건영 엮음 ‘폴란드 문학의 세계’
노벨상 홈페이지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홈페이지
섬사랑 홈페이지
이민희 저 ‘정인섭이 바라본 폴란드 문학’
칼 데데키우스 저 ‘Weltwoche'-폴란드 문학에 대한 7가지 명제’
추천자료
드라나 강의 다리를 읽고
버스 정류장
문예이론 인물 조사
마술적 사실주의의 역사적 맥락과 한국문학에서의 마술적 사실주의
펄벅의 대지를 읽고
드리나강의 다리를 읽고
변신인형
『거대한 날개를 가진 노인』의 패러디적 요소와 환상적 요소에 관하여.
< 너는 닥스 선생님이 싫으냐? >을 읽고
1Q84 독후감 - 무라카미 하루키 - 저자소개 및 집필의도, 1Q84 서평
[한국문학][분단문학][해학][자연][한국문학의 논쟁 사례]한국문학의 특질, 한국문학의 교류,...
드리나 강의 다리
[작가 및 작품해설] Beloved (빌러비드) _ Toni Morrison (토니 모리슨)
[공연 관람 후기] 김지숙의 ‘로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