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수요와 화폐금융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폐수요와 화폐금융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화폐의 기능

2. 화폐의 수요

3. 화폐의 공급

4. 금융시장론

본문내용

. → 화폐금융정책은 이자율 이외의 다른 경로(방법)으로 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포트폴리오 이론(Portfolio theory)
1) 포트폴리오 : 주식과 채권을 포함한 자산의 묶음
2) 주식과 장기채권 가격을 통한 영향 : 통화정책은 이자율에 대한 직접적 효과만이 아니라 개인들로 하여금 보유하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도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 통화정책의 가장 중요한 효과는 자산가격의 변화이다.
6) 통화공급목표의 설정
1. 통화공급목표의 의의 : 통화 또는 총통화 등 주요 통화지표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일정한 증가율로 표시
2. EC방식 : 1972년, EC 각료이사회의 권고방식 → 피셔의 교환방정식에 Log를 취하여 선형으로 도출
통화공급증가율 = 물가상승률 + 실질경제성장률 - 소득유통속도증가율
7) 금융관련지표
1. 금융연관비율(financial inter-relations ratio : FIR) : 한나라의 금융구조 고도화나 금융축적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FIR = =
1) 저축주체와 투자주체가 분리될수록 FIR은 높아진다.
2) 기업투자재원의 외부자금 의존도가 클수록 FIR은 높아진다.
3) 외부자금 가운데 간접금융이 차지하는 비율이 클수록 FIR은 높아진다.
4) 금융의 우회화 정도가 높아져서 금융기관 사이에 이중삼중의 증권이 발행될수록 FIR은 높아진다.
2. 개인금융자산 축적률 : 개인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총액을 개인의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
개인금융자산 축적률 =
3. 기업의 투자자금 조달방식
1) 내부자금 조달방식 : 법인기업이 법인소득의 일부를 사내유보이윤으로 자기 저축하는 것
2) 외부자금 조달방식 : 기업이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내부자금으로 충당하고도 모자라는 부분을 외부로부터 조달하는 방식
가) 간접금융 :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빌려쓰는 것
나) 직접금융 : 주식 또는 회사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
다) 해외금융 : 외국에서 자금을 빌리는 것
4. 공정할인율 :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에 대출할 때, 적용하는 금리
5. 금리의 결정
1) 예금은행의 금리 : 금융통화운영위원회가 일차적으로 최고이율을 결정 → 그 한도 내에서 한국은행 총재가 다시 실행최고율을 결정 → 각 은행이 실행최고율 내에서 자율적으로 실행이율을 결정
2) 제2금융권의 금리 : 단자회사, 증권투자신탁, 금전신탁, 상호신용금고, 보험회사와 같은 제2금융권의 예금금리는 재정경제부총리가 직간접적으로 결정
4. 금융시장론
1) 금융시장(financial markets)
1. 금융시장 : 저축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에게 자금을 직접 공급하는 시장 →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이 가장 중요
2. 채권시장
1) 채권(bond) : 돈을 빌린 사람이 그 증서를 보유한 사람에게 특정한 금액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음을 나타내는 일종의 차용증서 → 차입금, 만기일, 만기이전의 정기적인 이자율 등이 규정
2) 채권의 속성 : 만기의 기간, 신용위험, 채권이자에 대한 과세여부에 따라 이자율이 다르다.
3. 주식시장
1) 주식(stock) : 한 회사의 소유지분을 나타내는 청구권
2) 주식의 속성 : 이윤에 대한 배당 청구권 → 배당이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4. 대부자금 시장 : 저축하려는 사람은 누구나 저축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에게 자금을 공급하는 시장 → 금융시장을 단일시장의 개념으로 이해
1) 대부자금에 대한 공급 : 저축 → 우상향
2) 대부자금에 대한 수요 : 투자 → 우하향
3) (실질)이자율의 결정 : 대부자금의 가격으로 수요=공급에서 결정 → 이자율은 저축에 대한 수익률인 동시에 자금의 차입비용이다.
4) 조세제도의 변화와 대부자금 시장
가) 저축세를 감면하는 경우 : 저축증가 → 공급곡선의 우측이동 → 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비판론] 국민저축 증가효과는 크지 않고, 혜택이 저축이 많은 부자에게 가므로 형평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나) 투자세액 공제를 실시하는 경우 : 자금차입과 투자에 대한 경제적 유인으로 작용 → 투자 증가 → 수요곡선의 우측이동 → 이자율 상승 → 저축 증가
5) 재정 적자흑자와 대부자금 시장
가) 재정적자가 증가하는 경우 : 정부저축<0 → 민간저축 감소 → 공급곡선의 좌측이동 → 이자율 상승 → 투자 감소 → 총수요 감소 ;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
나) 재정흑자가 증가하는 경우 : 정부저축>0 → 민간저축 증가 → 공급곡선의 우측이동 → 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 경제성장이 더 빨라진다.
ㄱ) 재정흑자를 그대로 유지하자는 견해 : 재정흑자는 정부채무 상환으로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므로
ㄴ) 새로운 투자재원으로 활용하자는 견해 : 사회간접자본, 교육투자의 사회적 수익률이 민간투자의 수익률보다 높으므로
ㄷ) 조세감면으로 균형을 이루자는 견해 :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에 대한 왜곡의 감소로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높아지므로
2) 이자율의 결정
1. 고전학파 : 저축과 투자는 이자율의 함수
투자함수 : I = I(r) , I' < 0 → 투자는 이자율의 감소함소
저축함수 : S = S(r) , S' > 0 → 저축은 이자율의 증가함수
균형이자율의 결정 : I = S → 실물적 이자율의 결정
2. 케인즈의 화폐적 이자율 : 유동성선호(화폐수요) = 화폐공급에서 이자율 결정
PL(Y, r) = MS
케인즈 모형에 의하면, 물가는 일정하다고 암묵적으로 가정, 국민소득은 생산물시장의 총수요 크기에 의해 결정 → 화폐시장에서 화폐잔고(저량)에 대한 수요공급에 의하여 이자율 결정
3. 대부자금설 : 이자율은 일정 기간의 대부자금(유량)의 총수요와 총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1) 대부자금의 수요 : 기업의 투자수요(I) + 기간 중 민간의 화폐수요(ΔMD/P) → 우하향
2) 대부자금의 공급 : 민간저축(S) + 정부저축(T-G) + 기간 중 화폐공급(ΔMS/P) → 우상향
3) 대부자금설의 균형방정식
I + ΔMD/P = S + (T-G) + ΔMS/P → 이자율 결정
4) 국민소득 증가 → 대부자금 공급곡선의 우측이동 → 이자율 하락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5.02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