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탈냉전상황의 한반도
1)북한 외부로부터의 위기
2)북한 내부의 위기
a. 김일성 사망
b. 경제적 위기
3)남한 및 여타국가의 대북지원, 남북경협과 남북정상회담
4)북미관계의 변화:냉전시대와 탈냉전, 9/11시기의 북미관계의 변화
2. 냉전상황의 한반도
1)군사 및 안보대립의 지속: 안보정책과 통일정책의 충돌
ex)안보,통일정책을 둘러싼 여야의 충돌
ex)국가보안법페지를 둘러싼 여야의 파장
국가보안법 전문
2)미국의 한국지배
참고문헌
1)북한 외부로부터의 위기
2)북한 내부의 위기
a. 김일성 사망
b. 경제적 위기
3)남한 및 여타국가의 대북지원, 남북경협과 남북정상회담
4)북미관계의 변화:냉전시대와 탈냉전, 9/11시기의 북미관계의 변화
2. 냉전상황의 한반도
1)군사 및 안보대립의 지속: 안보정책과 통일정책의 충돌
ex)안보,통일정책을 둘러싼 여야의 충돌
ex)국가보안법페지를 둘러싼 여야의 파장
국가보안법 전문
2)미국의 한국지배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란을 선전.선동한 자는 7년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2)미국의 한국지배
한국전쟁의 신탁통치이후 한국은 여전히 미국의 영향력하에 놓여있으며, 클린턴 행정부에서 부시행정부로의 전환에 따른 명백한 정책변화가 보여주듯이, 북한과 남한 모두 미국의 변덕스러운 정치적 판단과 정책 전환에 여전히 큰 영향을 받고 있다.
ex)IMF 신탁통치를 통한 경제지배와 주한미군 및 이라크파병등 동맹 및 안보를 강조한 군사적 지배
< 참고문헌 >
John Dunn, 탈냉전기 한국과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유럽의 시각, 아세아 연구, 2002
정해구, 탈냉전의 영향과 북한체제의 변화 전망, 정해구
서재정,정용욱, 탈냉전과 미국의 신세계질서,서재정,정용욱,역사비평사, 1996
학술단체협의회, 5.18은 끝났는가 ,푸른숲, 1999
2)미국의 한국지배
한국전쟁의 신탁통치이후 한국은 여전히 미국의 영향력하에 놓여있으며, 클린턴 행정부에서 부시행정부로의 전환에 따른 명백한 정책변화가 보여주듯이, 북한과 남한 모두 미국의 변덕스러운 정치적 판단과 정책 전환에 여전히 큰 영향을 받고 있다.
ex)IMF 신탁통치를 통한 경제지배와 주한미군 및 이라크파병등 동맹 및 안보를 강조한 군사적 지배
< 참고문헌 >
John Dunn, 탈냉전기 한국과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유럽의 시각, 아세아 연구, 2002
정해구, 탈냉전의 영향과 북한체제의 변화 전망, 정해구
서재정,정용욱, 탈냉전과 미국의 신세계질서,서재정,정용욱,역사비평사, 1996
학술단체협의회, 5.18은 끝났는가 ,푸른숲, 1999
추천자료
이회창과 노무현후보의 대미, 대북정책 비교
우리나라 주변국가와 통일
걸프전이 한국에 미친 영향
TKR이 미치는 경제적 효과
북핵 문제에 대한 접근 및 해결방안
[북미관계][댑구정책][미국의 대북정책]북미관계의 전개, 북미관계의 현황과 북미관계의 갈등...
중일외교정치관계
북미관계의 현안 및 과제
동북아 화합과 평화 통합 방안
[미국일본 안보, 미일안보, 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 변화, 주일미군]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
국제관계와 한국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중국의 외교정책]
[군사학] 제08과 우리의 적은 누구인가?
지난 70년의 남북한 관계의 성격과 특징 및 통일의 기반을 구축하고 바람직한 형태의 통일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