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불평등의 원인으로서의 과학기술 격차
Ⅲ. 정보사회에서의 불평등 문제
1. 지식격차의 이론
2. 정보사회로의 이행과 특성
3. 정보격차와 불평등
4. 정보격차의 원인과 범주
Ⅳ.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과 정보격차해소의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
2. 정보격차해소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보는 확산가설
2) 정보격차가 확산될 것이라고 보는 정보격차 가설
3) 정보격차에 대한 현실론
Ⅴ. 결 론
참고 문헌
Ⅱ. 불평등의 원인으로서의 과학기술 격차
Ⅲ. 정보사회에서의 불평등 문제
1. 지식격차의 이론
2. 정보사회로의 이행과 특성
3. 정보격차와 불평등
4. 정보격차의 원인과 범주
Ⅳ.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과 정보격차해소의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
2. 정보격차해소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보는 확산가설
2) 정보격차가 확산될 것이라고 보는 정보격차 가설
3) 정보격차에 대한 현실론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나 불균형한 발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었던 후기산업사회는 물질적 불평등 구조를 완화시키기는커녕 오히려 정보와 지식의 상품화로 인해 지역간, 국가간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정보화에 따르는 불평등은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측면에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근의 근저에는 보다 중요한 이슈가 깔려있다. 그것은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개인의 이익을 얼마나 포기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접근 비용을 줄이는 것이나, 사용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 인프라 구축 등은 공공부문의 개입을 통하게 된다. 이것은 개개인이 자신의 권리 일부를 양보하고 자신의 경제적 자원, 사회적 우월적 위치를 일부 양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은 결국 인류가 서로 웃으며 협력하고 공동의 번영과 영광을 추구하는 자세를 얼마나 가지느냐에 달려있다.
개인이나 소집단의 욕망을 죽이고 지구촌화된 사회에서 인류가 같이 잘 살수 있는 평화, 복지, 안전의 공동사회를 건설하여야 한다는 명제는 단순한 이상이 아니다. 인간의 복권, 불신을 몰아내고 상호 협동하는 체제, 과학기술 개발의 통어, 새로운 세계 질서, 인류가족의식의 확립을 통한 당위적 요청 사회는 실현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조영식 1996). 사실, 앞에서 제시한 불평등의 해결 방법들은 우리 인류가 가진 역량의 범위 내에 있다. 다만 이를 실천할 개개인의 의지가 현실화되지 못하고 이를 결집할 메커니즘이 확립되지 못했다는 것이 문제였을 따름이다. 엄청난 사회적 능력과 인류 전체의 역량이 극대화될 앞으로의 정보사회에서는 우리가 어떤 자세를 갖느냐에 따라 당위적 요청 사회는 현실화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정보 사회의 불평등 문제는 이에 대한 한 측면에서의 접근이다. 이와 같은 노력이 여러 차원에서 시도되고 실천에 옮겨질 때 우리의 오랜 희망인 공존 공영의 인류 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권태환조형제 편, 정보사회의 이해 (서울: 미래미디어, 1997).
김승현, 정보사회 정치경제학 (서울: 나남, 1990).
김영석, 멀티미디어와 정보화사회 (서울: 나남, 1997).
사회과학연구소 편, 이데올로기와 정보화사회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정보화사회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서울대학교 사회정의연구실천모임 편, 현대사회와 과학문명 (서울: 나남, 1997).
석현호,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서울: 나남, 1997).
앨빈 토플러, 이계행 역, 제3의 물결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994).
F. 웹스터, 조동기 역, 정보사회이론 (서울: 사회비평사, 1997).
전석호, 정보사회론 (서울: 나남, 1995).
제레미 리프킨, 이영호 역, 노동의 종말 (서울: 민음사, 1997).
조영식, 오토피아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6).
죤 네이스비트, 서문호 역, 제4의 물결 (서울: 안산미디어, 1996).
최정호 외,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출판사, 1996).
최진석, 한국 정보사회론 (서울: 기한재, 1997).
황일청,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형평 (서울: 나남, 1992).
Coates, J. Mahaffie J. and A. Hines, 2025: Scenarios of US and Global Society Reshaped by Science and Technology (Greeensboro: Oakhill Press, 1997).
Golding, P. & G Murdock, “Unequal Information: Access and Exclusion in the New Communication Market Place,” M. Ferguson (ed.)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Public Interest (Beverly Hills: Sage Pub, 1986).
Machlup, 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 U.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Masuda, Y., The Information Society as Post-Industrial Society (Inst. for Information Society, 1980).
Michael, D., “Enriched or Impoverished? Master or Servant?,” Information Technology: Some Critical Implication for Decision Makers (New York: The Conference Board, 1972).
Morase, C., “Introduction,” Science and Factors of Inequality (UNESCO, 1979).
Rogers, E.,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New York: Free Press, 1996).
Porat, M., The Information Economy: Definition and Measurement (US DOC, 1977).
Shiller, H., Information and the Crisis Economy (N.J.: Ablex, 1985).
, Information Inequality: The Deepening Social Crisis in America (New York: Routledge, 1996).
[ 목 차 ]
Ⅰ. 서 론
Ⅱ. 불평등의 원인으로서의 과학기술 격차
Ⅲ. 정보사회에서의 불평등 문제
1. 지식격차의 이론
2. 정보사회로의 이행과 특성
3. 정보격차와 불평등
4. 정보격차의 원인과 범주
Ⅳ.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과 정보격차해소의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
2. 정보격차해소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보는 확산가설
2) 정보격차가 확산될 것이라고 보는 정보격차 가설
3) 정보격차에 대한 현실론
Ⅴ. 결 론
참고 문헌
정보화에 따르는 불평등은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측면에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근의 근저에는 보다 중요한 이슈가 깔려있다. 그것은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개인의 이익을 얼마나 포기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접근 비용을 줄이는 것이나, 사용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 인프라 구축 등은 공공부문의 개입을 통하게 된다. 이것은 개개인이 자신의 권리 일부를 양보하고 자신의 경제적 자원, 사회적 우월적 위치를 일부 양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은 결국 인류가 서로 웃으며 협력하고 공동의 번영과 영광을 추구하는 자세를 얼마나 가지느냐에 달려있다.
개인이나 소집단의 욕망을 죽이고 지구촌화된 사회에서 인류가 같이 잘 살수 있는 평화, 복지, 안전의 공동사회를 건설하여야 한다는 명제는 단순한 이상이 아니다. 인간의 복권, 불신을 몰아내고 상호 협동하는 체제, 과학기술 개발의 통어, 새로운 세계 질서, 인류가족의식의 확립을 통한 당위적 요청 사회는 실현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조영식 1996). 사실, 앞에서 제시한 불평등의 해결 방법들은 우리 인류가 가진 역량의 범위 내에 있다. 다만 이를 실천할 개개인의 의지가 현실화되지 못하고 이를 결집할 메커니즘이 확립되지 못했다는 것이 문제였을 따름이다. 엄청난 사회적 능력과 인류 전체의 역량이 극대화될 앞으로의 정보사회에서는 우리가 어떤 자세를 갖느냐에 따라 당위적 요청 사회는 현실화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정보 사회의 불평등 문제는 이에 대한 한 측면에서의 접근이다. 이와 같은 노력이 여러 차원에서 시도되고 실천에 옮겨질 때 우리의 오랜 희망인 공존 공영의 인류 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권태환조형제 편, 정보사회의 이해 (서울: 미래미디어, 1997).
김승현, 정보사회 정치경제학 (서울: 나남, 1990).
김영석, 멀티미디어와 정보화사회 (서울: 나남, 1997).
사회과학연구소 편, 이데올로기와 정보화사회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정보화사회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서울대학교 사회정의연구실천모임 편, 현대사회와 과학문명 (서울: 나남, 1997).
석현호,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서울: 나남, 1997).
앨빈 토플러, 이계행 역, 제3의 물결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994).
F. 웹스터, 조동기 역, 정보사회이론 (서울: 사회비평사, 1997).
전석호, 정보사회론 (서울: 나남, 1995).
제레미 리프킨, 이영호 역, 노동의 종말 (서울: 민음사, 1997).
조영식, 오토피아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6).
죤 네이스비트, 서문호 역, 제4의 물결 (서울: 안산미디어, 1996).
최정호 외,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출판사, 1996).
최진석, 한국 정보사회론 (서울: 기한재, 1997).
황일청,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형평 (서울: 나남, 1992).
Coates, J. Mahaffie J. and A. Hines, 2025: Scenarios of US and Global Society Reshaped by Science and Technology (Greeensboro: Oakhill Press, 1997).
Golding, P. & G Murdock, “Unequal Information: Access and Exclusion in the New Communication Market Place,” M. Ferguson (ed.)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Public Interest (Beverly Hills: Sage Pub, 1986).
Machlup, 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 U.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Masuda, Y., The Information Society as Post-Industrial Society (Inst. for Information Society, 1980).
Michael, D., “Enriched or Impoverished? Master or Servant?,” Information Technology: Some Critical Implication for Decision Makers (New York: The Conference Board, 1972).
Morase, C., “Introduction,” Science and Factors of Inequality (UNESCO, 1979).
Rogers, E.,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New York: Free Press, 1996).
Porat, M., The Information Economy: Definition and Measurement (US DOC, 1977).
Shiller, H., Information and the Crisis Economy (N.J.: Ablex, 1985).
, Information Inequality: The Deepening Social Crisis in America (New York: Routledge, 1996).
[ 목 차 ]
Ⅰ. 서 론
Ⅱ. 불평등의 원인으로서의 과학기술 격차
Ⅲ. 정보사회에서의 불평등 문제
1. 지식격차의 이론
2. 정보사회로의 이행과 특성
3. 정보격차와 불평등
4. 정보격차의 원인과 범주
Ⅳ.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과 정보격차해소의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로 인한 불평등의 해결
2. 정보격차해소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정보격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보는 확산가설
2) 정보격차가 확산될 것이라고 보는 정보격차 가설
3) 정보격차에 대한 현실론
Ⅴ. 결 론
참고 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완전한 사회참여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의 활성화 방안(수원시를 중심으로)
정보화에 대하여
장애인의정보접근
해외IT개발의 일반적 현황
정보사회와 복지
정보사회 불평등의 차원
노화이론 중 현대화이론을 노인문제 한 가지의 예를 들어 설명
KT 이석채 회장의 CSV 경영 - KT의 사회공헌 활동 국내 기업 CSR 사례 (1).ppt
[경쟁력강화, CNN]지식기반경제, 디지털시대의 경쟁력강화, 물류정보화, 도매시장의 경쟁력강...
불평등(차별)과 건강불평등, 불평등(차별)과 가사노동불평등, 불평등(차별)과 성불평등, 불평...
정보 불평등
[정보복지] 정보 복지 (Information wellness) - 정보복지 개념, 정보복지 특징, 정보복지 사...
[독점][기술독점][기술독과점][정보독점][정보독과점][독점시장][독과점시장][독점자본][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