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격차와 사회불평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정보화의 물결
1)정보화 추세
2)정보화의 영향

2.정보격차
1)사회불평등과 정보격차
2)정보격차의 내용 변화
3)사회불평등과 정보격차의 완화방안:보편적 서비스와교육
4)정보사회의 스팩트럼

3. 글로벌 정보격차
1)정보화와 국가간 불평등

4.한국의 정보격차
1)정보사회로 급속한 진입
2)정보격차

5.정보불평등 대책

*관련사례

본문내용

소득층.농어민)을 상대로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를 한 결과 2005년 46.7점에서 2006년 38점으로 8.7점이 개선됐다고 18일 밝혔다. 정보격차 지수는 일반국민의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과 정보화 소외계층 간 정보화 격차를 표시한 것. 값이 작을수록 정보 격차가 작다는 뜻이다.
컴퓨터 보유나 인터넷 접속 속도 등 정보통신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 측면의 격차는 대폭 개선됐지만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능력의 격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았다. 소외계층의 '접근성'항목은 일반 국민의 80.2% 수준이었지만 '역량'(42.9%)과 '활용'(49.2%) 수준은 꽤 떨어졌다.
‘어르신의 어르신에 의한 어르신을 위한’ IT봉사단 떴다
어른신이 어르신의 정보화를 돕는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www.kado.or.kr 원장 손연기)은 24일 11시 진흥원 대강당에서 제 3기 ‘어르신 IT봉사단’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날 출범한 ‘어르신 IT봉사단’은 컴퓨터와 인터넷에 능숙한 어르신이 동년배의 ‘컴맹’들에게 직접 정보화 교육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보화를 통해 노령층이 사회·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차원에서 구성된 것이다.
이날 결성된 봉사단은 전국 총 36개 팀 187명으로 올 11월까지 경로당·노인교실·마을회관·독거노인 등을 방문해 약 400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를 가르치게 된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2005년부터 ‘어르신 IT봉사단’을 운영했으며, 올해에는 약 6만1500명의 어르신들에게 정보화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5.0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