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1. 중국 충격으로 인한 위기 (샌드위치론)
2. 한국의 생존 및 발전전략 (IMF의 발생과 극복)
3. 국제자유도시의 유형
4. 제주 국제자유도시 개발
5. 인천 국제자유도시와 ‘경기만 벨트’ 개발
6. 대구 테크노폴리스 개발
7. 정부의 대응조치
2. 한국의 생존 및 발전전략 (IMF의 발생과 극복)
3. 국제자유도시의 유형
4. 제주 국제자유도시 개발
5. 인천 국제자유도시와 ‘경기만 벨트’ 개발
6. 대구 테크노폴리스 개발
7. 정부의 대응조치
본문내용
중국 충격으로 인한 위기
- 얼마전 세계 1위 반도체 장비업체인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AMAT)’는 한국서 연구개발 센터를 철수하고 대신 중국에 200㎜ 반도체장비 연구 및 생산 시설을 이전할 계획이라고 발표.
- 올해 초엔 인텔이 한국 내 R&D 센터를 없애고 중국에 더 큰 규모로 세우겠다고 발표.
▷ 지난 10년간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 역할을 해준 IT산업의 두뇌에 해당되는 연구 개발 근거지가 중국으로 옮겨가는 것은, 역동성을 상실한 우리 경제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서울이 몽유병에 걸렸다. 아시아의 수출 챔피언이 길을 잃을 위기에 놓였다”라며 한국 제조업이 동력을 잃고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인 샌드위치 신세가 됐다고 분석했다.
▷ 이는 무엇보다 경제의 역동성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최근 4년 연속 10% 이상의 고성장을 거듭하는 가운데, 한국은 지난 4년간 잠재성장률(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달성 가능한 경제성장률)에도 못 미치는 연 평균 4.2% 성장에 머물렀고 기업가들 이 투자의욕을 잃은 탓에 투자 부진도 심각하다. 96년 GDP(국내총생산)의 15.6% 에 이르던 기업 설비투자가 작년엔 11.1%로 떨어졌다.
- 얼마전 세계 1위 반도체 장비업체인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AMAT)’는 한국서 연구개발 센터를 철수하고 대신 중국에 200㎜ 반도체장비 연구 및 생산 시설을 이전할 계획이라고 발표.
- 올해 초엔 인텔이 한국 내 R&D 센터를 없애고 중국에 더 큰 규모로 세우겠다고 발표.
▷ 지난 10년간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 역할을 해준 IT산업의 두뇌에 해당되는 연구 개발 근거지가 중국으로 옮겨가는 것은, 역동성을 상실한 우리 경제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서울이 몽유병에 걸렸다. 아시아의 수출 챔피언이 길을 잃을 위기에 놓였다”라며 한국 제조업이 동력을 잃고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인 샌드위치 신세가 됐다고 분석했다.
▷ 이는 무엇보다 경제의 역동성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최근 4년 연속 10% 이상의 고성장을 거듭하는 가운데, 한국은 지난 4년간 잠재성장률(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달성 가능한 경제성장률)에도 못 미치는 연 평균 4.2% 성장에 머물렀고 기업가들 이 투자의욕을 잃은 탓에 투자 부진도 심각하다. 96년 GDP(국내총생산)의 15.6% 에 이르던 기업 설비투자가 작년엔 11.1%로 떨어졌다.
추천자료
국제경제의 새로운 흐름
국제정치경제(3대시각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의이해) 1960~1970년대의 한국경제 ++ A+ 완성자료
교토의정서를 중심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정치경제적 고찰
(한국경제의이해A형)1960-1970년대 한국경제에 대한 고찰
[한국경제의이해]1960-1970년대의 한국경제에 관하여
경제-국제 금융위기에 대해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과 세계화 -한국경제의 세계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 [세계화의...
2002년(2000년대)의 한국경제와 세계경제, 2002년(2000년대)의 농가경제와 경제성장, 2002년(...
[방통대국제경제환경론] 국제경제환경론 한·미 FTA와 한·중 FTA 비교, ·논평, 전망
IMF시대부터 현재까지 한국경제정책 비교분석 [김대중 정부의 경제 정책(1997~2001), 노무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