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비평 - 자본주의 사랑과 욕망( 발리에서 생긴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디어비평 - 자본주의 사랑과 욕망( 발리에서 생긴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1. 연구문제
2. 연구의 목적과 문제제기
3. 연구의 방법과 대상
4. 드라마 소개

제 2장 본론
1. 이론적 배경
2. 사례 분석
1) 드라마의 외적 분석
2) 드라마의 내적 분석

제 3장 결론
결론 및 한계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호가치의 생성
위의 사례는 드라마 홈페이지에 링크된 발리 관광 상품의 광고이다. SBS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을 통해 ‘발리’라는 사물의 지위가 변했음을 알 수 있는 사례이다.
㉠ 인도네시아의 작은 섬
㉡ 휴양지, 관광 명소
㉢ 드라마의 여운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가 제공되는 곳
발리는 각 계층에 따라 위의 세 가지 지위를 갖게 된다. 해외여행은 엄두도 못내는, 혹은 발리 관광에 대한 광고나 정보를 접하지 못한 계층에게 발리는 단지 인도네시아의 작은 섬에 불과할 것이다. 발리를 휴양지 또는 관광 명소쯤으로 여기는 계층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 번째 지위는 드라마를 보지 못한 사람은 갖지 못하는 발리의 지위인 것이다. 즉 드라마가 발리에 대한 새로운 지위를 생성한 셈이 된다. 따라서 이 광고가 내세우는 바와 같이 드라마를 시청한 사람들에게는 기존의 발리 여행과는 다른 가치를 지닌 발리 여행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광고 또한 교묘하게 기존의 발리 여행과는 다른 점을 강조하며, 차이의 욕구를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② PPL을 이용한 기호가치의 생성
PPL(Product Placement) : 특정 상품을 드라마 소품으로 노출시키는 것
‘발리에서 생긴 일’은 과다한 PPL로 논란이 많았던 드라마였다. PPL로 노출된 특정 상품의 매출증가와 마케팅 효과는 그 상품의 가치 변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드라마에 등장함으로서 새로운 가치, 즉 기호가치를 획득하고, 그 가치가 시청자들의 욕망을 생성시킨 것이다.
㉠ 의류회사 ParkLand의 PPL
위의 화면은 드라마 속의 배경이 되는 의류회사인 ‘PaxLand'의 회의실 장면이다. 남성의류업체 파크랜드의 기업로고와 상당히 유사한 기업로고가 비교적 선명하게 화면에 나타난다.
㉡ 수입차 재규어의 PPL
위의 화면은 극중 재민이 몰고 다니던 차인 재규어이다. 상류층인 영주 역시 모델만 다른 재규어를 몰았다.
㉢ 음반 - ‘발리에서 생긴 일’ OST
PPL과 약간 다른 개념이기도 하지만 드라마 OST도 드라마에 등장한 노래이기에 가치를 가진 것이지 똑같은 노래라도 드라마에 나오지 않았다면 상품성은 그만큼 떨어지게 된다.
㉣ 서적 - 그람시의 『옥중수고』
심지어는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에 등장했다는 이유만으로 그람시의 『옥중수고』라는 책의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한다.
③ 욕망의 실천양식의 사례
‘발리에서 생긴 일’이 인기를 얻으면서, 위와 같은 극중 재민 역을 맡은 조인성의 세련된 댄디가이 스타일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일명 ‘조인성 따라잡기’라고 일컫는 패션의 유행은 즉각적으로 소비를 통해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소비행위를 통해 ‘세련된 댄디가이’라는 문화적 계급에 편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행이 되고 있는 스타일을 각 의상 별로 가격을 매기고 분석하는 것은 ‘그 남자의 스타일’이나 ‘그 여자의 스타일’과 같은 타이틀로 패션 잡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유행의 소비는 상징투쟁의 한 부분으로서 문화적 계급 동질성을 획득하는 수단이 된다. 다시 말해 유행하는 스타일을 입은 사람은 안 입은 사람과 구별짓기를 하고, 같은 문화적 계급을 가진 사람과 동질성을 느끼는 것이다.
그러나 조민성이 협찬 받은 의상과 소품은 대다수가 매우 비싼 고가의 명품들이었다. 같은 조인성 스타일이라 할지라도 명품 스타일, 고가 브랜드 스타일, 중저가 브랜드 스타일로 또다시 분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분화는 주로 사회적 계급성에 따라 나타난다. 물론 하위계급 역시 신용카드로 명품을 구입함으로써 잠시나마 문화적 계급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카드 값 연체로 인해 파산하고 되고 동일 계급에서 배척당하고 마는 것이다.
이러한 자본주의의 상징투쟁의 순환구조에서 자본을 갖지 못한 자들은 점차 그 구조에서 배제됨으로서 자본주의 체제는 더욱 확고화되는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을 통해 텔레비전 이미지 혹은 기호가 시청자들의 소비에 대한 욕망을 어떻게 생성하고, 그 소비에 의한 상징투쟁의 과정에서 자본주의 체제가 어떤 방식으로 관여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보드리야르와 부르디외의 논의를 토대로 드라마가 생성하는 기호 가치와 그 가치 체계에 숨어든 계급성을 몇 가지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욕망을 소비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었고, 소비를 조장하는 기호가치의 생성에 드라마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기호 가치 체계에 자본주의 이데올로기가 깊숙이 침투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소비를 통한 상징투쟁의 순환과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참고문헌
ㆍ 자크라캉 욕망이론, 권택영, 1993, 문예출판사
ㆍ 프로이트의 성과 권력, 권택영, 1998, 문예출판사
ㆍ 잉여쾌락의 시대, 권택영, 2003, 문예출판사
ㆍ 알기쉬운 자끄라깡, 마단 사럽, 1994, 도서출판 백의
ㆍ 동일시와 노예의지, 강응섭, 1999, 도서출판 백의
ㆍ '발리에서 생긴일 ' 홈페이지, http://www.sbs.co.kr/new/tv/bali
ㆍ 보드리야르와 시뮬라시옹, 배영달, 2005, 살림출판사
ㆍ 이미지와의 전쟁, 강준만, 2000, 개마고원
ㆍ 보드리야르의 문화읽기, 배영달 편저, 1998, 도서출판 백의
ㆍ 소비의 사회, 장 보드리야르, 이상률 옮김, 1991, 문예출판사
ㆍ 시뮬라시옹, 장 보드리야르, 하태환 옮김, 2001, 민음사
ㆍ 텔레비전 드라마의 갈등 구조에 대한 연구-미니시리즈 내용분석을 중심
으로, 김희애,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1992
ㆍ 柳在用의 「聖域」論 : 욕망구조를 중심으로/
郭炅憲,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ㆍ 자끄라깡:문학과 정신 분석, 이미선, 1987
ㆍ 한종만, “TV 드라마의 이데올로기 재생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990. p.2
ㆍ 최창섭, “방송총론”, 법문사, 1999. p.198
ㆍ 박혜진, “TV드라마 속에 나타난 여성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0. p.2
ㆍ 박나경,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5. p.6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5.08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