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troduction>
<Life cycle>
<Pathogenesis>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Plasmodium vivax>
<P.ovale>
<P.malariae>
<trophozoite - malariae>
<P.falciparum>
<Treatment>
<Babesia>
<Geographic Distribution>
<Symptoms>
<Laboratory Diagnosis>
<Treatment>
<Ehrlichiae>
<Clostridial Septicemia>
<Bartonellosis>(carrion disease)
<Life cycle>
<Pathogenesis>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Plasmodium vivax>
<P.ovale>
<P.malariae>
<trophozoite - malariae>
<P.falciparum>
<Treatment>
<Babesia>
<Geographic Distribution>
<Symptoms>
<Laboratory Diagnosis>
<Treatment>
<Ehrlichiae>
<Clostridial Septicemia>
<Bartonellosis>(carrion disease)
본문내용
Intracellular Microorganisms
- Malaria
말라리아 원충에 의한 RBC감염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용혈성 빈혈 중 하나이다. 4억이상의 인구가 이 질환을 겪고 있으며, 해마다 말라리아에 의한 치사율은 백만 이상으로 추정된다. 비록 말라리아 표본조사가 여러 곳에서 시행됨에 불구하고, 지난 40여년 동안 chloroquine 같은 항 말라리아제에 저항성을 지니며 꾸준히 재발하고 있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Anopheles 모기는 전염병 매개체 박멸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는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DDT) 같은 재제에 저항성을 갖고 있다. 이 질병은 최근 항공여행으로 미국등에서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말라리아는 수혈로도 전파되며, 수혈 뒤에 발열성 질환이 의심이 될 때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이기도 하다. 또한 약물 남용과 주사바늘의 사용으로도 전염 될 수 있다.
말라리아는 매개체인 암컷 Anopheles 모기의 흡혈로 인하여 전파되는 급만성의 발열성 원충류 감염증이다. 모기의 타액선에 있는 Sprozoite가 사람 숙주에 침입하게 된다. 균속 Plasmodium의 4종의 sporozoite가 말라리아를 유발한다. (P. vivax, P. malariae. P. falciparum, P. ovale) 이들은 RBC와 다른 조직 내에 기생할 수 있다.
Sporozoite(감염형)는 빠르게 순환 혈액에서부터 간 실질세포로 침입하여 감염 후 6-12일 동안 적혈구외 무성생식을(exoerythrocytic schizogony) 하게된다. 손상된 간에서는 순환 RBC에 침입하는 merozoite가 성장하게 되고, 적혈구기의 무성생식이 시작된다. RBC내에서 merozoite는 헤모글로빈등 세포내 성분을 먹고 자라게 되며, ring form을 형성, 아메바형의 trophozoite로 성장, 결국 merozoite를 포함하는 schizont로 성장하게 된다. Merozoite는 RBC를 나와서 다른 세포로 침입하며, RBC가 깨질 때 환자는 오한과 발열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테면, P vivax의 merozoite형이 exoerythrocytic cycle을 다시 형성하려고 간으로 재침입한다는 설이 있는데, 이설은 아직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는다. 다른 학자들은 간세포에 merozoite의 일부가 남아있어서 시간이 흐른 뒤에 순환 혈에서 다시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Merozoite의 일부는 순환 혈액에서 암컷, 수컷의 gametocyte를 형성한다. Anopheles모기가 흡혈을 하는 동안 gametocyte가 (유성기) 모기로 유입된다. 암컷은 모기의 위장관에 있던 수컷에 의해 번식을 하게 되며, 이는 모기 위장관 외벽에서 성장하는 zygote가 되며 그후에는 oocyst가 되며, Oocyst는 다시 sporozoite를 형성 한다. 헤모글로빈의 proteolysis에 의해 형성된 힘에 의해 모기의 복부는 팽창하게 되어, 자유로워 지거나 모기의 타액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기가 사람을 흡혈시, 이 sporozoite가 숙주에 침입하게 되는 것이다.
- Malaria
말라리아 원충에 의한 RBC감염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용혈성 빈혈 중 하나이다. 4억이상의 인구가 이 질환을 겪고 있으며, 해마다 말라리아에 의한 치사율은 백만 이상으로 추정된다. 비록 말라리아 표본조사가 여러 곳에서 시행됨에 불구하고, 지난 40여년 동안 chloroquine 같은 항 말라리아제에 저항성을 지니며 꾸준히 재발하고 있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Anopheles 모기는 전염병 매개체 박멸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는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DDT) 같은 재제에 저항성을 갖고 있다. 이 질병은 최근 항공여행으로 미국등에서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말라리아는 수혈로도 전파되며, 수혈 뒤에 발열성 질환이 의심이 될 때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이기도 하다. 또한 약물 남용과 주사바늘의 사용으로도 전염 될 수 있다.
말라리아는 매개체인 암컷 Anopheles 모기의 흡혈로 인하여 전파되는 급만성의 발열성 원충류 감염증이다. 모기의 타액선에 있는 Sprozoite가 사람 숙주에 침입하게 된다. 균속 Plasmodium의 4종의 sporozoite가 말라리아를 유발한다. (P. vivax, P. malariae. P. falciparum, P. ovale) 이들은 RBC와 다른 조직 내에 기생할 수 있다.
Sporozoite(감염형)는 빠르게 순환 혈액에서부터 간 실질세포로 침입하여 감염 후 6-12일 동안 적혈구외 무성생식을(exoerythrocytic schizogony) 하게된다. 손상된 간에서는 순환 RBC에 침입하는 merozoite가 성장하게 되고, 적혈구기의 무성생식이 시작된다. RBC내에서 merozoite는 헤모글로빈등 세포내 성분을 먹고 자라게 되며, ring form을 형성, 아메바형의 trophozoite로 성장, 결국 merozoite를 포함하는 schizont로 성장하게 된다. Merozoite는 RBC를 나와서 다른 세포로 침입하며, RBC가 깨질 때 환자는 오한과 발열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테면, P vivax의 merozoite형이 exoerythrocytic cycle을 다시 형성하려고 간으로 재침입한다는 설이 있는데, 이설은 아직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는다. 다른 학자들은 간세포에 merozoite의 일부가 남아있어서 시간이 흐른 뒤에 순환 혈에서 다시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Merozoite의 일부는 순환 혈액에서 암컷, 수컷의 gametocyte를 형성한다. Anopheles모기가 흡혈을 하는 동안 gametocyte가 (유성기) 모기로 유입된다. 암컷은 모기의 위장관에 있던 수컷에 의해 번식을 하게 되며, 이는 모기 위장관 외벽에서 성장하는 zygote가 되며 그후에는 oocyst가 되며, Oocyst는 다시 sporozoite를 형성 한다. 헤모글로빈의 proteolysis에 의해 형성된 힘에 의해 모기의 복부는 팽창하게 되어, 자유로워 지거나 모기의 타액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기가 사람을 흡혈시, 이 sporozoite가 숙주에 침입하게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만성 폐쇄성 폐질환
만성 신부전
정형외과 자료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사정 및 간호(사진有)
copd case study
[뇌혈관질환]뇌졸중과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특성
폐렴에 관한 실습 보고서.
진단 검사
[간호학] 자궁내 성장지연과 양수과소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췌장암][pancreatic canc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Asthma][천식]케이스스터디(Case Stud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정신분열증][Schizopre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