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본 내용에 앞서....
● 만화란?
● 만화라는 단어의 어원
● 만화의 역사
● 세계 각국의 만화와 우리나라의 만화

본문내용

수 있는 발판으로서의 기능도 훌륭하게 수행해 냈다.
1980년대 ▒ 순정만화의 부흥 ▒
1970년대 말 박정희 군사 독재 정권의 몰락과 함께 우리 대중문화 영역 전반에도 창작 자유의 열망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잇달아 등장한 군사 정권에 의해 신문 시사만화의 일반 대중 문화의 사전 검열은 과거와 다름없이 지속 되었다. 1983년 우리 만화사에 커다란 전기가 될 만한 작품이 발표되었다.
이현세의 '외인구단'은 청소년들로 붐비던 만화방에 성인독자를 끌어들였다.
이후 허영만, 이재학, 고행석 등이 등장, 대중만화 판도는 이들 '힘있는 남성작가군'이 이끌었다. 또한 70년대 말 일본만화 '캔디'붐에 힘입어 순정만화계는 황미나, 김진 등의 국내 여류작가들에 의해 독자적인 장르 굳히기가 시도 되었다. 여기에 남성중견작가 이진주, 차성진, 김동화 등이 가세하였다.
80년대 초반 군사 정권에 의해 초토화 되다시피한 신문 시사만화계는 후반에 들어 광범위한 사회 각층의 민주화 욕구와 맞물려 민중 운동 차원의 현실참여만화가 속속 등장하였다.
1990년대 ▒ '만화시대 활짝 열리다' ▒
1990년대의 한국 만화는 다양한 계층의 독자층을 흡수하는 명실상부한 '만화시대'를 구가했다. 90년대에 두드러졌던 만화관련 이슈는 각종 공모전, 국제 행사의 잇단 개최였다.
1991년 서울 만화전을 시작으로 서울 국제 만화페스티벌(SICAF), 신한 새싹 만화 대상, 운평 만화 공모전 등 우리 만화의 위상을 드높이고 우수 신인 작가를 발국하기 위한 노력이 대대적으로 전개되었다.
1996년에는 정부가 '만화산업 육성 발전 방안' 등의 적극적인 지원책을 발표하였다. 또 다른 특징은 공주 국립 전문대를 위시한 전국의 10여개 대학에서 만화, 애니메이션 관련학과를 개설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만화가 한국사회의 '문화학문 영역'으로 정착됐음을 의미하는 일대 쾌거였다.
21세기 ▒ 우리 만화의 현재와 미래 ▒
21세기 우리 만화는 독자층의 세분화와 그에 걸맞는 특화된 장르만화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한국 대중 문화계를 선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출판 만화를 극간으로 한 게임, 영화 등 인근 대중 문화영역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대중 문화산업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만화계는 사이버 공간에 만화문화를 접목시키는 실험이 이어지고 있다. 1999년 말 부터 만화를 컨텐츠(Contents) 로 한 인터넷 서비스 포탈 사이트가 늘어나는 등 만화 산업 대국이라 일컬어지는 미국과 일본을 앞지르고 있다.
디지털 만화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클럽와우(Club Wow)」, 「코믹스 투데이(Comics Today)」, 「N4」, 「아이코믹스(Icomics)」, 「코믹 플러스(Comicplus)」등의 사이트에서 사이버 만화 유통을 실험하고 있다. 한국 만화의 미래, 새로운 '만화 수요층'을 창출하는 적극적인 자세와 만화인들의 올곧은 창작혼, 그것이 결합될 때라야만 밝은 미래을 기대할 수 있다.
※ 「한국만화 연대기」의 내용은 「부천 만화 박물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5.09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