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리더십이론 총망라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적 리더십이론 총망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통적 이론에 대한 새로운 조명
1.리더특성의 재발견
(1)리더 특성과 조직성과의 상관관계
(2)신체적 특질과 리더십.
2.리더 행동의 재발견
(1)리더의 발전 지향적 행동
(2)리더-부하 교환이론
(3)자기희생적 리더십
3.부하의 중요성의 재발견
(1)리더십 귀인이론

Ⅱ.리더십의 중요성 및 리더십이론의 발전과정

Ⅲ. 새로운 리더십이론의 등장
1.리더쉽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 of leadership)
2. 카리스마 리더십 이론(charismatic leadership theory)
3.변혁적 리더십 이론(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4. LMX 이론
5. 리더십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 of leadership)

Ⅳ.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수퍼 리더십 (super leadership)
2. 임파워링 리더십
3. 지식 창조형 리더십
4.팔로어십
5. 멘토링
6. 서번트 리더십
7. 팀 리더십
8. 여성의 리더십

Ⅳ.한국의 새로운 리더십 이론
1. 이슈리더십
2. 자기 희생적 리더십
-21세기 리더십-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더십에서는 이슈 리더는 어떤 누구나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슈 리더는 이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람이나, 이슈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 이슈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슈의 개념이다. 이슈란 리더와 오디언스와의 관계를 엮는 모든 것들이다. 즉, 이슈란 일상적인 일, 업무, 해결해야할 문제, 달성해야할 목표, 그리고 전략적 과제 등 아주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슈 리더는 크게 3차원의 행동을 보여준다고 제시하고 있다. 올바른 이슈의 창안, 이슈에 대한 오디언스의 몰입확보, 그리고 강력한 실천 시스템의 구축의 세 가지 차원을 자세히 알아보자. 이슈 창안이란 리더가 이슈를 제시하여 앞으로 이끌어 나아가려는 시도이므로 이슈 Pull이라고 부르고, 오디언스들을 이슈 추진에 동참과 몰입시키는 노력의 과정은 오디언스 Push로 명하며, 효과적인 실천을 위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은 시스템 Power라고 칭하였다. 성공적인 이슈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 세 요소를 다 충족시켜야 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슈 리더십 = 이슈 Pull × 오디언스 Push × 시스템 Power>
2. 자기 희생적 리더십
자기 희생적(self-sacrificial) 리더십은 홍익대학교의 최연 교수에 의해 1995년에 개발된 이론이다(Choi, 1995). 그는 조직상황에서 자기희생을 정의한 후, 왜 자기희생이 조직상황에서 불가피한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나아가 조직상황에서 자기희생이 불가피 하다면, 조직에서 그 희생의 부담이 어떻게 조직원들 사이에 분배되는가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을 시도하고, 그 부담이 왜 리더에게 전가되는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자기희생을 담당하는 리더의 행위에 대한 조직원들의 반응에 대한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있다(Choi & Mai-Dalton, 1998)
이후 Choi & Mai-Dalton(1998)은 학계에 자기 희생적 리더십의 연구모델을 발표하였는데, 거시적 차원의 리더십은 조직변화의 제도적 메커니즘으로 보았으며, 미시적 차원의 리더십은 부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부하의 인지, 태도,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보았다. 이 모델의 특징은 조직설계의 불안전성(IOD: incompleteness of organizational design)에서 출발한다. 어느 조직이든 완벽히 움직이는 조직을 설계할 수 없고 조직은 불안정하게 설계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조직설계의 불안전성은 조직변화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조직변화 과정은 리더십의 개입을 필요로 하게 된다. 리더십의 기능을 조직설계에 의한 공식적인 조직변화를 넘어서 추가적인 조직변화로 본 것이다.
한편 조직 불안전성(IOD)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이를 흡수하기도 하고 기피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조직 불안정성이 개인이 흡수하기에 너무 크다고 느끼거나, 조직 불안정의 흡수가 조직 유효성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구성원들은 불안전성을 흡수할 동기가 급격히 감소하여 흡수기피행위를 보인다. 따라서 조직불안전성이 클수록 리더십의 개입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되고, 이 때 리더가 자기희생을 통해 자신이 기대하는 행위수준을 제시하는 동시에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행위를 하여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추종자들이 이제까지 소극적이고 기회주의적인 태도와 행동을 포기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된다. 이러한 리더의 자기 희생적 행동은 부하에게 강한 메시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사와 부하간에 호혜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Choi & Mai-Dalton(1998)은 리더십 범주 내의 자기 희생을 세 가지 차원에서 정의하고 있다. 첫째, 업무분장(division of labor) 상의 자기희생은 다른 업무에 비해 위험하거나 힘들거나 또는 기피되는 업무, 역할, 순번 등을 자청할 때 발생되는 희생이다. 둘째, 보상분배(distribution of rewards) 상의 자기희생은 자기에게 정당하게 분배되어야 할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등의 희생이며, 셋째, 권한행사(exercise of power) 상의 자기희생은 자기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과 권한 등의 사용을 자제하거나 포기할 때 발생하는 희생이다. 이들은 자기 희생적 리더십을 이러한 3가지 차원의 희생을 포괄한 개념으로 보고 있고 있으며, 리더는 자기 희생적 행위를 통하여 구성원의 인지, 정서,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자기 희생적 리더십을 어느 한 순간에 커다란 희생을 보여주는 급진적 스타일과 오랜 기간에 걸쳐 꾸준히 희생적 행위를 보여주는 점진적 스타일로 구분하여, 급진적 스타일은 조직이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발생하기 쉽고, 점진적 스타일은 오랜 기간에 걸쳐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게 되는 특성을 띠게 된다고 하였다.
-21세기 리더십-
오케스트라와 같이 화합하고 조정능력을 발휘하는 리더십
대중으로부터 신뢰받고 조경받는 권위있는 리더십
미래 비젼과 모든 사물을 볼때 문제의식을 갖고 섬세하게 성찰하는 리더십
판단력과 추진력을 갖춘 리더십
새로운 발상력과 도전정신을 가진 리더십
건강한 리더십을 가진 사람만이 매사에 많은 문제를 해결 추진
참고문헌
강신규,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2003, p497~p560.
김석회, 조직행동관리론, 무역경영사, 2006, P261~328.
이상호, 경영학계의 주요 리더십이론 및 국내 연구동향, 한국 인사관리 학회, 2001, p1~p40.
정순진, 경영학연습(5판), 조이에듀넷, 2004,p605~p630.
민경호김동조(2001), 리더십유형과 셀프에피커시, 집단에피커시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01년 6월 대한경영학회 발표논문집.
박경규이인석(2000), 기업의 세계화에 따른 경영관리상의 새로운 패러다임, 인사관리연구(한국인사관리학회), 24(1), 59~85.
박내회(1990), 현대리더쉽론: 이론과 기법, 법문사, 서울.
박원우(1997), 임파워먼트; 개념정립 및 실천방법 모색, 『경영학연구』(한국경영학회), 26(1), 115~138.
  • 가격3,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5.1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