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감독소개

2. 캐릭터 소개

3. 용어 정리

4. 매트릭스 세계관

5. 오라클

6. 시온의 의미

7. 매트릭스의 특수효과

8. 매트릭스 속 기계와 인간의 관계

9. 매트릭스의 모체가 된 작품

10. 매트릭스와 애니 매트릭스

본문내용

나 무협 영화 같은 무술이 나오는 장면을 주로 볼 수 있는데, 그 이유가 매트릭스를 만든 워쇼스키형제가 일본 애니메이션과 홍콩영화를 즐겨 보는 팬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매트릭스의 세계관과 제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공각기동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만약 공각기동대를 본 사람이라면 매트릭스를 봤을 때 유사하게 보이는 설정이나 장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오프닝화면에서 나오는 검은 바탕에 녹색 글씨가 화면을 덮는 장면이나 목 뒤에 코드를 꽃아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면등은 매트릭스가 공각기동대에서 모티브를 따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각기동대의 배경은 중앙 컴퓨터와 개인의 전자 두뇌(전뇌 : 電腦)를 연결하는 정보망 속에서 개인의 내밀한 기억마저 조작 가능한 사회이다. 양면의 칼처럼 다른 정보들을 손쉽고 빠르게 알 수 있지만 자신의 기억이 해킹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어떻게보면 매트릭스에서 모피어스가 네오에게 무술과 조종술 같은 기술을 알려줄 때 프로그램 파일을 인스톨하는 것도 기억을 조작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매트릭스에서의 사람들의 뇌 역시 전뇌화되어있는것과 다름없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공각기동대에서 주목해서 봐야할 인물이 세명 있는데 주인공인 쿠사나기소령과 프로그램 인형사, 그리고 인형사에게 해킹당한 청소부이다.
공각기동대의 주인공 쿠사나기 소령은 뇌와 척추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신이 기계 몸체로 이루어진 사이보그다. 컴퓨터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최첨단 디스토피아 세계를 배경으로 의학과 과학의 수준이 절정에 달해 훼손된 육체는 무제한으로 복구되어 기계 몸체로 대체되는 시대에 인간의 실존으로 존재하는 것은 영혼뿐이고, 그 '영혼(Ghost)의 집(Shell)'으로서 뇌의 보존이 더없이 중요시된다. 쿠사나기 소령의 '공각기동대'는 고스트 해킹을 척결하는 것이 주임무인 특수부대다.
그런 상황에서 '고스트'를 마음대로 해킹하는 '인형사'라는 희대의 해커가 등장한다. 인형사란 '인형을 조종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뇌 속의 고스트를 해킹하고 엉뚱한 기억을 입력시켜, 인간을 자신의 뜻대로 인형처럼 조종하는 해커다.
인형사는 '공안6과'에서 공작을 위해 개발한 '인공지능' 수준의 해킹 전문 프로그램이었지만. 초능력에 가까운 인형사의 네트워킹 능력은 곧 공안6부의 통제를 벗어나 자율적 프로그램으로 진화한다. 위기를 느낀 공안6부는 인형사 제거에 나서고, 이를 감지한 인형사는 100% 기계 몸체인 사이보그의 외형을 빌려 공안9과에 망명을 신청한다. 인형사는 스스로 자신이 정보의 바다에서 탄생한 생명체라고 주장하며 독자적인 생명체로서 인정해주길 바란다.
한편, 인형사가 해킹한 독신 홀아비인 청소부는 인형사가 입력한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가출한 아내와 딸을 찾아 인형사의 해킹 행위를 대행하다가 체포된다. 청소부의 뇌리에
각인된 기억은 허상으로 그에게는 아내도 딸도 없다. 육체는 100% 인간이지만, 청소부는 허상과 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이 작품의 영문제목에 영혼(ghost)라는 단어가 들어간 이유는 이 작품이 인간의 자아란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인 주제를 다뤘기 때문이다. 육신이 온전하지만 이미 자아를 상실한 청소부와 육체가 없고 인공적인 자아만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 인형사, 뇌와 척추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사이보그로 이루어진 쿠사나기 소령중 정말 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일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쿠사나기 소령이 '나'라는 존재에 대한 고민에 빠져있는 것처럼 네오도 스스로가 누구인지의 의문에 빠져있다. 네오가 오라클을 처음 만났을 때 방 입구의 문구 '너 자신을 알라'처럼 나 자신을 알기 위한 방법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의심을 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기계가 난무하고 현실과 네트워크와의 벽이 허물어져 무엇이 진실인지 알 수 없는 시대, 내가 느끼는 이 감정이 진짜인지, 아니면 프로그램 되어있는 가상현실에서의 감각인지조차 구분할 수 없는 시대가 바로 매트릭스와 공각기동대의 사회이다.
매트릭스와 애니 매트릭스
* 매트릭스의 설정과 내용을 토대로 만들어진 9개의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이루어짐.
* 각각의 작품마다 다른 감독의 기획과 지시 하에 제작됨.
Episode 1 : 오시리스 최후의 비행
각본 / 앤디 & 래리 워쇼스키 감독 / 앤디 존스
1. 매트릭스 3부작중 1.5부 정도에 해당하는 중간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에피소드.
2. 센티널의 시온 공격을 알아챈 오시리스의 승모원이 매트릭스를 통해 시온에 이를 알리는 내용.
3. 100% 컴퓨터그래픽으로 제작
Episode 2, 3 : 두 번째 르네상스 1, 2편
각본 / 앤디 & 래리 워쇼스키 감독 / 마에다 마히로
1. 매트릭스의 기원
2. 매트릭스 3연작 전체의 배경 스토리를 제공
3. 성경이나 유태인 학살등, 인간의 역사의 여러부분을 패러디
(01)
오프닝신. 중태팔엽원과 흡사하다
(02)
중태팔엽원. 자비와 생명의 근원을 상징한다.
(03)
로봇들이 인간의 명령에 따라 일하는 모습. 뒤로 보이는 흰 건물에 주목
(04)
문제의 건물. 피라미드와 흡사한 형태를 가졌다.
(05)
피라미드의 이미지를 패러디함으로써 기계가 인간의 "노예"임을 부각하고 있다.
(06)
(07)
주인에게 맞서 주인을 죽인 하인 안드로이드 B1-66ER 재판장면
B1-66ER이란 이름은 미국 흑인 문학 소설 native son 의 주인공 BIGGER에서 따온것.
(08)
죽어나간 로봇시체들이 무더기로 구덩이 속에 버려진다.
(09)
유태인 대 학살의 한 장면.
Episode 4 : 꼬마 이야기
각본 / 앤디 & 래리 워쇼스키 감독 / 와타나베 신이치로
1. 한 소년이 매트릭스의 세계를 자각하고 탈출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2. 리로디드에 나오는 The Kid의 뒷 이야기
Episode 5 : 프로그램
각본, 감독 / 카와지리 요시아키
Episode 6 : 세계 기록
각본 / 카와지리 요시아키 감독 / 고이케 다케시
Episode 7 : 비욘드
각본, 감독 / 모리모토 코우지
Episode 8 : 추리 소설
각본, 감독 / 와타나베 신이치로
Episode 9 : 허가
각본, 감독 / 피터 정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05.14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