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문제를 고려한 한국의 환경안보 문제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사문제를 고려한 한국의 환경안보 문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환경안보 개념과 연구 범위
1. 환경안보 개념
2. 연구범위: 월경성(越境性) 환경 문제

Ⅲ. 월경성 환경문제와 사회·경제적 비용
1. 중국의 황사
2. 북한의 금강산댐

Ⅳ. 한국의 환경(안보) 정책 현황

Ⅴ. 비교사례 분석
1. 유럽의 산성비 레짐
2. 요르단강과 갠지스강 문제

Ⅵ. 결론: 한국적 맥락의 환경안보 함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 경로를 밝혀내고, 더불어 오염 유발국 내부에도 환경 피해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유발국 내부에서 정부·비정부 차원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황사는 이미 발원지나 이동 경로에 대해서는 관련 국가들 간에 공통된 인식이 도출되어 있다. 문제는 황사 유발국인 중국이 국내적 차원의 피해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황사가 중국 국내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의 정도를 한·중·일 3국이 협력하여 과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그 심각성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에게 주지시키게 되면, 중국 내부에서 보다 더 적극적이고 실효성이 높은 제도적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금강산댐으로 인해 한국이 감당하고 있는 손실은 안보적 위협과 경제적 피해라고 할 수 있다. 안보적 위협에 대한 대책은 2005년 10월에 완공된 평화의 댐으로 수공(水攻)의 개연성에 대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경제적 피해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것이 사실이다. 남북 경추위에서 논의된 사항은 장마나 집중 호우 시에 하류 지역의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금강산댐의 방류 정보를 사전에 남측에 통보한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갠지스강을 둘러싸고 발생했던 분쟁을 국제법상의 보편 원칙인 기득수리권에 의해 해결했던 사례는 한국에 유의미 하다. 기득수리권이나 대북 경협 등과 연계하여 금강산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문제를 남북 경추위와 같은 제도적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광규 외. 2004. 『동북아지역의 황사 피해 분석 및 피해 저감을 위한 지역 협력방안』. 한국 환경정책 평가연구원.
김광현. 2004. “북 금강산댐 작년 말 준공,” 동아일보(www.donga.com/news/print.php?n=20040460455)
김구섭 외. 2002.『금강산댐의 안보적 영향 평가 및 대응 방향』. 한국 국방연구원.
소병천. 2003 “황사현상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중앙법학』.
신영철. 2005. “황사로 인한 피해비용 추정,” 『자원·환경 경제연구』 14권 3호.
신의순. 2005. 『한국의 환경정책과 지속가능한 발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정상률. 1998. “지구적 환경문제에 대한 환경안보적 시각: 환경안보 담론(주권, 공동재)을 중심으로,” 『98 한국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 논문집』.
정서용a. 2005. 『동북아시아 환경협력: 황해와 황사』. 집문당.
――――b. 2005. “환경안보 개념의 대두와 국제법의 대응,” 『환경법 연구』.
정준금 외. 1999. 『동북아 환경문제와 지역 환경협력의 모색』. 집문당.
천정웅. 1995. 『지구 환경레짐의 정치경제학: 환경정치의 쟁점과 환경레짐의 발전』. 한울 아카데미.
최병두. 2004. “국제 환경안보와 동북아 국가들의 한계,” 『대한지리학회지』 39권 6호.
황재성. 2005. “평화의 댐 19일 준공: 애물단지서 국내 3대 댐으로” 동아일보(www.donga.com/news/print.php?n=200510140111)
홍용표. 2002.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한반도 안보환경의 재조명,” 『한국정치학회보』.
홍종호. 2004. “황사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경제적 피해 추정,” 『경제연구』 25권 1호.
현인택·김성한 외. 2005. 『동아시아 환경안보』. 오름.
Barnett, Jon, 2001.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Security: Ecological Politics and Policy in the New Security Era. Zed Books.
Carius, Alexander and Lietzmann, Kurt M., 1999. Environmental Change and Security: A European Perspective. Springer.
Dalby, Simon, 2002. Environmental Securit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Dodds, Felix and Pippard, Tim.(eds.), 2005. Human and Environmental Security. Stylus Pub.
Kiser, Stephen D., 2002. “Water: The Hydraulic Parameter of Conflict in the Jordan River Basin,” Manwaring, Max G. and Gaffney, Paul G.,(eds.), Environmental Security and Global Stability. Rowan and Littlefield Pub Inc., pp.133-163.
Mandel, Robert, 1994. The Changing Face of National Security: A Conceptual Analysis. 권재상 역, 2002. 『국가안보의 변모: 개념적 분석』. 간디서원.
Manwaring, Max G. and Gaffney, Paul G.,(eds.), 2003. Environmental Security and Global Stability. Rowan and Littlefield Pub Inc.
Pirages, Dennis and Cousins, Ken(eds.), 2005. From Resource to Ecological Security. Mit Press.
Ronnfeldt, Carsten F., 1997. “Three Generations of Environment and Security Research,” Journal of Peace Research, Vol.34, No.4. Aug.
Soroos, Marvin S., 1994. “Global Change, Environmental Security, and the Prisoner's Dilemma,” Journal of Peace Research, Vol.31, No.3. Aug.
Thakur, Ramesh and Newman, Edward(eds.), 2004. Broadening Asia's Security Discourse and Agenda. Brookings Institution Press.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5.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