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본문내용
rthur Cecil Pigou; 1887~1959)
피구는 후생의 문제를 공리주의 전통에 따라서 생각하였다. 경제정책의 목표는 사회전체의 복지, 곧 후생의 총합을 극대화하는 데 있으며 이것은 개개인이 누리는 효용의 총합과 같다는 것이다. 그 유명한 명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기준으로 생각해볼 때 이 후생의 총합을 늘리는 것이 좋은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효용의 총합을 극대화할 것인가? 피구는 효용은 측정 가능하다고 믿고 있었지만, 이를 제대로 계산해 내는 일은 너무나 어렵기 때문에 그 대신 총 효용을 나타내는 지표를 극대화하는 것을 생각해 냈다.
i. 총 후생 중 <화폐라는 측정 척도에 관련시킬 수 있는 부분>을 특히 <경제적 후생>이라 고 정의하였다
ii. 총 후생은 경제적 후생과 거의 같으므로 경제적 후생에 한정하여 생각하였다.
iii. 경제적 후생을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국민분배분(=국민소득)이다.
iv. 그러므로 국민분배분(=국민소득)을 극대화하는 것이 경제정책의 목표이다.
피구는 이러한 경제정책의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국민 분배분의 최대, 국민 분배분의 균등, 국민 분배분의 안정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이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질 때 국민소득이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피구는 국민분배분을 최대화하는 것이 동시에 사회성원의 만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하였다.
② 힉스 (John Richard Hicks; 1904~1989)
근대경제학에 있어서 힉스의 지위가 크게 높아진 것은 왈라스에서 시작된 일반균형이론을 그가 완성하였기 때문이다. 한계효용이라는 불가측의 인간심리에 결합된 경제개념을 이론체계에서 제거하여 정밀한 경험과학으로 경제학을 수립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파레토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그것은 불완전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힉스는 효용이라고 하는 계산할 수 없는 개념을 경제이론에서 추출하여 그 대신에 한계대체율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그것을 기초로 정밀한 이론체계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힉스경제학은 근대경제학에 있어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 비주류 경제학의 흐름
(1) 역사학파
리스트에 의해 시작하여 로셔, 힐데브란트, 크니스, 슈몰러, 브렌타노를 거치면서 형성된 독일 특유의 경제학파이다. 19세기 초에 독일은 아직 봉건적 농업국가인데다가 예나전투에서 프랑스에 패배함으로써 치욕과 고통 속에서 신음하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패배의식을 씻고 국민적 긍지와 이상을 갖기 위해서 낭만주의에 젖어있었다. 그들은 아름답고 평화로운 목가적 세계를 추구하였으며, 이것이 경제학을 포함한 사회과학에까지도 영향을 끼쳤다.
그 당시에는 고전학파의 이론을 정밀하게 체계화시킨 리카도의 이론이 유럽을 풍미하였으며 이것의 독일에 적용가능성 여부가 최대의 관심사가 되었다. 그리고 영국의 정치경제에 새로운 바람으로 일으켰던 벤덤의 공리주의가 독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공리주의는 뉴턴이 통일적 인식의 틀로써 자연현상을 설명한 것처럼 경제현상을 체계화 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벤덤의 이론은 인간이 이기주의적이라는 대전제와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각자가 노력하면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 주장으로 인력의 법칙과 같은 단순한 사회과학의 이론체계를 세울 수 있다는 매력점이 있으므로 사회과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것이 비인간적이며 몰가치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하였지만, 일단은 공리주의가 널리 유럽전역에 받아들여지던 시대였다.
또한 혁신적이고 과격한 개혁사상인 프랑스혁명이 일어나서 독일은 이것이 받아들여졌고 통일국가의 염원이 점차 열기를 띠우기 시작하면서 경제적 측면에서는 영국의 발전과정을 분석한 결과 자유방임주의적 풍토 속에서 기업가가 마음껏 활동할 수 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경제가 발전할 수 있음을 인식함으로써 경제적 자립을 갈구하게 되었다.
역사학파는 후진상태에서 독일의 산업을 근대화하는 작업에 정신적 이론적 뒷받침을 했으며, 산업혁명의 완성에 부수된 사회문제 및 노동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헌하였고, 특히 독일을 장기적으로 지배한 비스마르크 통치의 이론적 지주가 되었다. 그러나 1870년에서 1880년을 전기로 하여 독일이 급속히 독점자본주의로 이행하게 되자 강력한 대외정책과 국내산업의 안정이 요구되었고, 국내시장의 통일과 국민국가의 형성에 주력하였던 비스마르크의 통치방법에 대한 비판이 뒤따르게 되어 비스마르크는 실각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역사학파는 그 정치사회적 지지기반을 상실하게 되었다.
(2)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학파
고전학파 경제학을 비판 계승하면서 현대에 이르는 경제학 발전에 있어서 또 하나의 커다란 조류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마르크스의 ‘자본론(Das Kapital)’으로부터 시작된 마르크스 경제학이다. 마르크스 경제학파는 역사학파나 고전학파와는 달리 고전학파 경제학의 이론적 성과를 내면적으로 계승하면서 역사를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관점에서 새로운 사회과학으로서의 경제학을 전개하였다. 프랑스 혁명의 와중에 나타난 초기사회주의는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경제적 구조를 충분히 해명하지 못한 채 노동자의 곤궁을 구제하기 위한 이상적 공동사회를 그리면서 사회상층부를 계몽하거나 가부장적 농민사회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공상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공상적 사회주의에 대해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경제의 운동법칙을 해명한 소위 과학적 사회주의의 길을 열었다.
①마르크스의 특징
ⓐ 경제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연구영역과 방법론이 포괄적이며 거시적이었다.
ⓑ 경제이론들을 집대성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독자적 비전을 가지고 체계화함으로써 경제 이론이 하나의 유기체로서 생명력을 지니게 하였다.
ⓒ 경제과학이 도덕철학으로서 주관적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 문에 철학적 차원에서 가치론적으로 다루었다.
ⓓ 그는 철학, 역사, 생물학, 지리학, 정치학 등 박학다식한 인물이었다.
ⓔ 사회집단의 행위와 관습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려고 하였다.
②마르크스의 주요 경제이론
ⓐ 노동가치설
자본주의사회에서 부는 상품의 집적량으로 표현되며, 개개의 상품은 부의 집
피구는 후생의 문제를 공리주의 전통에 따라서 생각하였다. 경제정책의 목표는 사회전체의 복지, 곧 후생의 총합을 극대화하는 데 있으며 이것은 개개인이 누리는 효용의 총합과 같다는 것이다. 그 유명한 명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기준으로 생각해볼 때 이 후생의 총합을 늘리는 것이 좋은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효용의 총합을 극대화할 것인가? 피구는 효용은 측정 가능하다고 믿고 있었지만, 이를 제대로 계산해 내는 일은 너무나 어렵기 때문에 그 대신 총 효용을 나타내는 지표를 극대화하는 것을 생각해 냈다.
i. 총 후생 중 <화폐라는 측정 척도에 관련시킬 수 있는 부분>을 특히 <경제적 후생>이라 고 정의하였다
ii. 총 후생은 경제적 후생과 거의 같으므로 경제적 후생에 한정하여 생각하였다.
iii. 경제적 후생을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국민분배분(=국민소득)이다.
iv. 그러므로 국민분배분(=국민소득)을 극대화하는 것이 경제정책의 목표이다.
피구는 이러한 경제정책의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국민 분배분의 최대, 국민 분배분의 균등, 국민 분배분의 안정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이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질 때 국민소득이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피구는 국민분배분을 최대화하는 것이 동시에 사회성원의 만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하였다.
② 힉스 (John Richard Hicks; 1904~1989)
근대경제학에 있어서 힉스의 지위가 크게 높아진 것은 왈라스에서 시작된 일반균형이론을 그가 완성하였기 때문이다. 한계효용이라는 불가측의 인간심리에 결합된 경제개념을 이론체계에서 제거하여 정밀한 경험과학으로 경제학을 수립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파레토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그것은 불완전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힉스는 효용이라고 하는 계산할 수 없는 개념을 경제이론에서 추출하여 그 대신에 한계대체율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그것을 기초로 정밀한 이론체계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힉스경제학은 근대경제학에 있어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 비주류 경제학의 흐름
(1) 역사학파
리스트에 의해 시작하여 로셔, 힐데브란트, 크니스, 슈몰러, 브렌타노를 거치면서 형성된 독일 특유의 경제학파이다. 19세기 초에 독일은 아직 봉건적 농업국가인데다가 예나전투에서 프랑스에 패배함으로써 치욕과 고통 속에서 신음하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패배의식을 씻고 국민적 긍지와 이상을 갖기 위해서 낭만주의에 젖어있었다. 그들은 아름답고 평화로운 목가적 세계를 추구하였으며, 이것이 경제학을 포함한 사회과학에까지도 영향을 끼쳤다.
그 당시에는 고전학파의 이론을 정밀하게 체계화시킨 리카도의 이론이 유럽을 풍미하였으며 이것의 독일에 적용가능성 여부가 최대의 관심사가 되었다. 그리고 영국의 정치경제에 새로운 바람으로 일으켰던 벤덤의 공리주의가 독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공리주의는 뉴턴이 통일적 인식의 틀로써 자연현상을 설명한 것처럼 경제현상을 체계화 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벤덤의 이론은 인간이 이기주의적이라는 대전제와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각자가 노력하면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 주장으로 인력의 법칙과 같은 단순한 사회과학의 이론체계를 세울 수 있다는 매력점이 있으므로 사회과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것이 비인간적이며 몰가치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하였지만, 일단은 공리주의가 널리 유럽전역에 받아들여지던 시대였다.
또한 혁신적이고 과격한 개혁사상인 프랑스혁명이 일어나서 독일은 이것이 받아들여졌고 통일국가의 염원이 점차 열기를 띠우기 시작하면서 경제적 측면에서는 영국의 발전과정을 분석한 결과 자유방임주의적 풍토 속에서 기업가가 마음껏 활동할 수 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경제가 발전할 수 있음을 인식함으로써 경제적 자립을 갈구하게 되었다.
역사학파는 후진상태에서 독일의 산업을 근대화하는 작업에 정신적 이론적 뒷받침을 했으며, 산업혁명의 완성에 부수된 사회문제 및 노동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헌하였고, 특히 독일을 장기적으로 지배한 비스마르크 통치의 이론적 지주가 되었다. 그러나 1870년에서 1880년을 전기로 하여 독일이 급속히 독점자본주의로 이행하게 되자 강력한 대외정책과 국내산업의 안정이 요구되었고, 국내시장의 통일과 국민국가의 형성에 주력하였던 비스마르크의 통치방법에 대한 비판이 뒤따르게 되어 비스마르크는 실각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역사학파는 그 정치사회적 지지기반을 상실하게 되었다.
(2)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학파
고전학파 경제학을 비판 계승하면서 현대에 이르는 경제학 발전에 있어서 또 하나의 커다란 조류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마르크스의 ‘자본론(Das Kapital)’으로부터 시작된 마르크스 경제학이다. 마르크스 경제학파는 역사학파나 고전학파와는 달리 고전학파 경제학의 이론적 성과를 내면적으로 계승하면서 역사를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관점에서 새로운 사회과학으로서의 경제학을 전개하였다. 프랑스 혁명의 와중에 나타난 초기사회주의는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경제적 구조를 충분히 해명하지 못한 채 노동자의 곤궁을 구제하기 위한 이상적 공동사회를 그리면서 사회상층부를 계몽하거나 가부장적 농민사회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공상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공상적 사회주의에 대해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경제의 운동법칙을 해명한 소위 과학적 사회주의의 길을 열었다.
①마르크스의 특징
ⓐ 경제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연구영역과 방법론이 포괄적이며 거시적이었다.
ⓑ 경제이론들을 집대성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독자적 비전을 가지고 체계화함으로써 경제 이론이 하나의 유기체로서 생명력을 지니게 하였다.
ⓒ 경제과학이 도덕철학으로서 주관적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 문에 철학적 차원에서 가치론적으로 다루었다.
ⓓ 그는 철학, 역사, 생물학, 지리학, 정치학 등 박학다식한 인물이었다.
ⓔ 사회집단의 행위와 관습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려고 하였다.
②마르크스의 주요 경제이론
ⓐ 노동가치설
자본주의사회에서 부는 상품의 집적량으로 표현되며, 개개의 상품은 부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