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속도론-아세톤의 브롬화 반응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응속도론-아세톤의 브롬화 반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 실험 결과 및 분석

7. 토의사항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액)
시간
흡광도
몰농도
220
0.3
0.002506265
460
0.12
0.001002506
0
0.47
0.003926482
240
0.29
0.002422723
480
0.105
0.000877192
20
0.46
0.00384294
260
0.27
0.002255639
500
0.09
0.000751879
40
0.45
0.003759398
280
0.26
0.002172096
520
0.07
0.000584795
60
0.44
0.003675856
300
0.24
0.002005012
540
0.06
0.000501253
80
0.42
0.003508771
320
0.23
0.00192147
560
0.04
0.000334168
100
0.4
0.003341687
340
0.21
0.001754385
580
0.025
0.000208855
120
0.385
0.003216374
360
0.2
0.001670843
600
0.01
0.000083542
140
0.37
0.00309106
380
0.18
0.001503759
610
0
0
160
0.35
0.002923976
400
0.165
0.001378446
180
0.34
0.002840434
420
0.15
0.001253132
200
0.32
0.00267335
440
0.135
0.001127819
시간
흡광도
몰농도
30
0.14
0.00116959
70
0.04
0.000334168
0
0.2
0.001670843
40
0.11
0.000918964
80
0.01
0.000083542
10
0.18
0.001503759
50
0.08
0.000668337
85
0
0
20
0.16
0.001336675
60
0.06
0.000501253
12) 40℃ (4번 용액)
실험 값 계산하기
① 반응 차수 구하기
1) 30℃에서
(1) 1번 용액, 2번 용액
(-4.33766×10-6)/(-1.01096×10-5)=K[0.004]x[0.4]y[0.2]z/K[0.004]x[0.8]y[0.2]z
y = 1.22074
(2) 1번 용액, 3번 용액
(-5.68576×10-6)/(-1.01096×10-5)=K[0.004]x[0.8]y[0.1]z/K[0.004]x[0.8]y[0.2]z
z = 0.83030
(3) 1번 용액, 4번 용액
(-8.31261×10-6)/(-1.01096×10-5)=K[0.002]x[0.8]y[0.2]z/K[0.004]x[0.8]y[0.2]z
x = 0.28235
2) 35℃에서
(1) 1번 용액, 2번 용액
(-5.44857×10-6)/(-1.16912×10-5)=K[0.004]x[0.4]y[0.2]z/K[0.004]x[0.8]y[0.2]z
y = 1.10148
(2) 1번 용액, 3번 용액
(-5.59863×10-6)/(-1.16912×10-5)=K[0.004]x[0.8]y[0.1]z/K[0.004]x[0.8]y[0.2]z
z = 1.06228
(3) 1번 용액, 4번 용액
(-1.68158×10-5)/(-1.16912×10-5)=K[0.002]x[0.8]y[0.2]z/K[0.004]x[0.8]y[0.2]z
x = -0.5244
3) 40℃에서
(1) 1번 용액, 2번 용액
(-6.00401×10-6)/(-1.91196×10-5)=K[0.004]x[0.4]y[0.2]z/K[0.004]x[0.8]y[0.2]z
y = 1.67106
(2) 1번 용액, 3번 용액
(-6.52019×10-6)/(-1.91196×10-5)=K[0.004]x[0.8]y[0.1]z/K[0.004]x[0.8]y[0.2]z
z = 1.55207
(3) 1번 용액, 4번 용액
(-2.01099×10-6)/(-1.91196×10-5)=K[0.002]x[0.8]y[0.2]z/K[0.004]x[0.8]y[0.2]z
x = -0.2791
② 반응차수 대입하여 K값 구하기
30℃ → -2.40133×10-4
35℃ → 4.567×10-6
40℃ → 7.2280×10-5
온도
30℃
35℃
40℃
1/T
0.00329
0.00325
0.00319
lnK
8.3343
-12.2966
-9.535
위에 Arrhenius 식에 자연대수를 취한 식에 대입해보면
기울기 = -Ea/R
-(160951.97368 × 8.314) = Ea
-1333166.309 = Ea 가 된다.
토의사항
이번 우리 조에서 실행한 실험은 아세톤의 브롬화반응의 반응속도식과 속도상수를 결정하는 실험이다.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를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여러 온도에서 얻은 반응 속도를 써서 계산였는데 그 정확한 이론치가 없어서 비교하지는 못하였다.
우리가 실험을 하면서 오차를 낸 가장 큰 이유는 휘발성의 아세톤을 오래 방치해둔결과 그 성분이 날아가 브롬과 잘 반응하지 못했다. 또한 그 두 번째 이유는 2ml 피펫을 사용하는 법을 잘 몰라 눈금을 잘 못읽는데 있었다. 피펫의 사용이 잘못되어 아세톤과 촉매작용을 하는 HCl이 과량들어가 반응이 빨리 일어나기도 했다.
브롬수는 아세톤과 반응하는 초기에 유독가스가 일어나는데 그때 일어나는 가스로 인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브롬증기는 매우 독성이 강하므로 제조된 브롬용액은 마개를 잘 닫고 가급적이면 증기가새어나오지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실험도중 브롬 용액이 피부에 묻었을 경우 즉시 에탄올 용액 (약 65%)로 씻은 후 글리세린을 발라서 피부에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이번실험에서는 황산, 염산, 아세톤, 그리고 브롬등 휘발성이나 유독한 물질이 많으므로 꼭 후드안에서 용액을 제조하거나 덜어내어야한다.
이 실험을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점은 용액의 농도를 맞추는것과 소숫점 3째자리까지 측정되는 용액의 부피를 덜어내기에는 피펫에 한 개점이 있다는 것이 었다. 그때 가장 오차도 많이 발생하였고, 오차를 줄이기위해 좀더 정확한 계산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 같다.
참고문헌
▶ 탐구당   물리화학
▶ 탐구당 화학의 원리
▶ 진영사   일반화학
▶ 자유아카데미   물리화학실험
▶ 탐구당   물리화학실험 (박영자 외 2명)
▶ 인터넷 백과사전 자료.
  • 가격2,9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6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