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공학 설계(연속흐름반응기 series PFR)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39
328.00
18.409048
0.948478
328.00
18.409048
0.948478
338.00
8.13271068
0.890503
348.00
3.76556277
0.790161
358.00
1.82014642
0.645408
368.00
0.91525404
0.477876
378.00
0.47728089
0.323081
388.00
0.25738433
0.204698
398.00
0.14317498
0.125243
408.00
0.08196684
0.075757
418.00
0.04819468
0.045979
위의 결과에 따르면 설계의 조건에서
라 하였으므로
정리하면 330.27K의 이하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단열의 PFR에서 전환율이 90%이상의 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하지만 이번 설계에서 열교환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PFR이 두 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PFR과 PFR사이에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장치가 있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설계된 반응기에서 첫 번째의 PFR은 Tmax인 373K의 최대 반응속도까지 올린후 냉각을 거쳐 최종의 전환율로 다시 단열 공정을 거치는 과정이 될 것이다.
먼저 한계온도인 373K에서 반응속도를 찾는다.
예제 9-3에 의해
즉, 100℃에서 k1,k2은 각각 4.1850과 7.2353이 나오며
이때의 반응속도식을 쓰면
이 된다. 하지만 초기조건이 설계에서는 2mol/l이므로 두배가 되어
가 반응속도식이 된다.
2. XA - T graph 상의 운전과정
3. Optimun Temperature Progression과의 비교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7.0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