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하며, 성인의 장골의 골단, 단골 및 편평골의 해면질내에 있으며, 황골수는 많은 혈관과 세포들을 지니는데 적골수의 조혈작용이 중지되어 주로 지방으로 대치된 상태의 골수로 성인의 장골의 골간에서 볼 수 있다.
전면 (Anterior)
옆면 (Lateral), 후면 (Posterior)
골반 (Pelvic)
특징
여성
남성
구조 및
기능적 변형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어
출산에 알맞다.
진골반은 산도가 되며, 진골반강 은 폭이 넓고 얕으며, 남성보다 더 큰 용량을 갖는다.
여성에 비해 앞으로 덜 기울어져 있으며, 남성의 무거운 체격과 강 한 근육을 지탱하기에 접합.
진골반강은 폭이 더 좁고 깊다.
뼈두께
작고 사이가 넓다.
여성보다 크며 사이가 좁다.
관골구
(acetabula)
상동
상동
치골궁
(치골각)
넓고 둥글다(80~90도)
각이 여성보다 날카롭다(50~60도)
전면그림
천골
넓고 짧으며 천골의 굴곡이
두드러진다.
좁고 길며 천곡감각이 앞으로
나와 있다.
미골
운동성이 있고 곧다.
여성보다 운동성이 적고 전방으로 구부러져있다.
좌외측면
골반입구
남성보다 넓으며 타원형
여성보다 좁으며 심장모양
골반출구
남성보다 넓으며, 좌골결절 사이 길이가 짧고 더 떨어져 있으며 뒤집혀 있다.
여성보다 좁으며, 좌골결절 사이의 길이가 더 길고 날카로우며 중앙으로 향한다.
후하방면
● 골반뼈 (bones of the pelvis) ●
- 골반은 장골, 좌골, 치골의 3개로 형성. 이 뼈들은 관골구에서 만나며, 성장하면서 단단한
하나의 뼈로 골화.
- 골반은 움직임은 거의 없고 척추와 몸통을 지지하는 견고한 기저역할을 한다.
- 여성의 경우 출산을 위해 남자보다 넓고 깔대기 모양을 하고 있다.
● 장골능 (crest of the llium) ●
- 장골능은 고관절 윗부분에서 나타나는 뼈융기로 쉽게 볼 수 있다.
- 전상장극(anterior superior lliac spine) 과 후상장극(posterior superior lliac spine)
두 부분의 끝은 장골능선의 경계선
● 치골결합부 (pubic symphysis) ●
- 두 치골이 결합하는 고관절의 앞쪽 연결부위로 복부의 경계부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 좌골결절 (ischial tbberosity) ●
- 앉아있을 경우 둔부아래에 있는 좌골결절 위에 있는 것이 된다.
손(Hand)
● 손가락(Phalagse or digits) ●
- 지절,지골(phalanx) : 손가락뼈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뼈로 근위, 가운데, 원위로 명명
- 중수골(metacarpals) : 손바닥뼈로 원위 수근골 뿐아니라 손가락을 연결
- 근위수근골(proximal carpal row) :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
- 원위수근골(distal carpal row) : 손바닥뼈와 연결. 대능형골, 소능형골, 유두골, 유구골
- 두상골(pisiform) : 손의 연한 근육조직 중앙부의 소지구 돌기의 기본 점에서 발견
- 유구골(hamate) : 갈고리골이라고도 하고 돌출되어 있어 두상골의 원위와 후방에 위치
- 주상골(scaphoid) : 수근 근위 층 후방에 위치,
엄지손가락을 들어 올릴 때 두개의 건에 의해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
손목관절은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이축성 관절.
움직임은 좌우면과 전후면 안에서 허락.
손목은 손으로부터 요골로 힘을 전달, 골간막을 통해 척골로 힘을 전해준다.
- 수근간관절(intercarpal joint) : 무축성이며 미끄러짐이 일어난다.
- 수근중수 관절(carpometacarpal joint) : 원위 수근골은 다섯개의 중수골과 연결,
수근중수관절을 형성, 손등의 원위에서 쉽게 발견.
- 중수지골 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중수골이 손가락과 만나는 지점으로 단축성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하고는 이축성관절로 나타난다.
- 지절간 관절(interphalangeal joint)
두개의 손가락관절에 의해 형성. 엄지를 제외하고 모두 두개의 손가락 관절을 가진다.
위치에 따라 근위나 원위로 불리며, 단축성이다.
척주(Vertebra)
특징
경추(3~7)
흉추
요추
추체
작지만, 옆으로는 넓다.
횡경이 길다.
경추보다 크며, 심장모양.
두 개의 늑골과 연결되는 면(costal demifacet)이 있다.
크며 콩팥모양
극돌기
짧고 둘로 갈라져 있으며,
후방으로 곧게 퇴어나와 있다.
길고 날카로우며,
하방으로 튀어나와있다.
짧고 뭉툭하며,
상방으로 곧게 튀어 나와 있다.
척추공
삼각형
원형
삼각형
횡돌기
횡돌공이 있다.
늑골과 연결하는 면이 있다.
(T11,T12제외)
특징이 없다.
상,하
관절돌기
상관절면이 후상방을 향한다.
하관절면이 하전방으로 나와있다.
상관절면은 후방을 향하고,
하관절면은 전방을 향한다.
상관절면이 후내측으로 향하며,
하관절면이 전외측으로 향한다.
운동범위
척추의 굴곡과 신전이 가능.
옆으로 굴곡과 회전이 가능.
회전, 일부는 옆으로 굴곡
굴곡과 신전.
일부는 옆으로 굴곡
다리(leg)
- 대전자(greater trochanter)
대전자는 대퇴골의 근위 끝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큰 융기.
파트너의 다리를 안과 밖으로 회전시켜 피부아래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대퇴상과(femoral epicondyles)
무릎을 굽히면 쉽게 볼 수 있으며, 대퇴골 원위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내측과 외측이 있다.
내측상과가 외측보다 뚜렷하게 돌출
- 내전근 결절(adductor tubercle)
내측상과의 위쪽에 위치하는 특별한 구조로 고관절에서 내전을 수행하는 큰 근육의 부착점.
상과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게 돌출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 대퇴의 과(femoral condyles)
대퇴의 과는 둥근 모양으로 경골의 과와 연결되어 무릎관절을 이룬다.
-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
경골전방의 무릎아래 부분으로
고관절과 무릎에서 기능을 하는 대퇴사두근의 원위부착점.
- 비골두(fibular head)
경골조면의 외측에서 볼 수
있다.
- 슬개골(patella)
무릎보호 뼈
전면 (Anterior)
옆면 (Lateral), 후면 (Posterior)
골반 (Pelvic)
특징
여성
남성
구조 및
기능적 변형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어
출산에 알맞다.
진골반은 산도가 되며, 진골반강 은 폭이 넓고 얕으며, 남성보다 더 큰 용량을 갖는다.
여성에 비해 앞으로 덜 기울어져 있으며, 남성의 무거운 체격과 강 한 근육을 지탱하기에 접합.
진골반강은 폭이 더 좁고 깊다.
뼈두께
작고 사이가 넓다.
여성보다 크며 사이가 좁다.
관골구
(acetabula)
상동
상동
치골궁
(치골각)
넓고 둥글다(80~90도)
각이 여성보다 날카롭다(50~60도)
전면그림
천골
넓고 짧으며 천골의 굴곡이
두드러진다.
좁고 길며 천곡감각이 앞으로
나와 있다.
미골
운동성이 있고 곧다.
여성보다 운동성이 적고 전방으로 구부러져있다.
좌외측면
골반입구
남성보다 넓으며 타원형
여성보다 좁으며 심장모양
골반출구
남성보다 넓으며, 좌골결절 사이 길이가 짧고 더 떨어져 있으며 뒤집혀 있다.
여성보다 좁으며, 좌골결절 사이의 길이가 더 길고 날카로우며 중앙으로 향한다.
후하방면
● 골반뼈 (bones of the pelvis) ●
- 골반은 장골, 좌골, 치골의 3개로 형성. 이 뼈들은 관골구에서 만나며, 성장하면서 단단한
하나의 뼈로 골화.
- 골반은 움직임은 거의 없고 척추와 몸통을 지지하는 견고한 기저역할을 한다.
- 여성의 경우 출산을 위해 남자보다 넓고 깔대기 모양을 하고 있다.
● 장골능 (crest of the llium) ●
- 장골능은 고관절 윗부분에서 나타나는 뼈융기로 쉽게 볼 수 있다.
- 전상장극(anterior superior lliac spine) 과 후상장극(posterior superior lliac spine)
두 부분의 끝은 장골능선의 경계선
● 치골결합부 (pubic symphysis) ●
- 두 치골이 결합하는 고관절의 앞쪽 연결부위로 복부의 경계부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 좌골결절 (ischial tbberosity) ●
- 앉아있을 경우 둔부아래에 있는 좌골결절 위에 있는 것이 된다.
손(Hand)
● 손가락(Phalagse or digits) ●
- 지절,지골(phalanx) : 손가락뼈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뼈로 근위, 가운데, 원위로 명명
- 중수골(metacarpals) : 손바닥뼈로 원위 수근골 뿐아니라 손가락을 연결
- 근위수근골(proximal carpal row) :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
- 원위수근골(distal carpal row) : 손바닥뼈와 연결. 대능형골, 소능형골, 유두골, 유구골
- 두상골(pisiform) : 손의 연한 근육조직 중앙부의 소지구 돌기의 기본 점에서 발견
- 유구골(hamate) : 갈고리골이라고도 하고 돌출되어 있어 두상골의 원위와 후방에 위치
- 주상골(scaphoid) : 수근 근위 층 후방에 위치,
엄지손가락을 들어 올릴 때 두개의 건에 의해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
손목관절은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이축성 관절.
움직임은 좌우면과 전후면 안에서 허락.
손목은 손으로부터 요골로 힘을 전달, 골간막을 통해 척골로 힘을 전해준다.
- 수근간관절(intercarpal joint) : 무축성이며 미끄러짐이 일어난다.
- 수근중수 관절(carpometacarpal joint) : 원위 수근골은 다섯개의 중수골과 연결,
수근중수관절을 형성, 손등의 원위에서 쉽게 발견.
- 중수지골 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중수골이 손가락과 만나는 지점으로 단축성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하고는 이축성관절로 나타난다.
- 지절간 관절(interphalangeal joint)
두개의 손가락관절에 의해 형성. 엄지를 제외하고 모두 두개의 손가락 관절을 가진다.
위치에 따라 근위나 원위로 불리며, 단축성이다.
척주(Vertebra)
특징
경추(3~7)
흉추
요추
추체
작지만, 옆으로는 넓다.
횡경이 길다.
경추보다 크며, 심장모양.
두 개의 늑골과 연결되는 면(costal demifacet)이 있다.
크며 콩팥모양
극돌기
짧고 둘로 갈라져 있으며,
후방으로 곧게 퇴어나와 있다.
길고 날카로우며,
하방으로 튀어나와있다.
짧고 뭉툭하며,
상방으로 곧게 튀어 나와 있다.
척추공
삼각형
원형
삼각형
횡돌기
횡돌공이 있다.
늑골과 연결하는 면이 있다.
(T11,T12제외)
특징이 없다.
상,하
관절돌기
상관절면이 후상방을 향한다.
하관절면이 하전방으로 나와있다.
상관절면은 후방을 향하고,
하관절면은 전방을 향한다.
상관절면이 후내측으로 향하며,
하관절면이 전외측으로 향한다.
운동범위
척추의 굴곡과 신전이 가능.
옆으로 굴곡과 회전이 가능.
회전, 일부는 옆으로 굴곡
굴곡과 신전.
일부는 옆으로 굴곡
다리(leg)
- 대전자(greater trochanter)
대전자는 대퇴골의 근위 끝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큰 융기.
파트너의 다리를 안과 밖으로 회전시켜 피부아래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대퇴상과(femoral epicondyles)
무릎을 굽히면 쉽게 볼 수 있으며, 대퇴골 원위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내측과 외측이 있다.
내측상과가 외측보다 뚜렷하게 돌출
- 내전근 결절(adductor tubercle)
내측상과의 위쪽에 위치하는 특별한 구조로 고관절에서 내전을 수행하는 큰 근육의 부착점.
상과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게 돌출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 대퇴의 과(femoral condyles)
대퇴의 과는 둥근 모양으로 경골의 과와 연결되어 무릎관절을 이룬다.
-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
경골전방의 무릎아래 부분으로
고관절과 무릎에서 기능을 하는 대퇴사두근의 원위부착점.
- 비골두(fibular head)
경골조면의 외측에서 볼 수
있다.
- 슬개골(patella)
무릎보호 뼈
추천자료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파업투쟁][투쟁]노동자투쟁, 전국노동자대회, 지하철파업투쟁,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창립, 전...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근골격계 수술환자 간호
산재보험요양(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제도)의 관리체계와 직업병인정투쟁, 산재보험요양(산업...
근골격계질환실태예방
21c현대인을 위한 운동 방법 - 인체 관절계와 운동역학, 골격계와 운동역학
[산업안전보건]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활동, 산업안전보건제도,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
시험대비 의학용어, 단어 요약 & 정리 (소화기계, 호흡기계, 심혈관계, 신경계, 골격계, ...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해한 작업환경 - 방사선사 와 임상병리사가 겪는 근 골격계 및 알레르기...
[쟁취][공공의료][시위][노동권]공공의료 쟁취, 방송사 비정규운전직노조 쟁취, 근골격계질환...
[A+] 방사선 시험자료 방사선과 혈관계 검사방법 근골격계 어린이골절 어린이학대 대동...
우측어깨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병원 종사자][병원 종사원][병원 종업원]병원 종사자(종사원, 종업원)의 스트레스, 병원 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