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제까지 나의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책이 개정판이 아니라 노무현 정부에 대한 글을 읽지 못해 아쉬웠고 만약 읽게 되었다면 나의 생각이 많이 바뀌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런 아쉬움을 잊지 않고 나의 정치데 대한 무관심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후에 꼭 읽어보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글을 마무리 하면서 마지막으로 드는 생각을 말하여 보자면 다음과 같다. 어떠한 현상에서 유지를 위해 존재하는 것은 없다고 본다. 모든 것이 각 입장에 맞도록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원하는 있는 것은 민주주의의 유지가 아니다. 하지만 현재에 있어서도 이 민주주의는 잘못된 요소가 많은 채로 민주화 되어 왔으며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것은 민주주의의 발전이라는 것이다. 잘못된 체제라도 유지는 할 수 있다. 가까운 예로 북한은 21세기임에도 불구하고 아사자가 나오는 말도 안되는 상황에 놓여있지만 그들의 체제는 어떻게든 운영되고 있다. 이런 것을 보아 현재에 만족하지 말고 책에서 말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것을 해결 나가고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위해 시민사회나 정치사회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추천자료
★ 컴퓨터 네트워크의 정치적 이용에 관한 고찰 - 전자민주주의 ★
노무현 대통령의 개혁 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
[시민사회]시민사회의 성립과 변화 및 과제 분석(시민사회의 개념, 시민사회의 일반적 측면, ...
[중간 기말 학교시험*리포트 대비]한국민주주의의 과제와 저해요인에 관하여
(독후감) 민중에서 시민으로-한국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민주화운동, 민주화 항쟁, 발생배경, 계기, 전개과정, 역사, 성격,...
중동 민주화 운동, 원인, 민주화 운동 현황, 결과, 유가상승, 북한의 영향, 북한의 민주화 변...
유럽연합(EU)를 통해 본 민주주의
우리는 왜 사회적 관계, 특히 공동체적 삶을 고민해야 하는가, 그 철학적 근거를 서술하고, ...
[정치학] 한국 정치에서의 여론이 한국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시민사회운동][시민]시민사회운동의 개념, 시민사회운동의 특징, 시민사회운동의 기능, 시민...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중항쟁)의 의의,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
6월민주항쟁(6월민주화운동)의 정의, 중요성, 6월민주항쟁(6월민주화운동)의 과정, 6월민주항...
[지역사회복지론][풀뿌리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