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러시아의 민족 의복
Ⅲ. 러시아 민족의상의 기본형
Ⅳ. 러시아 여성의복의 변천사
Ⅴ. 영화 속의 러시아 의상
Ⅵ. 러시아 남성 민속복의 특징
Ⅶ. 러시아 여성의복에 영향을 미친 관습의 예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러시아의 민족 의복
Ⅲ. 러시아 민족의상의 기본형
Ⅳ. 러시아 여성의복의 변천사
Ⅴ. 영화 속의 러시아 의상
Ⅵ. 러시아 남성 민속복의 특징
Ⅶ. 러시아 여성의복에 영향을 미친 관습의 예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의 제정 러시아와 20세기 초 미국을 배경으로 번갈아 가며 진행된다. 영화 속에서 보여지는 줄리아 오몬드의 의상은 배경 시대에 맞게 우아하고 실용적인 버슬 스타일 의상이다.
힙 부분이 크게 과장된 의상은 보이지 않지만, 의상에 비해 다소 과장된 헤어와 모자가 눈에 띈다.
기차에서 처음으로 톨스토이를 만나게 될 때, 입원해 있는 톨스토이를 방문할 때 의상은 다소 평범해 보이지만, 앞 여밈 부분에 레이스를 사용해 우아한 멋을 느끼게 한다.
사관학교 파티 장에서 선보인 많은 여성들의 드레스는 다른 고전 영화에 비해 그다지 화려하지 않지만, 레이스와 꽃을 디테일로 사용한 드레스들은 깨끗하고 화사한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충분하다.
영화의 후반부에 시베리아로 이송된 톨스토이를 찾아간 제인의 의상은 장거리 여행을 위한 매우 실용적인 의상이다.
존보다 짧아진 스커트와 소매가 강조된 코트, 앞에서 선보였던 모자들과는 다른 단순하고, 실용적인 모자 등을 볼 수 있다.
이는 20세기 패션으로 변화되기 전의 모습을 잘 나타내준다.
버슬 스타일 외에도 이 영화 속에서 주목할 만한 의상은 러시아의 전통적인 자수 숄과 모피 모자이다.
영화 속의 의상들은 러시아 설원과 잘 어우러져, 크레믈린 궁과 같이 화려한 러시아의 모습과 검소하고 소박한 러시아의 모습 양면 모두를 잘 표현하고 있다.
영화속의 19세기 후반의 패션은 힙을 강조한 버슬 스타일과 곡선적인 실루엣이 주를 이루며, 패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 20세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Bustle Style은 크리놀린이 없어지면서 축늘어진 스커트 자락을 뒤 허리에 모아 힙 부분에 심을 넣고 장식한 스타일을 말한다
이 당시 시대적 배경을 보면, 1870∼1890년은 간소하고 실용적인 경향이 나타나 그 전의 거창한 크리놀린 스타일이 버슬 스타일로 변하게 된다.
이 시기는 표면적으로 큰 전쟁없이 비교적 평온하였으며, 전체적인 사회풍조는 부와 향락을 즐기는 경향으로 흘렀으며 복식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복식도 점차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경향으로 나아갔으며, 산업의 발전과 함께 도시생활이 확대됨에 따라 일상생활의 형태도 다양해져서 일상복,외출복, 사교복, 운동복 등으로 복식에서도 점차 그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남자복식은 한 벌의 suit로 단순해졌으며 조끼와 넥타이로 액센트를 주어 편리한 옷으로 발전해갔다.
여자복식은 실용화의 경향으로 스커트의 폭이 다소 줄어들고 길이도 약간 짧아지면서 여성의 힙(hip)을 강조하는 관능적인 버슬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다.
남성들의 머리형태는 비교적 현대화된 모습으로, 단순해지고 이전보다 다소 짧아졌다. 여성들의 머리형태는 한층 우아하게 단정되었고, 모자는 머리형보다 더욱 특징적이었다.
챙과 크라운(crown)을 각자 개성대로 변형시켰고 때로 동물, 식물 모양을 모방한 기이한 장식을 하여 주목을 끌었다.
Ⅵ. 러시아 남성 민속복의 특징
러시아 남성 민속 복의 특징으로 셔츠 자락을 바진 허리에 넣지 않고 반드시 바지 위까지 늘어뜨리는 것과 바지 자락을 반드시 장차속에 찔러 넣는 것을 들 수 있다. 높은 깃에 옆트임은 『루비시카』는 본래 남성이나 여성을 가리지 않고 입을 수 있는 윗도리와 아랫도리를 합치 샤츠의 총칭으로, 남성은 그 위에 『캄조르』라는 조끼 모양의 옷과 『카프탄』이라는 웃도리를 입는다. 겨울에는 양털가죽 외투를 입고 갖가치 색필로 짠 아름다운 허리띠를 매는데, 이는 부적의 역할도 했다.
Ⅶ. 러시아 여성의복에 영향을 미친 관습의 예
민족사회의 러시아 여성은 결혼을 하면 남편이외의 남자에게 머리카락을 보여서는 안 된다는 엄한 관습에 얽매여, 처녀는 길게 자란 머리를 감아서 드리우고 아름다운 핀이나 리본으로 장식하는 반면, 기혼녀는 긴 머리를 감아 올려 두건으로 덮었다. 기혼여성의 대표적인 보넷은 \'코코치니크\' 이다. 러시아 특징인일모자 같은 술, 챙없는 모자가 러시아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시대가 지남에 따라 단순화되어 숄이나 스카프만을 결치는 것을 즐겨 머리장식은 간단해졌다.
Ⅷ. 결론
지금까지 러시아 민속의상을 통하여 러시아 민속문화에 대해 총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그러나 여성의상이라는 주제에 국한된 나머지 러시아 문화에 대해 전반적으로는 다가가지 못한 것 같다. 러시아의 민속의상은 현재, 아이디어 고갈상태에 있는 패션계로 하여금 프린스 스타일의 풍성한 롱코트나 랩코트, 다양한 직조, 문양의 니트웨어 같은 형태미 측면에서나 재질, 문양 적인 면에서의 타피스트리천, 모피, 러시아 옛 건물의 도안인 꽃무늬, 그리고 토크, 챙없는 모자, 칼라 풀한 보석과 금빛 악세서리 등의 세부장식과 검정, 사파이어 파랑, 광택이 강한 금색, 적색 등 강조 적인 측면을 독특한 복식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러시아 민족이 붉은색을 좋아하는 복식 색채학적인 면과 꽃무늬를 애용하는 복식 미학적인 면, 그리고 역사, 문화적 조건에 의한 보수적 민족성에 관련된 복식 사회심리학적인 면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수반된다면, 섬유산업의 새로운 시장개척에 활로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민속의상\"에 관한 연구는 민속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주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역사와 지리 그리고 의생활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전통 민예 감상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현대 의생활에 있어서 디자인의 독창성을 높이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는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현재 다양한 스타일룩의 한 장르로써 자리매김하고 있는 러시안 룩-러시아의 전통적 민속의상을 현대 패션에 도입한 패션. 여성의 슬리브리스 드레스인 사라판, 빌로드나 새틴 소재의 카프탄, 스목풍의 상의인루바시카,코사크풍의모자(캡)와 부츠 등이 대표적 아이템이다.) 영화를 감상하는 내내 영화 속 여자 주인공들의 화려하고 세련된 러시아 의상을 구경할 수 있어서 좋았고 그러한 흥미가 러시아 여성의복 변천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주제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나 생각된다.
<참고문헌>
여성의복 변천과 특징 - 박미령 논문, 2004
장진헌, 2005, 러시아 문화의 이해, 학문사
네이버 이미지 검색
영화로 보는 세계
힙 부분이 크게 과장된 의상은 보이지 않지만, 의상에 비해 다소 과장된 헤어와 모자가 눈에 띈다.
기차에서 처음으로 톨스토이를 만나게 될 때, 입원해 있는 톨스토이를 방문할 때 의상은 다소 평범해 보이지만, 앞 여밈 부분에 레이스를 사용해 우아한 멋을 느끼게 한다.
사관학교 파티 장에서 선보인 많은 여성들의 드레스는 다른 고전 영화에 비해 그다지 화려하지 않지만, 레이스와 꽃을 디테일로 사용한 드레스들은 깨끗하고 화사한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충분하다.
영화의 후반부에 시베리아로 이송된 톨스토이를 찾아간 제인의 의상은 장거리 여행을 위한 매우 실용적인 의상이다.
존보다 짧아진 스커트와 소매가 강조된 코트, 앞에서 선보였던 모자들과는 다른 단순하고, 실용적인 모자 등을 볼 수 있다.
이는 20세기 패션으로 변화되기 전의 모습을 잘 나타내준다.
버슬 스타일 외에도 이 영화 속에서 주목할 만한 의상은 러시아의 전통적인 자수 숄과 모피 모자이다.
영화 속의 의상들은 러시아 설원과 잘 어우러져, 크레믈린 궁과 같이 화려한 러시아의 모습과 검소하고 소박한 러시아의 모습 양면 모두를 잘 표현하고 있다.
영화속의 19세기 후반의 패션은 힙을 강조한 버슬 스타일과 곡선적인 실루엣이 주를 이루며, 패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 20세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Bustle Style은 크리놀린이 없어지면서 축늘어진 스커트 자락을 뒤 허리에 모아 힙 부분에 심을 넣고 장식한 스타일을 말한다
이 당시 시대적 배경을 보면, 1870∼1890년은 간소하고 실용적인 경향이 나타나 그 전의 거창한 크리놀린 스타일이 버슬 스타일로 변하게 된다.
이 시기는 표면적으로 큰 전쟁없이 비교적 평온하였으며, 전체적인 사회풍조는 부와 향락을 즐기는 경향으로 흘렀으며 복식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복식도 점차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경향으로 나아갔으며, 산업의 발전과 함께 도시생활이 확대됨에 따라 일상생활의 형태도 다양해져서 일상복,외출복, 사교복, 운동복 등으로 복식에서도 점차 그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남자복식은 한 벌의 suit로 단순해졌으며 조끼와 넥타이로 액센트를 주어 편리한 옷으로 발전해갔다.
여자복식은 실용화의 경향으로 스커트의 폭이 다소 줄어들고 길이도 약간 짧아지면서 여성의 힙(hip)을 강조하는 관능적인 버슬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다.
남성들의 머리형태는 비교적 현대화된 모습으로, 단순해지고 이전보다 다소 짧아졌다. 여성들의 머리형태는 한층 우아하게 단정되었고, 모자는 머리형보다 더욱 특징적이었다.
챙과 크라운(crown)을 각자 개성대로 변형시켰고 때로 동물, 식물 모양을 모방한 기이한 장식을 하여 주목을 끌었다.
Ⅵ. 러시아 남성 민속복의 특징
러시아 남성 민속 복의 특징으로 셔츠 자락을 바진 허리에 넣지 않고 반드시 바지 위까지 늘어뜨리는 것과 바지 자락을 반드시 장차속에 찔러 넣는 것을 들 수 있다. 높은 깃에 옆트임은 『루비시카』는 본래 남성이나 여성을 가리지 않고 입을 수 있는 윗도리와 아랫도리를 합치 샤츠의 총칭으로, 남성은 그 위에 『캄조르』라는 조끼 모양의 옷과 『카프탄』이라는 웃도리를 입는다. 겨울에는 양털가죽 외투를 입고 갖가치 색필로 짠 아름다운 허리띠를 매는데, 이는 부적의 역할도 했다.
Ⅶ. 러시아 여성의복에 영향을 미친 관습의 예
민족사회의 러시아 여성은 결혼을 하면 남편이외의 남자에게 머리카락을 보여서는 안 된다는 엄한 관습에 얽매여, 처녀는 길게 자란 머리를 감아서 드리우고 아름다운 핀이나 리본으로 장식하는 반면, 기혼녀는 긴 머리를 감아 올려 두건으로 덮었다. 기혼여성의 대표적인 보넷은 \'코코치니크\' 이다. 러시아 특징인일모자 같은 술, 챙없는 모자가 러시아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시대가 지남에 따라 단순화되어 숄이나 스카프만을 결치는 것을 즐겨 머리장식은 간단해졌다.
Ⅷ. 결론
지금까지 러시아 민속의상을 통하여 러시아 민속문화에 대해 총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그러나 여성의상이라는 주제에 국한된 나머지 러시아 문화에 대해 전반적으로는 다가가지 못한 것 같다. 러시아의 민속의상은 현재, 아이디어 고갈상태에 있는 패션계로 하여금 프린스 스타일의 풍성한 롱코트나 랩코트, 다양한 직조, 문양의 니트웨어 같은 형태미 측면에서나 재질, 문양 적인 면에서의 타피스트리천, 모피, 러시아 옛 건물의 도안인 꽃무늬, 그리고 토크, 챙없는 모자, 칼라 풀한 보석과 금빛 악세서리 등의 세부장식과 검정, 사파이어 파랑, 광택이 강한 금색, 적색 등 강조 적인 측면을 독특한 복식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러시아 민족이 붉은색을 좋아하는 복식 색채학적인 면과 꽃무늬를 애용하는 복식 미학적인 면, 그리고 역사, 문화적 조건에 의한 보수적 민족성에 관련된 복식 사회심리학적인 면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수반된다면, 섬유산업의 새로운 시장개척에 활로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민속의상\"에 관한 연구는 민속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주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역사와 지리 그리고 의생활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전통 민예 감상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현대 의생활에 있어서 디자인의 독창성을 높이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는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현재 다양한 스타일룩의 한 장르로써 자리매김하고 있는 러시안 룩-러시아의 전통적 민속의상을 현대 패션에 도입한 패션. 여성의 슬리브리스 드레스인 사라판, 빌로드나 새틴 소재의 카프탄, 스목풍의 상의인루바시카,코사크풍의모자(캡)와 부츠 등이 대표적 아이템이다.) 영화를 감상하는 내내 영화 속 여자 주인공들의 화려하고 세련된 러시아 의상을 구경할 수 있어서 좋았고 그러한 흥미가 러시아 여성의복 변천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주제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나 생각된다.
<참고문헌>
여성의복 변천과 특징 - 박미령 논문, 2004
장진헌, 2005, 러시아 문화의 이해, 학문사
네이버 이미지 검색
영화로 보는 세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