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이공계 위기에 대한 진단 ≫
≪ 이공계 위기에 대한 대책 ≫
≪ 글을 마치며 ≫
≪ 이공계 위기에 대한 대책 ≫
≪ 글을 마치며 ≫
본문내용
로, 삼성전자가 핸드폰을 하나 만들 때 퀄컴에 지불하는 로열티가 판매가의 15% 정도다. 반도체를 만들려면 설비와 부품을 일본에서 모두 수입해야 한다.
이런 기술력은 이공계 인들이 개발할 수 있다. 끊임없이 다른 나라에 돈을 주면서 무엇을 생산한다는 것은 절대로 경제발전을 앞당길 수 없고 청년실업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제시한 것처럼 학생들에게 이공계에 대한 자긍심과 자신감을 길러주고 전문성을 살리면 사회에서도 그만큼 대우를 해주고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공계 기피현상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50년 정도 끌어온 지금까지의 이공계 교육을 한번에 바꾸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앞으로 우리나라의 발전을 생각한다면 진통을 겪게 되더라고 바꾸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공계의 위기에는 기업과 대학, 사회 전체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공계의 위기는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가 죽는다는 각오로 달라붙어야 할 문제다. 정책 구호나 유인책 몇 가지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다. 이공계 기피현상은 대학이나 이공계 대학생들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와 기업, 우리 사회 전체가 이공계 기피현상의 최종 피해자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기술력은 이공계 인들이 개발할 수 있다. 끊임없이 다른 나라에 돈을 주면서 무엇을 생산한다는 것은 절대로 경제발전을 앞당길 수 없고 청년실업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제시한 것처럼 학생들에게 이공계에 대한 자긍심과 자신감을 길러주고 전문성을 살리면 사회에서도 그만큼 대우를 해주고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공계 기피현상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50년 정도 끌어온 지금까지의 이공계 교육을 한번에 바꾸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앞으로 우리나라의 발전을 생각한다면 진통을 겪게 되더라고 바꾸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공계의 위기에는 기업과 대학, 사회 전체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공계의 위기는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가 죽는다는 각오로 달라붙어야 할 문제다. 정책 구호나 유인책 몇 가지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다. 이공계 기피현상은 대학이나 이공계 대학생들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와 기업, 우리 사회 전체가 이공계 기피현상의 최종 피해자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