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의 사회대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장애인의 사회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회복지제도

Ⅱ. 해외복지제도

Ⅲ. 직업문제

Ⅳ. 교육문제

본문내용

실을 가진 아동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조기훈련 언어지식의 습득 구화(口話)에 의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습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2) 조기교육의 필요성
청각장애는 무엇보다 조기교육이 필요하다. 정상아동은 만 3세가 되면 언어를 배우기 시작한다. 3세부터 6세까지 근육의 발달과 함께 차차 발달하여 6세가 지나면 유아어의 영역을 벗어나서 완전히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각장애아도 역시 언어학습은 이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
3. 청각장애인의 통합교육
1) 의의
난청아를 건청아와 구별하지 않고 교육적으로 통합시킨다는 것은, 난청아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굳힐 수 있을 정도로 발달시켜 준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른 장점은
첫째, 난청아가 건청아와 함께 자유롭고 창조적인 놀이를 즐김으로써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난청아가 다방면에 걸친 대인접촉을 가짐으로써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건청 집단에의 소속감 내지 적응성을 키워줌으로써 바람직한 사회생활의 영위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건청아와의 언어를 매개체로 한 교신활동을 통하여 의사소통에 대한 의욕을 높여주고 언어구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건청아를 조기부터 난청아와 접하게 함으로써 건청아와 장애아에 대한 차별의식을 없애고 건전한 장애관을 키울 수 있다.
단점은 첫째, 난청아가 통합되어 있는 건청학급의 일반적인 교육방법만으로는 난청아의 바람직한 학습발달을 기대할 수 없다.
둘째, 적절한 개별적 프로그램에 따른 지도가 없으면 난청아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의 부족으로 열등감으로 느끼게 되어 학습의욕조차 잃게 된다.
셋째, 그대로 두면 자신감을 잃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인격의 소유자로 전략하게 된다.
2) 형태
(1) 완전통합
장애인이 학습뿐만 아니고 생활 등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건강아와 함께 어울려 지내는 것을 말한다.
(2) 부분통합
장애인이 학습이나 생활상의 정해진 한도 내에서만 건강아와 함께 어울려 지낸 수 있는 것이다. 부분통합의 방책으로서 교류교육이 실시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특수학교(급)의 장애아와 보통하교(급)의 아동들이 함께 어울려서 학습적. 사회적 경험을 교환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3) 난청 통합교육의 조건과 자세
(1) 청각장애를 가진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조기 보상교육을 실시하여서 건청아와의 발달사의 차이를 없앨 것
(2) 난청아가 조기부터 사회적 환경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해줄 것
(3) 난청아의 주위 사람들이 그 난청아를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일반 사회인의 의식을 높여줄 것
(4) 난청아의 부모와 건청아의 부모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준비하여서 상호이해를 도모할 것
(5) 난청아를 가능한 한 소규모의 보통학급에 편성하고 청장아에 대한 교육적 지식과 이해력을 갖춘 교사에게 지도를 맡길 것
(6) 청장아를 담당하는 보통학급의 교사와 부모와 특급학교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체계를 학교교육 체계 내에 확립시켜줄 것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5.26
  • 저작시기199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