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른다고 소리지르는 것
21) 신체화
- 신체화란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 수의 근계를 제외한 기타 신체 부위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
예) 사촌이 따을 살 때 배가 아픈 경우
예) 집안에 큰일이 다가오면 머리가 아파오는 것
22)주지화
- 느낌보다는 사고로 정서적 불편을 제거하려고 하는 것
- 체계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대신 그 생각에 붙은 감정은 살짝 빼버림으로써 용납 못할 충동에 기인해서 오는 불안을 막는다는 것으로 사고는 의식상에 남아 있지만 감정은 없는 것이다
예) 어떤 사람이 자기 잣을 괴롭힐 때 그로 인한 속상함을 인정 하지 않으려고 그 상대가 자신을 괴롭히는 원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으로써 불편한 감정의 압도를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경우이다
23) 꿈
- 꿈이란 깨어 있을 때는 이룰 수 없거나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소원을 자는 동안 부분적으로 만족시키는 과정이다
예) 교사에게 벌을 받는 학생이 교사에게 “왜 때리느냐‘라고 고함지르며 항의를 하는 꿈을꾼 경우
24) 행동화
- 무의식적 소망이나 충동을 그것에 수반되는 감정을 인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 참고자료
-도복늠외 공저, 최신정신간호학 개론, 정담미디어, 2004
21) 신체화
- 신체화란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 수의 근계를 제외한 기타 신체 부위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
예) 사촌이 따을 살 때 배가 아픈 경우
예) 집안에 큰일이 다가오면 머리가 아파오는 것
22)주지화
- 느낌보다는 사고로 정서적 불편을 제거하려고 하는 것
- 체계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대신 그 생각에 붙은 감정은 살짝 빼버림으로써 용납 못할 충동에 기인해서 오는 불안을 막는다는 것으로 사고는 의식상에 남아 있지만 감정은 없는 것이다
예) 어떤 사람이 자기 잣을 괴롭힐 때 그로 인한 속상함을 인정 하지 않으려고 그 상대가 자신을 괴롭히는 원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으로써 불편한 감정의 압도를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경우이다
23) 꿈
- 꿈이란 깨어 있을 때는 이룰 수 없거나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소원을 자는 동안 부분적으로 만족시키는 과정이다
예) 교사에게 벌을 받는 학생이 교사에게 “왜 때리느냐‘라고 고함지르며 항의를 하는 꿈을꾼 경우
24) 행동화
- 무의식적 소망이나 충동을 그것에 수반되는 감정을 인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 참고자료
-도복늠외 공저, 최신정신간호학 개론, 정담미디어,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