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트랜지스터의 구조
- 트랜지스터의 동작
- 내부에서 전자의 움직임
- 트랜지스터의 특성 표시
- NPN & PNP 트랜지스터
- 트랜지스터의 동작
- 내부에서 전자의 움직임
- 트랜지스터의 특성 표시
- NPN & PNP 트랜지스터
본문내용
FB 는 1.8mA/2.0mA, 즉 0.9가 된다.
h_FB 의 대표적인 값은 0.9로부터 0.99정도의 범위를 가지며, 항상 1미만이 된다.
그림 5-11의 회로에서 입력측(에미터)에 교류신호가 인가되었다면, CB순방향 전류이득의 교류값 h_fb 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교류에 대해서는 h_fb 와 같이 소문자첨자로 표시함을 유의하라). 전류이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_fb = {Δ I_C } over {Δ I_E } right vert _{{V_CB}=일정}
그림 5-13은 2mA_P-P~ 의 교류입력전류에 대한 그림 5-11의 CB회로를 보인 것이다.
2mA_P-P~ 전류는 특정한 직류바이어스 레벨 근처에서 변하는 에미터전류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바이어스레벨(이 경우 2mA)을 정 동작전류 (quiescent current)라고 부르며, 보통 줄여서 Q점(Q-point)이라고 한다. 그림 5-12에 이것을 나타냈으며, 여기서 에미터 전류는 2mA의 정동작전류 근처인 3mA와 1mA(그림 5-12의 A 및 B점)에서 변한다. 교류전류이득 (h_fb ) 은 그림 5-12의 곡선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h_fb = {Δ I_C } over { Δ I_E } right vert _{{V_CB}=일정} ~~ CONG {2.7mA - 1.8mA} over {3mA - 2mA} right vert _{{V_CB}=일정} ~ = 0.9 이 경우 h_fb 는 그림 5-12의 A점과 Q점 사이에서 계산되지만, B점과 Q점 사이에서 계산된 값과 같게 된다. 이 경우에 직류와 교류전류이득은 같음에 유의하라. 실제의 문제에 있어서 보통 두 값은 정확하게 같지는 않다. CB회로에서는 전류이득이 1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주어지나, 상당히 큰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다.
- referece -
http://www.kangwon.ac.kr/~msdlab/solution/practice/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B9%D9%C0%CC%C6%FA%B6%F3+%C1%A2%C7%D5+%C6%AE%B7%A3%C1%F6%BD%BA%C5%CD&frm=t1
http://user.chollian.net/~kimjh94/junja/junja_7/junja7-2.html
http://www.roboblock.co.kr/info/mp2-67.htm
h_FB 의 대표적인 값은 0.9로부터 0.99정도의 범위를 가지며, 항상 1미만이 된다.
그림 5-11의 회로에서 입력측(에미터)에 교류신호가 인가되었다면, CB순방향 전류이득의 교류값 h_fb 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교류에 대해서는 h_fb 와 같이 소문자첨자로 표시함을 유의하라). 전류이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_fb = {Δ I_C } over {Δ I_E } right vert _{{V_CB}=일정}
그림 5-13은 2mA_P-P~ 의 교류입력전류에 대한 그림 5-11의 CB회로를 보인 것이다.
2mA_P-P~ 전류는 특정한 직류바이어스 레벨 근처에서 변하는 에미터전류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바이어스레벨(이 경우 2mA)을 정 동작전류 (quiescent current)라고 부르며, 보통 줄여서 Q점(Q-point)이라고 한다. 그림 5-12에 이것을 나타냈으며, 여기서 에미터 전류는 2mA의 정동작전류 근처인 3mA와 1mA(그림 5-12의 A 및 B점)에서 변한다. 교류전류이득 (h_fb ) 은 그림 5-12의 곡선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h_fb = {Δ I_C } over { Δ I_E } right vert _{{V_CB}=일정} ~~ CONG {2.7mA - 1.8mA} over {3mA - 2mA} right vert _{{V_CB}=일정} ~ = 0.9 이 경우 h_fb 는 그림 5-12의 A점과 Q점 사이에서 계산되지만, B점과 Q점 사이에서 계산된 값과 같게 된다. 이 경우에 직류와 교류전류이득은 같음에 유의하라. 실제의 문제에 있어서 보통 두 값은 정확하게 같지는 않다. CB회로에서는 전류이득이 1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주어지나, 상당히 큰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다.
- referece -
http://www.kangwon.ac.kr/~msdlab/solution/practice/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B9%D9%C0%CC%C6%FA%B6%F3+%C1%A2%C7%D5+%C6%AE%B7%A3%C1%F6%BD%BA%C5%CD&frm=t1
http://user.chollian.net/~kimjh94/junja/junja_7/junja7-2.html
http://www.roboblock.co.kr/info/mp2-67.htm
추천자료
LED, LD, PD의 특성 실험
(실험보고서) MOSFET 전압 전류 특성 실험 및 시뮬레이션
배리스터(Varistor)의 정의와 그 특성 및 역할에 대하여
diode(다이오드) TR (트랜지스터) FE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실험(3)_결과_3-7_트랜스의 직류 특성
실험(3) 결과 3-7,10 트랜스의 직류 특성,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
[실험1-예비] 다이오드의 특성 (예비)
[물리학 실험] 3-5 전기저항(옴의 저항, 다이오드 특성)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Display 공학] TFT-LCD실험, Oxide TFT와 Organic TFT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분석 및 심층...
[화학공학실험] LED 및 LD특성평가
[전자회로실험] 증가형 MOSFET의 단자 특성과 바이어싱 (결과)
광센서 -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광센서,Photo diode,photo transistor,포토 다이...
광센서 -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광센서,photodiode,phototransistor,포토다이오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