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선생 지식 경영법 핵심내용및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정보에 휘둘리지 말고 정보를 장악해야 한다.
40. 조례최중법(條例最重法): 일을 진행할 때 현재 하고 있는 작업의 성격과 특성을 명확히 파악해 거기세 맞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다.
Ⅲ. 결론
널려 있는 정보를 수집, 배열해서 체계적이고 유용한 지식으로 탈바꿈 시킨다. 동시에 7~8가지 이상의 작업을 한다. 이런 것들을 하고 싶은가? 첫 번째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메모를 잘해야 하고 정보를 판단하는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두 번째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명확한 목표관리와 체계적인 단계수립, 여기에 효율적인 작업진행, 조직적인 역할분담이 더해 져야 한다. 책을 읽으면서 정약용의 사고가 현대의 우리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느꼈다. 우리들이 살고 있는 시대는 정보화 시대다. 정보는 부족하지 않다. 다만 무엇이 중요한 정보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없고 그런 정보들을 묶어 하나의 글 쓰는 것을 할 능력이 부족하다. 정민선생이 쓴 이 책을 읽고 많은 부분을 배울 수 있었다. 논문을 쓰거나 기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책에 나온 다산선생의 집필과정을 참고한다면 많은 부분 도움이 될 것 이다. 문목을 세워 글의 설계도를 그렸듯 목차를 세워 작업범위와 검색범위를 세우고 그러한 틀을 바탕으로 움직여야 헛수고가 줄어든다. 글이나 프로젝트를 통하여 보여주고 싶은 것이 어떤것 인지 즉 핵심가치가 무엇인지 정확히 들어나야 하며 핵심가치는 쓸모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글의 핵심가치는 책의 핵심내용 정리와 현대적 해석이다. 18C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 그의 사고는 21C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를 압도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6.03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