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품 분석
2. 내용 요약
3. 등장인물 분석
1) HESTER PRYNNE
2) ARTHUR DIMMESDALE
3) ROGER CHILLINGWORTH
4) PEARL
4. 감상평과 주제
2. 내용 요약
3. 등장인물 분석
1) HESTER PRYNNE
2) ARTHUR DIMMESDALE
3) ROGER CHILLINGWORTH
4) PEARL
4. 감상평과 주제
본문내용
결국 그녀는 단순한 아이가 아니라 Hester와 Dimmesdale에게 자신들의 죄를 계속해서 일깨워주는 살아 움직이는 또 하나의 주홍글씨이다. 또한 Pearl은 그들에게 하나의 구원자로써 그들이 죄악의 고백을 하지 않고, 자신들이 죄를 저지르지 않았다는 더 큰 위증의 죄를 범하는 것을 막아 그들의 영혼을 어두운 곳에서부터 광명의 세계로 이끌어내어 구제하는 역할의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애당초 Pearl이 없었다면 그들의 죄는 영원히 밝혀지지 않았을 것이며 그들은 속죄할 기회도 없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이 Pearl을 Hester에게 내려준 것은 Hester의 영혼을 살리기 위한 것이며 더 이상 깊은 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동시에 Hester를 천국으로 인도하기 위한 약속이었던 것이다.
“O, not so!―not so!\" continued Mr. Dimmesdale. \"She recognizes, believe me, the solemn miracle which God hath wrought, in the existence of that child. And may she feel, too―what, methinks, is the very truth―that this boon was meant above all things else, to keep the mother\'s soul alive, and to preserve her from blacker depths of sin into which Satan might else have sought to plunge her! Therefore it is good for this poor, sinful woman that she hath an infant immortality, a being capable of eternal joy or sorrow, confided to her care- to be trained up by her to righteousness―to remind her, at every moment, of her fall―but yet to teach her, as it were by the Creator\'s sacred pledge, that, if she bring the child to heaven, the child also will bring its parent thither!\"
Pearl은 Dimmesdale목사에게 마지막 키스를 해주고 나서 앞서 갖고 있었던 불완전한 모습, 인간과 같지 않은 모습을 버리고 자신도 역시 다시 하나의 완전한 인간으로 거듭 태어난다.
즉, 그녀는 죄를 정죄하고 징계하고, 그녀의 부모들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하여 속죄의 길을 걸어가도록 유도, 더 나아가 그녀의 부모를 구원으로 이끄는 열쇠고리로서의 사명을 띤 인물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4. 감상평과 주제
The Scarlet Letter의 주제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복잡하다.우선 누가 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주인공인가라는 것이 문제가 된다.현재는 Dimmesdale이 주인공이라는데 별 이의가 없으나, Henry James가 그의 저서 Hawthorne(1879)에서 Dimmesdale이 주인공임을 주장할 때까지는 Hester를 주인공으로 보는 비평가들이 많았다.그 이유는 이 작품이 Hester로 끝나고 있으며, 도덕적 발전에 있어서도 표면적인 면과는 달리 구원 문제가 불투명한 Dimmesdale 보다는 Hester의 경우가 비기독교 적이기는 하나 더 선명하기 때문이었다.그러나 Hester를 주인공으로 가정할 때 작품의 주제와 윤리적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왜냐하면 Hester는 자신의 간음행위를죄라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해 뉘우치거나 참회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간음행위는 죽음에 처하는 청교주의 윤리관이 아니라도 Hester의 태도는그 당시에 있어 용납되기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이 작품에 대한 주제는 간음에 대한 죄 자체가 아니라, Hester, Dimmesdale, 그리고 Chillingworth 세 주요 인물에 나타난 죄의 심리적 결과라는 주장이 우세하다. 이 “심리적 결과”라는 말은 매우 중요하다.
이 작품의 주제는 Dimmesdale목사의 은밀한 죄와, 이로 인한 자신의 심한 정신적 갈등을 거쳐 마침내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구원을 얻는 전형적인 영혼구원 과정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이는 Hester와 Chillingworth가 소홀히 취급되는 위험이 있으며, 많은 비평가들이 Dimmesdale의 구원 문제를 그렇게 안이하게 취급하고 있지 않는 문제가 있다.우선 Dimmesdale의 참회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비평가들이 많다.엄격한 교리적인 면에서 볼 때 그의 참회와 구원에는 허점이 많다는 것이다.이러한 Dimmesdale의 구원문제에 있어서의 애매성은 다른 작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근본적으로 Hawthorne의 종교관에 기인한다.
사실 Hawthorne은이 작품에서 죄인인 Hester와 Dimmesdale 보다 엄격한 율법에 치우치고 있는 청교도주의와 악마의 화신인 Chillingworth를 비판하고 있는데 청교도주의와 Chillingworth의 공통점은 인간성의 결여이다.이렇듯 죄악이나 구원과 같은 종교적인 틀에서 벗어나 인간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때 이 작품의 넓은 의미의 주제는 제1장의 맺는 말 “a tale of human frailty and sorrow\"라볼 수도 있다.죄많은 여자인 Hester의 경우든, 외견상 성인과 같은 Dimmesdale 목사의 경우든 결국 그들의 죄의 동기는 인간적인 것이었으며, 인간이란 불완전한 존재이고 인생이란 본래 비극은 아니라 하더라도 Pearl이 생각하는 숲속의 개울소리와 같이 애달픈 것이기 때문이다.이렇게 폭넓게 주제를 설정할 때 비로소 Hawthorne의 인본주의 사상과 Dimmesdale 의 불투명한 구원문제 그리고 Hester의 도덕적 발전과 윤리문제에 대한 유기적 상관관계와 포괄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O, not so!―not so!\" continued Mr. Dimmesdale. \"She recognizes, believe me, the solemn miracle which God hath wrought, in the existence of that child. And may she feel, too―what, methinks, is the very truth―that this boon was meant above all things else, to keep the mother\'s soul alive, and to preserve her from blacker depths of sin into which Satan might else have sought to plunge her! Therefore it is good for this poor, sinful woman that she hath an infant immortality, a being capable of eternal joy or sorrow, confided to her care- to be trained up by her to righteousness―to remind her, at every moment, of her fall―but yet to teach her, as it were by the Creator\'s sacred pledge, that, if she bring the child to heaven, the child also will bring its parent thither!\"
Pearl은 Dimmesdale목사에게 마지막 키스를 해주고 나서 앞서 갖고 있었던 불완전한 모습, 인간과 같지 않은 모습을 버리고 자신도 역시 다시 하나의 완전한 인간으로 거듭 태어난다.
즉, 그녀는 죄를 정죄하고 징계하고, 그녀의 부모들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하여 속죄의 길을 걸어가도록 유도, 더 나아가 그녀의 부모를 구원으로 이끄는 열쇠고리로서의 사명을 띤 인물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4. 감상평과 주제
The Scarlet Letter의 주제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복잡하다.우선 누가 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주인공인가라는 것이 문제가 된다.현재는 Dimmesdale이 주인공이라는데 별 이의가 없으나, Henry James가 그의 저서 Hawthorne(1879)에서 Dimmesdale이 주인공임을 주장할 때까지는 Hester를 주인공으로 보는 비평가들이 많았다.그 이유는 이 작품이 Hester로 끝나고 있으며, 도덕적 발전에 있어서도 표면적인 면과는 달리 구원 문제가 불투명한 Dimmesdale 보다는 Hester의 경우가 비기독교 적이기는 하나 더 선명하기 때문이었다.그러나 Hester를 주인공으로 가정할 때 작품의 주제와 윤리적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왜냐하면 Hester는 자신의 간음행위를죄라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해 뉘우치거나 참회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간음행위는 죽음에 처하는 청교주의 윤리관이 아니라도 Hester의 태도는그 당시에 있어 용납되기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이 작품에 대한 주제는 간음에 대한 죄 자체가 아니라, Hester, Dimmesdale, 그리고 Chillingworth 세 주요 인물에 나타난 죄의 심리적 결과라는 주장이 우세하다. 이 “심리적 결과”라는 말은 매우 중요하다.
이 작품의 주제는 Dimmesdale목사의 은밀한 죄와, 이로 인한 자신의 심한 정신적 갈등을 거쳐 마침내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구원을 얻는 전형적인 영혼구원 과정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이는 Hester와 Chillingworth가 소홀히 취급되는 위험이 있으며, 많은 비평가들이 Dimmesdale의 구원 문제를 그렇게 안이하게 취급하고 있지 않는 문제가 있다.우선 Dimmesdale의 참회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비평가들이 많다.엄격한 교리적인 면에서 볼 때 그의 참회와 구원에는 허점이 많다는 것이다.이러한 Dimmesdale의 구원문제에 있어서의 애매성은 다른 작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근본적으로 Hawthorne의 종교관에 기인한다.
사실 Hawthorne은이 작품에서 죄인인 Hester와 Dimmesdale 보다 엄격한 율법에 치우치고 있는 청교도주의와 악마의 화신인 Chillingworth를 비판하고 있는데 청교도주의와 Chillingworth의 공통점은 인간성의 결여이다.이렇듯 죄악이나 구원과 같은 종교적인 틀에서 벗어나 인간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때 이 작품의 넓은 의미의 주제는 제1장의 맺는 말 “a tale of human frailty and sorrow\"라볼 수도 있다.죄많은 여자인 Hester의 경우든, 외견상 성인과 같은 Dimmesdale 목사의 경우든 결국 그들의 죄의 동기는 인간적인 것이었으며, 인간이란 불완전한 존재이고 인생이란 본래 비극은 아니라 하더라도 Pearl이 생각하는 숲속의 개울소리와 같이 애달픈 것이기 때문이다.이렇게 폭넓게 주제를 설정할 때 비로소 Hawthorne의 인본주의 사상과 Dimmesdale 의 불투명한 구원문제 그리고 Hester의 도덕적 발전과 윤리문제에 대한 유기적 상관관계와 포괄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소개글